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이야기"(으)로 총 6,2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동아 천문대 특별강연에 다녀왔어요포스팅 l20160711
- 아이스에이지5 지구대충돌과 관련된 특별강연이 동아사이언스 천문대에서 있었어요. 영화에 대한 소개도 받고 영화속 과학이야기도 들었어요. 천체 투영관에서 티저영상도 관람했어요. 목요일에 있을 시사회도 기대가되어요. 빨리 보고싶어요.^^ ...
- 경기도박물관에서 섭섭박사를 만나다기사 l20160709
- 앞에 어린왕자 동상과 추락한 경비행기 동상이 있었습니다. 어린왕자의 지은이는 생텍쥐페리라고 합니다. 어린왕자에 자세한 이야기는 뒤에 나와 있습니다. 1. 경기도박물관 관람 우선 먼저 경기도박물관을 둘러봤는데요. 1018년도에 경기라는 지명을 처음 썼다고 합니다. 도슨트 선생님들이 계서서 아이들이랑 부모님께서 따로 관람하였습니다. 구석 ...
- [생생취재상] 출동! 생물다양성(바이오블리츠) 탐사 대작전!기사 l20160703
- 날씨가 너무 좋아서 금강산도 보았다. 그만큼 북한과 가깝다는 뜻이어서 무서웠다. 을지전망대는 비무장지대에 있다. 여기에서 DMZ생물이야기도 들었다. 왜 생물다양성(바이오블리츠)가 중요한지 설명을 들었다. 쌓아올린 벽에서 벽돌이 군데군데 빠지면, 그 벽은 무너진다. 생물도 일부 종이 없어지면 전체 생태계가 위험해진다. 그 종과 영향을 주고받는 종 ...
- 몽유도원도가 탄생한 배경과 그 가치기사 l20160702
- 있고, 구름과 안개가 피어있는 도원(복숭아꽃이 핀 낙원)이 나타났습니다. 꿈에서 깬 안평대군은 가까이 지내던 안견을 불러 꿈 이야기를 들려주며 그림으로 그려 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안견은 1447년 4월 20일 그림을 그리기 시작해 사흘 만에 마쳤습니다. '꿈속에서 노닐던 복숭아꽃 동산을 그린 그림'이라는 뜻의 몽유도원도는 이렇게 탄생했습니다. ...
- 제주도에서 대륙유혈목이를 보다!!!탐사기록 l20160630
- 안녕하세요 배윤혁입니다.그동안 밀린 이야기들이 많지만 현재 지금 저는 제주도에 있습니다. 어제 서귀포 자연휴양림에서 장이권 교수님과 함께 귀한 녀석을 보았습니다. 바로 대륙유혈목이 입니다.그 밖에도 제주풍뎅이와 육상 플라나리아 그리거 동양달팽이들을 관찰했습니다. 앞으로에 제주도 일정이 기대가 됩니다 ㅎㅎ여러분들도 기회가 되시면 이러한 생물들을 ...
- 바이오블리츠 2016탐사기록 l20160630
- 얼마되지 않았고 청정지역에 살고 있는 생물들을 찾아내고, 나중에 통일이 되었을 때 그곳을 보호하고 보전하는 문제애 대한 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다. 통일이 되면 다시 이 곳에서 바이오블리츠 행사를 했으면 좋겠다. 그때는 지뢰 걱정 없이 마음껏 휘젖고 다니면서 생물들을 만났으면 좋겠다. 곳곳의 지뢰라는 표식 때문에 조금 무섭기도 했지만, 바이오 ...
- 바이오블리츠 코리아 2016를 다녀오다기사 l20160629
- 이른 시간이라 우린 패스. 첫 순서로 숲 속을 돌기 위해 버스를 탔다. 우선 숲 속 식물을 찾으러갔다. 숲이되는 과정인 천이에 대해 이야기를 듣었다. 우린 산딸기를 먹었다. 너무 셨다. 숲 속 곤충을 찾아봤다. 메뚜기와 나비를 잡았다. 역시 곤충 찾기는 재미있다. 곤충 채집이 끝나고, 숲 속 지의류를 찾으러 갔다. 지 ...
- 안동 하회탈의 슬픈 이야기기사 l20160629
- 여러분은 하회별신굿에 쓰이는 하회탈을 아시나요? 12개의 하회탈 중 이매탈만 턱이 없습니다. 이매탈이 턱이 없는 이유에는 슬프고도 재미있는 전설이 있습니다. 옛날 옛적에 안동 하회마을에 허도령이란 남자가 살았다고 합니다. 근데 어느날 허도령의 꿈에 마을 수호신이 나타나서 "12개의 탈을 만들어라! 다 완성 될 때 까지는 다른 사람과 빛을 봐서는 안된 ...
- 피서를 앞두고...탐사기록 l20160629
- 이 불쌍한 생명체에게 양보해줄 순 없을까요?보통 어른들은 다음 세대를 생각하신다고 말씀하십니다.이 아름다운 물 속의 소중한 이야기를 다음 세대에게 전하는 것이 지금 당장 놓여있는 매운탕 한 냄비보다 더 값지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만약 이번 피서에서의 천렵은 아이들에게 물고기를 통해 자연의 소중함을 알고 그 생물체에 대해 알아가는 시간을 ...
- '곤충 고소애는 고소해' 전시에서 맛본 바삭바삭한 밀웜!기사 l20160628
- 인구 90억 명이 넘는 2050년부터 지금의 2배에 달하는 식량이 소비될 것으로 예측하고 식량 위기를 이겨내는 방법으로 ‘곤충 식량’을 이야기했다. 단백질 50% 이상, 몸에 좋은 리놀레산, 올레산 등의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고 동물성 식이섬유인 키토산, 각종 미네랄, 비타민을 골고루 함유한 곤충의 영양적 가치를 높게 평가했다. 또한 소·돼지 ...
이전5505515525535545555565575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