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기자의 1마감1게임] 시험 기간 금지 게임, 미니 메트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 △ 역을 연결한다고 합시다. 첫 번째 역에서 마지막 역까지 가는 데 걸리는 시간이 T일 때, 직선 노선이라면 첫 번째 역에서 출발한 열차가 돌아오는 데 2T의 시간이 걸립니다. 반면 순환형 노선이라면 열차가 마지막 역 다음에 첫 번째 역으로 가기 때문에 시간이 줄어들죠. 다시 말해, 열차 수와 ... ...
- Intro. 패럴림픽의 슈퍼휴먼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parallel(나란한)’을 뜻한다. 2018 평창 동계 패럴림픽은 3월 9일부터 18일까지 평창 일대에서 열린다. 올림픽을 개최한 지 정확히 한 달 뒤에 같은 장소에서 여는 규칙을 따른 것이다. 우리나라에선 총 36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이며, 북한에서도 2명이 사상 처음으로 출전한다. 올림픽으로 충분히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금메달이지만, 강호인 미국팀과 캐나다팀을 지금까지 이겨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 일단 결승전 까지는 가려고요. 우리나라에서 경기가 열리는 데다, 올라갈수록 응원도 많을 것 같아서 미국팀이나 캐나다팀을 한 번 정도는 이기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어요. 요즘은 어떻게 연습을 하고 있나요 ... ...
- [과학뉴스] AI 얼굴인식, 흑인 여성에 인식 오류 최대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것으로 드러났다. 조이 부올람위니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디어랩 연구원은 2월 23일 미국 뉴욕에서 열린 ‘기계학습연구학회’에서 얼굴인식 AI가 피부색이 어두워질수록 오차율이 높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미국의 마이크로소프트, IBM, 중국의 메그비 등 3사의 AI 얼굴인식 시스템을 이용해 ... ...
- [과학뉴스] 디카로 찍은 원자 하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2월 12일 영국 국립공학및자연과학연구위원회(EPSRC)가 ‘2018 과학사진공모전’에서 수상한 작품들을 공개했다. 1등으로 선정된 작품은 영 ... 찍힌 점은 실제 원자보다 훨씬 크다.EPSRC는 “단일 원자를 맨눈으로 확인했을 뿐 아니라 일반 카메라로 담았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했다”고 밝혔다 ... ...
- [Culture] 해피 화이트데이를 기원하며♥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학교 안에서는 손도 안 잡아요. 친구를 만날 수도 있다면서요. 길에서는 절대 안아주는 일도 없습니다. 제가 왜 이렇게 애정 표현을 하지 않느냐고 투덜대면 “좋아한다고 말하지 않았냐”며 “이보다 더 좋은 표현이 어디 있냐”고 하네요. 저는 이런 남자친구의 사랑 표현이 너무나 답답합니다.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바뀌기 전까지는 같은 비밀키를 쓴다. 가령 10분 주기로 비밀키를 바꾼다면, 10분 동안 동일한 비밀키를 쓰면서 오류율 변화를 실시간으로 검사한다. 한 선임연구원은 “중간에 오류율이 11% 이상이 되면 이전까지 쓰던 암호를 버리고 새로운 암호를 쓴다”고 설명했다. 양자컴퓨터 보안용으로 ... ...
- [Culture] ‘과학 초콜릿’ 그뤠잇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유산균을 함유한 제품을 개발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롯데제과는 한국과 일본에서 동일한 이름의 유산균 초콜릿을 판매하고 있지만, 양쪽에 함유된 유산균은 서로 다르다. 양 상무는 “건강에 좋지 않다는 인식이 있는 초콜릿이 유산균을 만나 맛은 유지하면서 건강해졌다”며 “초콜릿을 먹거나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인권이 공중보건이라는 시스템과 충돌할 때, 그리고 공공의 안전이라는 대의와 마찰을 일으킬 때 벌어지는 비극을 짚는다. 의학이 발전한 현대 사회에도 전염병에 대한 편견은 여전하다. 장티푸스 메리 사건으로부터 100여 년이 흐른 지금, 우리는 전염병에 대해 얼마나 많이 깨우쳤을까. 2015년 ... ...
- [서울공대카페] 페로브스카이트 디스플레이 세계 첫 도전과학동아 l2018년 03호
- LED에 활용하지 않고 있다니 너무 아까운 생각이 들어 연구를 시작했다”고 말했다. 일단 페로브스카이트가 상온에서 빛을 내도록 만드는 것이 가장 큰 숙제였다. 전자와 정공의 거리가 멀어 정전기적 인력이 유지되지 않는다면, 거리를 줄이면 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아이디어였다. 이 교수는 ... ...
이전5525535545555565575585595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