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취
출세
달성
완수
공로
훈공
공적
뉴스
"
성공
"(으)로 총 10,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아무렇게나 '휙' 던져놔도 충전 가능한 무선 충전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무선 충전할 수 있고, 충전 면적도 넓힌 '대면적 자율배치 무선충전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
했다고 21일 밝혔다. 기존의 무선 충전 기술은 공기를 이용해 전력을 주고받는 자기장 신호를 전달해 충전한다. 그런데 공기는자기장을 가로막는 성질(자기저항)이 커서 거리가 멀어질수록 자기장의 ... ...
우주역사 새로 썼다...여성 우주인팀 첫 우주유영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0
미국의 여성 우주인 크리스티나 코흐와 제시카 메이어가 실제로 우주유영을 하는 모습이다. NASA 제공 세계 첫 여성 우주유영 임무가
성공
리에 끝이 났다. 1965년 인류의 첫 우주 ... 미국 대통령과 마이클 펜스 미국 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세계 첫 여성 우주유영 임무의
성공
을 축하했다 ... ...
세계방송콘텐츠마켓서 한국 UHD 홍보관 운영…7억 원 해외투자 유치
동아사이언스
l
2019.10.20
위한 ‘한국 4K/8K 콘텐츠 홍보관’을 운영해 7억 원 상당의 해외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
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국내 41개 방송∙제작사가 제작한 UHD 콘텐츠 총 59편을 출품했다. 4K 콘텐츠 전시와 함께 8K 콘텐츠 전시구역을 마련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행사를 통해 144건의 콘텐츠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
2019.10.19
식단 편 플리커 제공 국민의 건강을 위한 나우루 정부의 노력은 가상하지만, 별로
성공
을 거두지는 못할 것이다. 일단 공항 주변을 돌아다니는 것은 그리 즐겁지 않은 일이다. 더 중요한 이유는 우리 몸에 있다. 비만은 신체적 활동량보다는 칼로리 섭취량과 더 큰 관련성이 있다는 것이다. ... ...
日 경제보복 타격 ‘소·부·장’ 살리기 위해 KAIST가 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A사는 지난해 레이저 빔을 이용해 반도체 모듈에 칩을 부착하는 장비를 국산화하는 데
성공
했다. 이 기술은 일본 기술보다 생산효율이 10배 정도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미 관련 특허 수십 건을 등록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회사가 아직 풀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남아 있다. 레이저 빔을 균일하게 ... ...
노스롭그루먼 '견인 위성' 발사
성공
, 인공위성 AS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8
6월에는 우주에서 물을 공급하는 기술을 개발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시연하는 데
성공
하며 ISS에 물을 운송한 최초의 스타트업이 됐다. MEV-1 설명 동영상: https://youtu.be/_rgglvA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브라헤와 케플러
2019.10.17
데이터를 분석해 일반적인 법칙을 이끌어낸다. 그러나 과학의 역사에서 귀납주의가
성공
한 사례는 그리 많지 않다. 게다가 과학은 단순히 귀납주의로만 발전하지도 않았다. 앞으로 귀납주의가 무력해지는 숱한 사례를 보게 될 것이다. 조금 생뚱맞게도 케플러는 최초의 SF 소설이라 할 수 있는 ... ...
[과학게시판] 글로벌 ICT 표준 컨퍼런스 2019’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AI), ICT표준으로 설계하다!’를 주제로 기존 표준기술 세미나외 토크 콘서트, 표준·특허
성공
사례 발표회가 열린다. 작년보다 기간을 확대해 ‘ICT 표준진흥주간’으로 개최한다. ■이달 19일부터 20일까지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에서 과학과 수학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과학문화축제 ... ...
한국 연구자 발표한 '세 부모 자녀' 가이드라인 반박 연구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10.17
‘네이처’에 발표된 ‘세 부모 자녀’를 통해 미토콘드리아 유전병을 치료할 때 치료
성공
확률을 높이기 위해 제시한 가이드라인에 동의할 수 없다는 주장을 이달 16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2016년 당시 강은주 서울아산병원 줄기세포센터 교수와 슈크라트 미탈리포프 미국 오리건공중보건대 ... ...
전도성 고분자로 플렉서블 투명전극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쬐어 전도도가 약 1000배 가량 높아지는 물리적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공정에 적용하는 데
성공
했다. PEDOT:PSS 투명전극은 전도성이 있는 PEDOT을 PSS가 전선 피복처럼 둘러싸고 있는 실뭉치 형태의 고분자 박막이다. 전도도를 높이려면 PSS를 최대한 녹여 PEDOT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PSS를 ... ...
이전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