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살기 시작했습니다. 이 때는 호모 에렉투스의 시대입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빙하기가 시작되면서 호모 에렉투스는 이 지역에서 사라졌습니다. 호모 에렉투스가 다시 이 지역을 찾은 것은 약 30만 년 전입니다. 그 이후 인류는 이 지역을 떠나지 않고 계속 살았습니다. 이들은 여러 가지 석기를 ... ...
- 가을 바람 부르는 매미의 물리학 (마지막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아는 독자라면 9월에 이 매미를 소개하는 것을 의아하게 생각할 수 있다. 7월부터 나오기 시작해 8월에 가장 번성하기 때문이다. 이유는 호좀매미와 함께 소개하기 위해서다. 이 두 종은 크기와 소리 등이 크게 다르지만(참깽깽매미가 40mm로 훨씬 크다), 서식지가 겹친다. 둘 다 해발 500m 이상의 ... ...
- 마취 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급성통증이다. 하지만 사회가 복잡해지고 생활방식이 변하면서 통증의 양상이 달라지기 시작했다. 명확한 신체적 원인을 찾을 수 없고 진통제 등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만성통증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급성통증은 괴로움의 정도를 헤아리기가 비교적 쉽다. 하지만 만성통증은 효과가 그다지 ... ...
- 신화의 세계를 구하라! 퍼시 잭슨과 괴물의 바다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주목해 보자. 먼저, 원을 하나 그려보자. 원은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이다. 이렇게 시작점과 도착점이 같은 도형을 ‘닫힌 곡선’이라고 부른다. 이제 도형의 안과 밖을 연결하는 임의의 두 점을 잡아 직선을 그어 보자. 어떠한 점을 잡아도 닫힌 곡선과 만나는 점(●)의 개수는 홀수 개다 ... ...
- [동아리탐방] 우리는 수학을 사랑하는 N.O.M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직접 만든 수학 교구들이다. 수학문화원 방문을 계기로 창작 교구들을 만들기 시작한 동아리원들은 두세 명씩 팀을 이뤄 매년 하나씩 수학 개념을 설명하는 교구를 만든다. 각자 수학 교과과정에서 이해하기 어렵거나 교구를 이용해 설명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는 개념을 선택한 뒤, 여러 번의 회의를 ... ...
- Part 1. 출항 : 우주보다 복잡한 지도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계획을 두고 “또 다른 문샷(moon shot) 계획”이라고 부르고 있다. 문샷 계획은 1962년부터 시작된 미국의 아폴로 계획의 별명이다.미국은 당시 구소련에 뒤졌던 우주 경쟁 구도를 단숨에 역전시키기 위해, 유인 달탐사에 국가적인 총력을 기울이기로 했다. 1962년 고 케네디 대통령이 “10년 안에 달에 ... ...
- 2파트 - 전자, 궤도를 포기하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아인슈타인이 구역질을 내다보어가 전자 궤도에 일정한 반지름이 있다고 주장한 이유는 궤도의 각 운동량을 양자화시켰기 때문이다. 연속 ... 가장 위대한 인물로 우뚝 서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양자역학의 위대한 시작1파트 - 보어 28세, 세상을 뒤집다2파트 - 전자, 궤도를 ... ...
- 공룡의 아버지를 쓰러뜨린 시조새의 깃털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주장한다. 새의 조상이 경사로를 뛰어오르는 과정에서 깃털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고, 이 과정에서 날아오르는 능력을 얻었다는 것이다.진화야 어찌됐든 깃털은 흥미로운 존재다. 세상의 모든 깃털을 한 줄로 나란히 세우면 달을 지나고 태양을 지나 어느 먼 천체에 닿을 것이다. 길이도 ... ...
- 우리 삶이 춤이 된다면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유타 웨버주립대 무용학과 에릭 스턴 교수는 1991년 ‘수학 춤추는 두 남자’라는 공연을 시작으로 춤을 이용한 수학 교수법을 개발했다. 예를 들어, 대칭성을 다루는 ‘군론’을 가르칠 때 학생들 다 같이 군무를 추도록 한다. 학생들은 단체로 춤을 즐기면서 자연스럽게 수학적인 개념을 습득하게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결국 1948년 폰 노이만은 미국의 수학자 스타니스와프 울람과 함께 인공생명 연구를 시작했다. 이 두 명의 수학자는 생명을 장기판과 같은 수많은 격자 상의 공간에 위치한 코드로 보고, 몇 가지 규칙에 따라 스스로 움직이는 장치를 생각해 냈다. 이것이 바로 ‘2차원 세포자동자★’다.안타깝게도 폰 ... ...
이전5525535545555565575585595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