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d라이브러리
"
빛
"(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낙엽수는 공기를 깨끗이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O₃)에도 작용을 하는지를 조사했다.그 결과 NO₂가 기공(気孔)에서 잎속으로 빨려들어가
빛
에의하여 활성화되는 환원산소나 화학물질에 의해 암모니아 아미노산 단백질로 환원되는 구조와 O₃가 식물에 함유되어있는 비타민C에의해 산소분자나 물이되어 해독되는 메카니즘도 밝혀졌다. 또 이 ... ...
자동차 충돌 안전장치 공개 테스트 시속 88km로 장애물 들이받아
과학동아
l
1987년 06호
장치로 구성돼 있다. 아이디어의 기본 구성은 센서가 장애물에서 되돌아오는
빛
을 감지하면 자동차 브레이크가 작동되고 자동차 앞유리에 차단막이 내려진다. 또한 운전석 의자가 뒤로 젖혀지면서 뒤로 밀린다는 것. 센서는 장애물과의 상대속도가 시속 60km 이상일 때만 작동한다. 즉 장애물이 ... ...
영광과 좌절의 파노라마 한국의 발명가들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대처하지 않으면 그저 외국의 기술이나 복사하는데 머무를 것이며 창조성은 점차
빛
을 잃게될 것이다. 발명은 간단한 생활용구의 개량에서부터 인류사회의 흐름을 바꿔놓은 대발명에 이르기까지 그 범위가 무궁무진하다. 그러나 창조적 사고의 출발점은 동일하며 얼마만큼 발명의 사고방식을 ... ...
아프리카 코끼리의 기이한 습관 왜 어두운 동굴을 찾을까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영장류도 모습을 보이지만 완전한 주행(昼行)성 동물이어서 동굴의 입구에서
빛
이 미치는 범위 안에서만 지낸다. 그런데 이것들은 도대체 무엇때문에 동굴을 찾아 가는것일까. 동굴은 끝이 막혀있어 바위 그늘에서 표범이라도 뛰어나와 달려들면 꼼짝 못하고 당하고 만다. 오랜동안에 걸쳐 ... ...
제2의 전기혁명은 오는가? 초전도체 개발 경쟁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실제 저항이 높은 니크롬이나 텅스텐을 써서, 전기에너지가 열에너지로 바뀌게 하여
빛
을 얻거나 난방 및 가열효과를 얻는 것이다. 이같은 열의 발생은 먼거리의 발전소로부터 일반가정이나 공장으로 전선을 통해 전기를 보낼 때는 막대한 전력손실을 일으키게 하는 원인이 된다. 실제 한국전력의 ... ...
실리콘은 사라지는가 광전자(光電子)시대의 반도체소자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점을 이용하여 발광현상을 일으키는 전자와 정공(正孔 : hole), 그리고 이들에 의해 발생된
빛
을 모두 좁은 공간영역에 국한시킬 수 있었고, 이에 따라 레이저효율이 커져서 작은 전류로도 레이저 작동이 가능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소자의 인공적인 구조는 반도체 레이저 실용화에 결정적인 기여를 ... ...
곤충의 세계 제비나비와 큰밀잠자리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60~90cm거리 만을 볼수 있다고 한다. 또
빛
이 약해지면 고양이 처럼 동공을 벌리어
빛
을 더 많이 받아 넣을수도 없을 뿐 더러 어둠침침한 환경속에서는 잘 보이지도 않는 다는 것이다. 그러나 곤충들은 인간의 눈으로는 보이지 않는 파장의 자외선을 알기도 하고 흐린날 공중의 밀운(密雲)을 통해서 ... ...
토리노의 수의(壽衣) 정말 예수의 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최초로 수의를 촬영한 세콘도 피아의 의문에서부터 시작됐다. 일반적으로 피는 붉은
빛
을 띠고 있으므로 흑백사진(양화)에서는 그것이 검은색으로 나타난다. 그같은 원리로서 필름에 담겨진 이미지가 양화인지를 알게 된 것도 이 부분을 요주의해서였다. 즉, 필름은 음화를 형성하므로 실제의 피의 ... ...
쿼크다음엔 무엇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원자핵을 '본'방식도 마찬가지였다. 즉 그는 육안으로 볼 수 없는 물체인 원자핵을
빛
대신 α선을 쪼여 눈이 아닌 방사선 검출기로 '보았던' 것이다.쿼크를 보기 위해선 쿼크보다 훨씬 작은 입자를 쿼크 속에 때려 넣어야 한다. 그러나 우리가 이용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입자는 전자로서 그 크기는 ... ...
팽창우주의 운명은?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다르다. 거품 저편의 상황에 대해서는 아직 아무런 단서도 없다. 그곳에서 발사된
빛
이 아직 도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우주가 언제까지나 존재한다면 이윽고 거품 저편의 또 다른 우주의 소식이 전달될 지 모른다 ... ...
이전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