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나왔다. 반면 선수 쪽에 있던 장병들은 대부분 구조됐다. 선미 쪽이 더 빨리 침몰했다는
점
만을 원인이라고 하기엔 생존율이 너무나 극명하게 대비된다.2006년 국방대학교에서는 초계함에 관한 흥미로운 논문 하나가 발표됐다. 이 논문은 천안함과 동일한 1200t급 초계함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꾸려본다. 그리고 관현악단이 할 수 있는 봉사활동을 기획한다. 3. 자신의 학업의 문제
점
을 스스로 분석해 학습 계획표를 작성하고 실행한다. 입시에서 자료로 제출할 수 있도록 분석한 내용을 문서로 만들어둔다. 4. 가고 싶은 대학의 홈페이지를 꾸준히 방문해 소식을 접한다. 입학사정관의 면접 시 ... ...
자연과 상상력 넘나드는 예술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과학이 어떻게 그림 속에서 살아 숨 쉴까. 과학을 그림으로 그릴 때 고려해야 하는
점
은 무엇일까. 작가의 ‘붓끝’에서 과학이 탄생하는 모습이 궁금하다면, 과학과 미술이 공존할 수 있는 이유가 궁금하다면 과학일러스트레이션의 세상을 들여다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자연과 상상력 ... ...
한국 과학에 ‘일러스트 르네상스’ 올까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윤관현 작가는 “뼈와 혈관이 장기에 가려 보이지 않더라도 그것들이 존재한다는
점
을 항상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몸속 기관들은 서로 연결돼 있어 한 부위의 생김새와 크기가 달라지면 다른 기관의 생김새와 크기, 위치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작업이 ‘뼈대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화성탐사에 활용 가능로봇새 비행체는 고정익 비행체와 회전익 비행체의 장
점
을 모두 갖췄다. 고정익 비행체인 정찰기는 일단 저속으로 비행하는 게 어렵고, 조그마한 틈으로 들어가지 못한다. 회전익 비행체인 헬기도 저속 비행은 가능하지만 대신 소음이 심하다. 날갯짓을 하는 비행체는 형태가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개인에 따라 그 냄새를 역겨운 기름 냄새에서 은은한 꽃향기까지 다양하게 느낀다는
점
이다.인간 페로몬의 실체를 둘러싼 학계와 산업계의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첫 논문이 나간 지 27년이 지난 1998년 맥클린톡은 인간 페로몬의 존재를 강력히 뒷받침하는 두 번째 논문을 ‘네이처’에 실었다. ... ...
사람은 성격으로 세상을 만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있는지, 인간관계의 신념과 전략은 무엇이며 주로 느끼는 감정은 무엇인지, 단
점
과 장
점
은 무엇인지, 그중에서 어떤 면이 고착화돼 있는지 시간을 두고 하나하나 분석하면서 이해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다 보면 어느 순간 성격이 달라진 자신과 만날 수 있다. 새로운 성격이라는 안경을 쓰면 자기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반도체 특성에 바탕을 둔 반도체 레이저는 상온에서 잘 작동하므로 CD 및 DVD 플레이어, 상
점
의 바코드 시스템에 레이저를 활용할 수 있게 했다. 이로써 레이저를 향한 경주는 마무리됐다. 레이저 개발에 뛰어든 과학자들의 명암레이저는 여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최초의 수상자는 ... ...
노벨상 석학 아다 요나트에게 듣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쏴서 구조를 알아낸다. 즉 X선이 결정의 원자들에 부딪힐 때 X선이 흩어지는데, 흩어진
점
들의 패턴을 분석해 원자들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면 리보솜의 정밀 구조를 밝혀낼 수 있다. 이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리보솜을 거의 완벽한 결정으로 만드는 것.1970년대 말 요나트 박사는 어느 과학자도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구조가 단순하다. 또한 유기 퇴적층이 존재하는 수생태계 어느 곳에나 설치할 수 있는 장
점
이 있다.최근 필자의 연구팀은 유기물이 극심하게 오염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부유형(floating) 미생물연료전지를 개발한 바 있다. 이 시스템은 전기 생산 장치보다는 유기물이 오염된 수계에서의 ... ...
이전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