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눈병 고치는 초소형 로봇 개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연구팀이 제작한 로봇인 ‘나노프로펠러’는 지름 120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길이 400nm의 초소형 로봇이다. 나선형 꼬리를 지닌 올챙이처럼 생겼는데, 약물을 넣을 수 있는 니켈 금속 캡슐에 프로펠러처럼 돌아가는 나선형 꼬리를 붙여 만들었다. 주사를 통해 안구의 유리체 내에 이 로봇을 ...
- [화보] ‘울트라 테크놀로지스트’가 만든 똑똑한 환상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달라진다. 단 한 순간도 물줄기는 같은 모습을 띠지 않는다. 당신은 물줄기의 일부다. 2001년 결성된 일본의 디지털 예술단체 ‘팀랩(teamLab)’은 프로젝터와 컴퓨터 수백 대를 이용해 영상을 벽에 투영하는 방식으로 이 같은 가상공간을 창조했다. 가상공간은 관람객과 역동적으로 상호작용한다. ... ...
- KAIST 과학로켓 우리새-2호 하늘을 날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제작한 로켓”이라며 “고도 3km까지 비행할 수 있는 로켓을 개발했지만, 공역 사용이 1km로 제한돼 있어 발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아쉬움을 더했다. 앞으로 연구팀은 비행 고도를 더 높여 2년 뒤 20~30km 상공에 안정적으로 도달할 수 있는 과학로켓을 개발할 계획이다. 권 교수는 “내년 발사를 ... ...
- Intro. 자연이 선사한 가장 과학적인 선물, 깃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펭귄 배를 덮고 있는 매끈한 깃털, 그리고 올빼미 날개를 이루는 소음 제거 깃털. 약 1억5000년 전 공룡에 처음 등장한 깃털은 긴 세월을 거치며 다양한 형태와 기능을 탑재했다. 공통점이라면 깃털을 가진 개체의 삶에 최적화된 방향으로 진화했다는 점이다. 그것도 매우 과학적인 방식으로. 자연이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학술지 ‘기능 생태학’에 발표했다. doi:10.1111/1365-2435.12419 연구팀은 2003~2013년 137종 661마리의 날개깃을 수집했다. 이어서 날개깃을 깃대의 너비, 깃가지와 작은 깃가지의 밀도, 그리고 공극률(전체 부피 중 빈틈이 차지 ...
- 우리는 돌고래 추적자들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문제는 일반적으로 순수 기초과학은 응용과학에 비해 연구비를 따기 어렵다는 점이다. 1년 중 4분의 3에 이르는 기간을 실험실이 아닌 현장에서 보내야 한다는 점 또한 연구비를 지원받는 데 걸림돌이 된다. 기존의 실험실 위주의 연구비 지원 체계에 맞출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필자를 포함한 ... ...
- 젖소, 돼지, 양, 연어…AI는 동물 얼굴도 인식할까?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접히고, 입술은 뒤로 당겨지고, 콧구멍은 ‘U’에서 ‘V’자로 바뀝니다. 이 변화를 1에서 10까지 측정해 통증 정도를 파악하는 겁니다. 연구팀은 양의 얼굴 사진 500장으로 AI에게 이를 학습시켰습니다. 초기 테스트 결과, 약 80%의 정확도로 통증 수준을 예측했습니다. 연구를 이끈 피터 로빈슨 ... ...
- 남극, 달, 부메랑 성운, 세상에서 가장 추운 곳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이 결과는 올해 10월 17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됐다. doi:10.1038/s41586-018-0605-1 우주의 미세중력 환경에서는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좀 더 오래 지속시킬 수 있다. 한 번에 최대 10초 동안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체를 관 ...
- [과학자의 부엌] 진공과 온도의 효과적인 만남 수비드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쓰더라도 보통 채소는 고기보다 고온에서 빠르게 조리합니다. 닭 가슴살은 65도에서 1시간 조리하지만, 대파는 90도에서 10분이면 됩니다. 채소의 세포벽이 부서지기 전에 빨리 데워야하기 때문입니다. 고기는 저온에서 오랫동안 가열하면 콜라겐이 가수분해하면서 겔 상태가 됩니다. 이를 통해 ... ...
- [수학뉴스] 40년 난제 ‘골드펠드 추측’ 실마리 찾았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타원곡선이라 불리는 3차식에서 계수를 제곱근으로 바꿨을 때 ‘랭크’가 0 아니면 1일 확률이 각각 50%라는 유리수 해에 관한 추측입니다. 랭크란 어떤 식이 있을 때 유리수 해를 모두 구하는 방법을 알기 위해 사용하는 기본 개념입니다. 기본이 되는 수 한 개로 나머지 해를 다 구할 수 있으면 랭크 ... ...
이전5525535545555565575585595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