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표
연설
공고
강연
웅변
스피치
표명
스페셜
"
발표
"(으)로 총 5,686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쌍이 배열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거의 생기지 않는다. 1974년 학술지 ‘세포유전학’에
발표
된 한 논문을 보면 감수분열 과정에서 모계(또는 부계)에서 받은 5번 염색체와 부계(또는 모계)에서 받은 23번, 24번 염색체가 나란히 정렬하는 모습을 담은 사진이 실려 있다. 생식세포를 만드는 감수분열 ... ...
천상에서 지상으로, 태양전지의 승리
KOITA
l
2013.07.11
에너지원이다. 1954년, 미국 벨연구소에서 실리콘 기판을 베이스로 한 태양전지 시제품을
발표
하면서 클라크의 꿈이 현실화되었다. 태양광발전의 엄청난 가능성은 곧 미 육군 통신대 사령관인 제임스 오코넬의 관심을 끌었다. 미 육군의 통신대는 부대 간 통신뿐 아니라 전 육군의 운영에 필요한 ... ...
딱딱한 세상을 부드러움으로 바꾼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7.11
인력 21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 지난 2년 동안 우수 학술지에 100편에 달하는 논문을
발표
했으며, 국내외 특허도 수십 건 출원하는 성과를 거뒀다. 조 단장은 "지금처럼 국가 차원에서 독창적인 연구를 높게 평가하고 이런 연구에 지속해서 투자해 열정과 끈기가 있는 연구자를 육성한다면 ... ...
10년 후 우리사회를 바꿔 놓을 만한 미래기술은?
KOITA
l
2013.07.10
우리가 눈여겨 볼만한 기술들을 찾아보았다. 국내외의 주요기관 및 정부부처 등에서
발표
한 미래유망기술이나 분야 등을 살펴 후보들을 추려내었다. 이들 중 가급적 10년 이내에 기술적 실현이 가능하고 좀 더 가까이는 실용화까지 가능한 기술을 선택해 관련 동향 및 시장전망 등의 내용을 정리해 ... ...
[채널A] 달라진 휴보, 재난구조 로봇 세계 최고 노린다
채널A
l
2013.07.10
강국들 중 최고 고수가 내년 말 열리는 결선에서 가려집니다. 1차 심사 결과는 목요일에
발표
됩니다. 채널A 뉴스 이영혜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보기 : http://news.ichannela.com/society/3/03/20130709/56372622/1 ... ...
과학벨트의 본격 추진을 위한 기능지구 활성화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13.07.10
Science-Biz) 플라자 구축 등의 내용을 포함한 ‘과학벨트 기능지구 육성 종합대책’ 초안을
발표
하고 협의회 위원들간의 본격적인 의견 교환이 이루어진다. 이날 논의된 내용은 연내에 추진될「과학벨트 기본계획 변경(안)」및「과학벨트 기능지구 육성 종합대책(국정과제)」에 반영할 계획이다. ... ...
모기가 사람을 기피하게 만들 수 있다면?
KISTI
l
2013.07.09
연구진은 지난 2008년에
발표
한 논문에서 DEET의 분자표적을 찾아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발표
에 의하면 DEET는 Or83b라는 수용체를 차단해 마치 화학적 망토처럼 인간의 냄새를 은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인간의 냄새를 숨겨 피를 빠는 곤충의 후각을 무력화시킨다는 것이 연구진의 설명이다. ... ...
역사의 상흔과 영웅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7.09
제작을 하지 않았다. 그렇게 전쟁영화가 실종되던 때에 정지영 감독은 1990년 을
발표
했다. 남부군은 전설적인 빨치산 부대 남부군의 일대기를 실화를 바탕으로 해서 구성하고 있다. 조정래 대하소설 을 임권택 감독이 1994년에 영화화했다. 이러한 90년대 한국전쟁영화들은 ... ...
불안정한 외부 요인 영향 덜 받는 안정적 세포 생체리듬 기전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7.09
GI)가 식물 생체 시계의 활성조절 중요인자임을 지난 1999년 사이언스 (Science)紙에
발표
한바 있다. 연구진은 식물 생체시계의 활성조절역할을 하는 단백질인 자이겐티아(GI)가 세포핵과 세포질 2곳에 각각 존재하며 서로 반대되는 조절 신호를 보냄으로써, 생체 회로의 안정성을 유도하는 특별한 ... ...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7월 수상자 포항공대 이태우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7.04
Chemie (2011) 등 권위있는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
하는 등 현재까지 105편의 SCI 논문을
발표
하였고 2,036회 이상 인용되었다. 이들 논문의 평균 인용지수는 8.5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교수는 2008년 삼성종합기술원 전문연구원으로 재직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의 핵심기술인 유연 기판 위 ... ...
이전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