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거 위대한 문명들은 왜 사라졌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석상 ‘모아이’는 세계적인 미스터리 중 하나로 손꼽힌다. 남태평양 한구석에 고립된
작은
섬에서 이처럼 많은 노동력을 동원할 수 있었던 문명이 갑자기 사라진 원인에 대해 아무도 명확한 답을 내놓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 제러드 다이아몬드는 “환경 훼손이 그 원인”이라고 ... ...
이슬똥을 누는 끝검은말매미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주로 식물의 즙을 먹는 끝검은말매미충은 액체로 된 배설물을 내놓는답니다. 자연 속의
작은
자리를 차지하는 소중한 생명. 하지만 곤충은 지구에 사는 전체 동물 중 5분의 4를 차지하는 진정한 주인이랍니다 ... ...
비정상 입자를 명품으로 키운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큰 거품이
작은
거품을 잡아먹으면서 성장하는 것이다. 큰 거품이 몸집을 불려갈수록
작은
거품을 먹어치우는 속도는 느려진다.그동안 재료공학자들은 입자들이 이렇게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이유를 밝혀내지 못했다. 김 교수는 호기심이 발동했다. 멀쩡한 입자를 비정상적으로 키우는 일에 ... ...
10번째 행성에 위성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수성과 금성은 위성이 없지만 일부 소행성들은 그 주위를 도는
작은
암석을 갖고 있다. 브라운 교수도 “제나의 위성 발견을 예상한 것은 카이퍼 벨트 내의 많은 물체가 위성을 갖고 있음이 알려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공식적으로 ‘2003UB313’이라는 이름의 제나는 지름 ... ...
벼룩 닮은 슈퍼 고무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실렸다.이 단백질은 곤충에게서 많이 발견된다. 벼룩이 자기 키의 수십 배나 높이 뛰거나
작은
매미가 귀를 찢는 큰 소리를 내는 것도 이 단백질 덕분이다. 레실린은 40년전 잠자리 날개에서 처음 발견됐으며, 인간이 만든 어떤 고무보다 잘 늘어나고 탄성이 좋다.연구팀은 2001년 초파리의 DNA에서 ... ...
부팅시간 '0' 탄소나노튜브메모리칩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기술은 10월 4일 ‘네이처’ 온라인 뉴스에 실렸다.이 칩은 실리콘 칩 위의 전극 사이에
작은
다리 모양의 나노튜브가 걸쳐 있는 구조다. 전류가 흐르면 나노튜브 다리는 아래로 굽어 전극을 건드린다. 나노튜브가 올라가면 1, 내려가면 0의 이진코드를 표시한다. 나노튜브 다리는 전원이 꺼져도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쉽지 않다. 신호가 너무 약하기 때문이다. 얼마나 약한가 하면 크리스마스트리에 다는
작은
전구 하나를 켜기 위해 지구 공전 궤도(약 1억5000만km)만한 지름의 안테나 접시를 만들어서 우주에서 오는 전파를 모두 모아야할 정도다.그렇다고 실제로 그렇게 큰 안테나를 만들 수는 없는 노릇이다. 그래서 ... ...
"잠수함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같이 물보다 밀도가 큰 자석, 유리 구슬은 바닥에 가라앉게 되고, 기름보다 밀도가
작은
페트병 뚜껑은 기름 위에 뜨게 된다구. 그럼 물과 기름 사이에 떠 있는 얼음은 과연 왜 그렇게 된 걸까? 바로 얼음은 물보다는 밀도가 작고 기름보다는 밀도가 크기 때문에 그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거지.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태양까지의 거리가 1AU다태양계 초기에 가스와 티끌 등이 뭉쳐 만들어진 수km 크기의
작은
행성 나중에 응집이나 충돌을 통해 행성으로 자라나기 때문에 행성의 씨앗으로 불린다지놈(게놈), 즉 유전체(Genome)란 유전자(Gene)와 염색체(Chromosome)의 합성어로 생물이 갖고 있는 전체 유전정보를 뜻한다 인간 ... ...
4. 세 남자와 아기별 바구니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있는 거대망원경(VLT)으로 지구에서 230광년 떨어진 갈색왜성 ‘2M1207’ 근처에서 어둡고
작은
외계행성 후보의 사진을 찍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단 한번의 관측으로 행성인지는 확신할 수 없었다.별 주변에서 발견된 희미한 천체가 다 행성은 아니다. 아주 멀리 있는 천체가 우연히 함께 보이는 ... ...
이전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