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뉴스
"
초
"(으)로 총 5,609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로 돌진하는 소행성 '인류구원' 프로젝트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5.21
만한 수준의 소행성이 접근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렇지만 문 박사는 올
초
러시아 우랄산맥 주변지역에 큰 피해를 준 것과 같은 운석비는 50~100년에 한 번 꼴로 날아올 수 있기 때문에 국가적 대비책을 미리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 박사는 “당시 피해를 입은 지역인 러시아 ... ...
거품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거품이 꺼진다. 첫 방울이 터지고 비눗방울 3개가 남아있는 마지막 사진까지 불과 0.2
초
가 걸렸다. 이 과정을 동영상으로 보면 훨씬 더 진짜 같은데 접근이 안 돼 보여주지 못하는 게 아쉽다. 액체의 표면에 머무르다 하나둘 터지며 사라지는 거품. 그러나 몇몇 과학자들은 끈질기게 거품의 내면을 ... ...
[신나는 공부]적성·진로선택 ‘고민’ ‘진로스쿨’에서 해결
동아일보
l
2013.05.14
듣고 실습교육에 들어간다. 학생들은 패션디자인학과 손세란, 배주형 교수에게 봉제의 기
초
수업을 듣고 함께 자유 의상을 만들어본다. 마지막 날에는 전시회를 열어 우수한 작품을 소개할 예정이다. 수료자 모두에게는 서울종합예술학교 이사장 명의의 수료증이 수여되고 우수 학생에게는 ... ...
[신나는 공부/알짜 학습 정보]고교 선택·대입 변화분석 설명회 外
동아일보
l
2013.05.14
열린다. 1588-9407 ■ ‘셀파 탐험대’ 앱 받으면 선물이 팡팡 천재교육(www.chunjae.co.kr)은
초
등생 학습만화 ‘셀파 탐험대’ 앱을 T스토어에서 내려받으면 사은품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를 8월 31일까지 진행한다. 셀파 탐험대는 수학, 과학, 역사 등 과목별로 8권씩 총 24권으로 구성. 앱에서 교재를 ... ...
태양보다 100경 배 밝은 빛으로 1000조분의 1
초
분자 움직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4세대 가속기는 3세대보다 빛이 100억 배 밝고 빛의 진폭도 짧아 1000조분의 1
초
(펨토
초
·fs)로 움직이는 모습도 관측할 수 있다. 분자들이 어떻게 결합하고 분해 되는지 정확히 볼 수 있다는 점에서 ‘나노 세계를 보는 현미경’이라고 불기기도 한다. 가속기가 이처럼 강력한 빛을 낼 수 있는 것은 ... ...
융합을 왜 하는거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기억나지는 않지만 융합이라는 말이 언론에 등장하기 시작하더니 이제는 21세기
초
를 대표하는 키워드가 됐다. 미래창조과학부도 융합 인재를 양성하고 융합 연구개발을 확대 지원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과학기술 분야의 정부출연연구기관들은 융합 연구에 예산의 10%를 투자하겠다는 ... ...
원자핵이 서양배처럼 생겼다고?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결합해 항체 면역 반응을 하는 HIV 면역원(그림 중앙)의 모습을 표지에 담았다. 1980년대
초
에이즈를 유발하는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가 발견된 뒤, 이를 정복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연구는 계속 됐다. 2010년엔 HIV 장기 보균자의 혈액 샘플에서 다양한 HIV변종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 ...
국민 모두 상상력 펼수 있는 場 마련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12
초
·중·고등학생은 물론 일반인들이 자유롭게 상상하고, 사업 아이디어를 가진 대학생이 창업컨설팅을 받을 수 있는 공간이 연내 마련될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은 전 국민이 상상력과 아이디어를 실현할 수 있는 일명‘무한상상실’시범운영기관을 5곳 지정해 1곳당 ... ...
숨쉬기 겁나는 한국… 서울 ‘죽음의
초
미세먼지’ 뉴욕의 2배
동아일보
l
2013.05.10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PM2.5 :: 지름 2.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이하의
초
미세먼지. 흔히 미세먼지라 부르는 PM10(10μm 이하)보다 훨씬 작다. 참고로 머리카락 한 올의 굵기는 50∼70μm다. 이성호 기자 starsky@donga.com ▶ [채널A 영상]환절기 아침운동은 건강의 ‘독’, 왜? [화제의 뉴스] - ... ...
[채널A] ‘살인 진드기’ 국내서도 발견, 야외 나들이 때 조심해야
채널A
l
2013.05.10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바이러스가 발견됐다고 밝혔습니다. 이 바이러스는 올해
초
일본에서만 7명을 숨지게 했고, 치사율은 최대 30%에 이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 전국에서 찾아볼 수 있는 작은소참진드기의 최대 3%가 이미 이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염된 진드기에 물리면 ... ...
이전
550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