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생물학적결정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성적이 높다는 결과가 나와있다.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오늘날 많은 심리학자들은 다
양
한 인종들, 혹은 집단들 사이의 IQ는 유전적 기초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고 주장하지만 이것 또한 잘못된 것이다. 인종과 인구집단은 오랫동안의 문화적 환경과 경험 차이에 의해 유전자가 서로 다르게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등 토털 시스템을 다뤄 우리나라를 이끌고 나아갈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는 고급인력
양
성을 해야한다. 물론 이론적인 기반과 경험적인 요소를 충분히 갖춰야 할 것이다.둘째로 KAIST는 모든 이론의 가장 기본인 기초과학분야를 감당해야 한다. 이것은 수학 물리 화학 지학을 중심으로 추진될 수 있을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쉽게 답을 선택할 수 있다.이 실험은 오래 썩힌 퇴비일수록 콩의 생장에 필요한
양
분이 많다는 것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답은 ⑤이다.전문가들이 말하는 공통과학 학습법암기는 필요없다문수한(교육부 자연과학편수관실 연구사)과학이 그동안 너무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해왔다. 그래서 ... ...
말 더듬는 이유 밝혀졌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포엽망 단계에서 넘어온 문장구성요소가 소리와 연결돼야 한다. 소리에는 음절, 운율, 억
양
등이 모두 포함된다. 혀 더듬증은 이 단계에서 발생한다. 어휘 결절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다 ... ...
2. 나의 젊은 시절 보금자리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MIT에 첫 발을 내딛으며 처음 느낀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실망이었다. 물론 나는 겉모
양
만을 보고 실망한 것이다. 이곳에 와보신 분들은 알겠지만, MIT는 꼭 공장같다. 건물도 오래돼 별로 좋지 않고 학교 정경도 그리 좋아 보이지가 않는다. 이런 곳에서 세계의 최첨단 과학이 이뤄진다는 것이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생후 수 일내에 사망한다.아토피성 피부염 : 아토피체질인 사람에게 생기는 습진모
양
의 피부질환. 아토피는 가계적으로 또는 유전적으로 나타나는 알레르기성 피부를 말한다. 보통의 습진이나 피부염과는 달리 특이한 증세와 경과를 보인다. 소아습진의 70-80%는 이 습진이라고 한다. 연령에 따라 ... ...
2. '야방·컴섹스방·욕방···' 어찌하오리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사적 공간과 공적 공간의 구분이 분명하다. 그리고 그 공간에 걸맞은 글이나 대화, 표현
양
식에 따라 꾸려져 가기 마련이다. 그렇다면 PC통신 공간은 어떤 공간으로 정의할 수 있는가. 실로 모호하기 짝이 없다.PC은 들어갈 때는 주로 '집' 이라고 하는 지극히 사적인 공간에서 시작된다. 시간도 주로 ... ...
1. 남극의 자연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여름이 돼도 해안은 0℃ 정도이고 , 내륙은 영하25℃-영하40℃로 여전히 춥다. 사진은 석
양
에 세종기지에서 바라본 위버반도.2 백시현상눈 덮인 설원을 보거나 하늘에 고르게 낀 구름을 볼 때 인간은 의식을 잃는다. 이러한 현상을 백시현상(whiteout)이라고 하는데, 남극에서는 이런 현상이 잘 일어난다. ... ...
한국 최초의 우주특파원 박찬욱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역할을 하게 되므로 짧은 기간 보도만을 하기 위해 다녀온 아키야마와 질적으로나
양
적으로 비교할 수 없다.이번에 박찬욱기자가 미르에 탑승하면서 러시아에 지불할 비용은 약 2백억원 정도. 일본의 아키야마가 다녀올 때는 약 50-60억엔(한화로 5백-6백억원) 정도 들었다고 한다.박찬욱기자는 196 ... ...
5. 고전적인 지하자원 탐색기법 다우징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뛰어났다.이 방법을 통해 지하 30cm에서 1백m까지 수맥 뿐 아니라 납 아연 철 금 등 광맥의
양
까지 알아낼 수 있었다. 심지어 지하에 매설된 가느다란 전기케이블이나 수도관까지 그래프로 기록할 수 있을 만큼 정확히 알아냈던 것이다. 연구위원회는 이 다우징 현상에 ‘생물물리학적 효과를 이용한 ... ...
이전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