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숨은 보물단지를 찾아라! 빅 데이터수학동아 l2013년 03호
- 숟가락 정도라면 35조 기가바이트(GB)는 25평(82.5㎡) 아파트 35채에 모래가 10㎝ 깊이로 쌓인 정도의 데이터예요. 정말 어마어마하죠?일상생활에서 보물을 찾는다!최근 들어 신문이나 방송 뉴스에 '빅 데이터'라는 말이 많이 등장하고 있어요. 빅 데이터는 문자와 영상, 수치 데이터를 다 포함하는 말로, ... ...
- [3월] 도전! 과학동아 청소년기자과학동아 l2013년 03호
- 농약과 운송에 필요한 각종 화석연료들과 그로 인한 대기오염은 우리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엄청나다. 이뿐만이 아니다. 마트에서 산 라면을 생각해보자. 다섯 개씩 포장돼 있고 그 안에 개별포장, 또 그 안에 스프도 비닐로 포장돼 있다. 이런 비닐포장지는 재활용이 쉽지 않고 태우면 ... ...
- 날아라 공기로켓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공기를 압축해 압력을 높인 다음 좁은 통로로 순식간에 내보내면 로켓을 발사할 수 있을 정도로 큰 힘이 생긴다.2미션 주제 설정하기튼튼한 공기 로켓 만들기공기 로켓은 높은 공기 압력을 견뎌야 하기 때문에 발사대 내부를 튼튼하게 만드는 게 중요해. 공이 걸림쇠, 발사대 고정링, 발사대 고정봉 ... ...
- 가장 특별한 스페셜올림픽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아이스하키와 무척 닮았어요. 하지만 도넛 모양인 퍽은 손가락으로 누르면 쑤욱 들어갈 정도로 부드럽게 만들어, 날아오는 퍽을 맞아도 아프지 않아요. 긴 원통모양의 스틱을 퍽 구멍에 끼워 드리블하거나 골을 쏘아요.플로어하키아이스하키와 많이 닮았지만 빙상장 대신 나무나 우레탄이 깔린 ... ...
- 빙하 붕괴부터 세포분열까지! 별걸 다 예측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분야에서도 카타스트로피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세포 분열의 단계에서 세포는 어느 정도 성장하다가 갑자기 2개의 서로 다른 세포로 분열한다. 또한 알에서 번데기, 유충, 나비가 되는 생물의 형태 변화 과정에서도 한 형태에서 갑자기 완전히 다른 형태로 급격하게 변하는 카타스트로피 현상을 ... ...
- 중력 역전 행성에서 캬캬족을 막아라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언제 끝나는 거야? 앞으로 소행성들을 몇 개나 피해야 해?”“소행성대는 앞으로 5분 정도면 모두 통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 중 10개의 소행성들은 반드시 피해야 합니다. 크기가 크거나 매우 치명적인 위치에 부딪칠 것으로 예상되니, 레이저 빔을 사용해 소행성들을 제거해 주십시오.”“어떻게? ... ...
- Let's MATH PARTY!수학동아 l2013년 02호
- 하는지도 모른다니…!걱정하지 말라니까! 정확한 답은 구할 수 없지만, 어림잡아 몇 명 정도 초대해야 하는지 그 범위는 알 수 있다구!램지 정리로 모든 파티 문제에는 정확한 답이 존재한다는 것은 알 수 있었지만, 파티 문제의 정확한 답은 구할 수 없다. 하지만 1947년 헝가리 수학자 폴 에르되시와 ... ...
- 수학클리닉의 영상은 우리가 책임진다!수학동아 l2013년 02호
- 눈에 띈다. ‘여기가 정말 아마추어 학생들이 활동하는 곳인가?’ 하는 의문이 들 정도다.하나고 방송부는 최고의 장비와 시설이 갖춰져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대부분의 촬영 장비와 조명이 실제 방송국에서 쓰는 전문가용으로 이뤄져 있다. 이런 장비 중 많은 부분을 SBS 방송국에서 기증했다. ... ...
- PART 1. 글로벌호크, 한반도에 뜰까과학동아 l2013년 02호
-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는 무인기라도 실시간으로 조종할 수 있을 것 같지만, 약 1초 정도의 시간 지연이 생긴다. 전자기기를 통과할 때마다 신호를 처리할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다른 나라에서 열리는 축구 경기를 위성 방송으로 시청할 때 시간 지연이 생기는 것과 같다.프레데터(MQ-1)나 리퍼(MQ ... ...
- PART 3 백두산이 폭발하면 초소형 무인기가 뜬다과학동아 l2013년 02호
- 물론 임무를 스스로 수행할 수 있는 새·곤충 모방 비행체 중 가장 작은 크기는 50cm 정도다. 기술의 한계 때문에 아직은 더 소형화되지 못하고 있다. 미래의 무인기는 어떤 모습일까.나노 기술이 발전하면 핵심 부품의 초소형화, 초경량화가 이뤄진다. 무인기 크기가 더욱 작아져 벌새 크기로, 나아가 ... ...
이전5535545555565575585595605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