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침
부침개
앞
전면
전방
앞쪽
이전
스페셜
"
전
"(으)로 총 6,45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노세보 효과의 뇌과학
2017.10.17
하는 생각이 든다. 조 머천트가 책에서 언급한 것처럼. “마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온
전
히 이해할 날이 올 것이며, 인간적인 치료가 사치품이 아니라 핵심 원칙이 되리라 믿는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그러나 장치 설계를 두고 실험물리학자인 바이스와 드레버의 입장차가 워낙 커 일이 진
전
되지 않자 연구비를 대는 미국립과학재단(NSF)이 해결책을 촉구했고 결국 칼텍의 로커스 보트 교수를 초대 소장으로 영입해 1987년 라이고 프로젝트가 출범했다. 바이스는 부고에서 드레버가 라이고의 개념을 ... ...
백두산은 과연 어떻게 생겨났나?... BMW vs 판구조론 격돌
동아사이언스
l
2017.09.27
여러지역의 화산이 폭발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BMW 모델 대로라면 1500만 년
전
부터 600만 년사이에도 계속 폭발이 발생했어야 하는데 지금까지 관측 결과 이 시기에는 화산 활동이 없었다”면서 “이런 부분을 설명하기위해 새로운 가설이 필요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화학적 ... ...
돼지→인간 장기이식, 가능성 높아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4
풀렸다. 하지만 이종 장기 이식을 실제로 진행하기까진 인간 면역계를 자극하는 돼지 유
전
자를 제거(녹아웃)하는 등 호환성을 높이는 일이 남았다”고 설명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백신 개발을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하지 않을까. 한편 SFTS가 진드기 매개 질병의
전
부가 아니다. 진드기 유충에 물려 오리엔티아 쯔쯔가무시(Orientia tsutsugamushi)라는 박테리아에 감염되면 SFTS와 증세가 비슷한(물론 정도는 약한) 쯔쯔가무시병에 걸린다. 우리나라에서는 매년 1만여 명이 감염되고 10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게놈편집으로 흰 나팔꽃 만들었다!
2017.09.12
바꾼 최초의 시도라며 앞으로 원예식물 육종에 이 기술이 널리 쓰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
망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2년까지 동아사이언스에서 기자로 일했다. 2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 ...
수 천만 개의 원자가 하나처럼 움직이는 때는?
동아사이언스
l
2017.09.10
사이언스 제공 [표지로 읽는 과학_사이언스] 이번 주 ‘사이언스’ 표지는 격자에 갖춰 얼어있는 듯한 원자의 모습을 그린 일러스트가 장식했다. 파란 원은 움직이 ... 위한 ‘광학 격자’와 양자가스현미경은 초저온 상태 원자의 위상을 관찰하는 데 중요한 진
전
을 가져왔다는 평가다. ... ...
지금 현재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방법
2017.09.09
그 효과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들이 있다(Brown & Ryan, 2003).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오래
전
부터 많은 사람들이 마음을 비우기 위해 즐겨온 ‘산책’을 하며 눈 앞에 보이는 길, 나무와 풀에 집중해보거나 한 걸음 한 걸음이 만드는 발자국 소리에 집중하기, 풀 냄새에 집중해 보기가 그것들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객성과 신성과 초신성
2017.09.05
5500만 광년 떨어진 나선은하 NGC 5643에서 일어난 초신성 폭발 데이터를 분석했다. 24시간
전
에 얻은 데이터에는 폭발의 흔적이 없었기 때문에 초신성 폭발은 그 사이에 일어났을 것이다. 분석 결과 폭발 하루 이내 관측된 파란빛의 양이 동반성-충격 모형이 예측하는 것과 잘 맞아떨어졌다. 이에 ... ...
식물의 ‘잎 크기’ 결정하는 요인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9.03
결과를 내놨다. 라이트 교수는 “식물 잎의 크기는 1㎟에서 1㎡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며
전
세계 10만 여종에서 모두 다르다. 이번 연구는 차세대 식물 모델을 제공한 것으로 식물 대사의 주요 요소를 새롭게 설명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