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큰"(으)로 총 6,442건 검색되었습니다.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6-2 날씨 : 맑음(강한 비바람 1시간 후) 경기탐사기록 l20150726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6-2 날씨 : 맑음(강한 비바람 1시간 후)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 526-7 (석천중학교내 화단) (귀화식물 1회) "큰땅빈대" 인근 다른 화단과 달리 애기땅빈대보다 큰땅빈대가 더 눈에 띈다. ...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6-1 날씨 : 맑음(강한 비바람 1시간 후) 경기탐사기록 l20150726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6-1 날씨 : 맑음(강한 비바람 1시간 후)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상동 526-7 (석천중학교내 화단) (귀화식물 1회) "자주괭이밥" 큰 나무 아래마다 괭이밥 천지이다. ...
- 저 오늘 처음으로 낚시를 가요!! 근데 울 엄마가" 큰 물고기가 잡히면 어쩌지?"라네요!포스팅 l20150725
- 저 오늘 처음으로 낚시를 가요!! 근데 울 엄마가" 큰 물고기가 잡히면 어쩌지?"라네요! 처음인데..... ...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4-3 날씨 : 비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동 22-2탐사기록 l20150724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4-3 날씨 : 비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동 22-2 (한국기계연구원 진입로 화단) (귀화식물 1회) "큰땅빈대" 다른 화단에는 큰땅빈대들이 꽤 있었다. *보너스*^^ 오늘 다녀 온 대전의 곳곳에는 쇠무릎, 쥐꼬리망초등 자생종을 많이 볼 수 있었어요~ (밑에 사진 3장, 귀화식물인줄 알고 착각^^ ...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4-2 날씨 : 비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동 22-2탐사기록 l20150724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4-2 날씨 : 비 대전광역시 유성구 장동 22-2 (한국기계연구원 진입로 화단) (귀화식물 1회) "붉은토끼풀" 이렇게 키가 큰 붉은토끼풀은 처음 보았어요. 화단 반대 쪽 작은 하천 둑에 가득 가득~!! ...
- 다양한 경험을 할수있는곳 조력발전소. 조력발전소에 다녀오다 .기사 l20150724
- 밀물,물이 바다쪽으로 빠져나가는 썰물을 이용해전기를 만드는 곳 이야.또,시화호발전소는 2011년에 완공된 현재세계에서 가장큰 조력발전소래.그러니 우리 친구들도 한번방문 해보는것도 나쁘지않겠지??시화호 조력발전소는 경디도안산과 화성 시흥을 끼고있는 갯벌을 막아서 만든 인공호수이고,갯벌을 매워서 만든 주변 농경지에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졋다고해 ...
- 제가 오늘 제주도 금능 해수욕장 가서 게를 잡았어요.돌 사이에 자세히 보면 게가 숨어있어요포스팅 l20150724
- 제가 오늘 제주도 금능 해수욕장 가서 게를 잡았어요.돌 사이에 자세히 보면 게가 숨어있어요.큰 꽃게 말고 작은 게요.그런데 오늘 게를 잡는데 큰게가 발견되서 젓가락으로 잡았지요.힘이 너무세서 엄마의 도움도 받았어요. 결국엔 잡았어요!!!놓칠뻔 했지만요.계속 쭈그려 앉아 있으니까 허리와 다리가 아프긴 해도 재밌었어요. 첫 번째 사진이 ...
- 엘니뇨 현상이란 무엇일까요? 때이른 폭염! 가뭄! 폭우! 빈번한 태풍! 등을 일으키는 엘니뇨 현상에 대해 알아봅시다.기사 l20150724
- 명칭이었다고 합니다. 그후 페루 과학자들은 몇 년의 간격을 두고 바닷물에 좀더 심한 변화가 일어나고, 평소에는 건조 해안에 큰 재난을 가져오는 주기적인 홍수가 바로 이 현상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런 이상현상이 1년 이상 지속된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 이후로부터 엘니뇨라는 명칭이 본격화되어 시용되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출처: 다음 백과사전 ...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4-2 날씨 : 약한 바람, 맑음 대전광역시 유성구탐사기록 l20150724
- 25조 부지사대 -귀화식물- 150724-2 날씨 : 약한 바람, 맑음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 17-1 (대전국립중앙과학관 남문쪽) (귀화식물 3회 이상) "자주괭이밥" 아주 큰 소나무 밑에 자주괭이밥들이 화단 하나를 이뤘다. ...
- 우리의 갯벌을 위해서 시흥 갯골생태공원에 다녀오다!기사 l20150724
- 바다와 꽤 떨어져 육지에 있는 내만갯벌이야. 우리나라 유일이라니 멋지지 않니? 갯벌은 경사가 완만하고 밀물과 썰물의 차이가 큰 해안에서 잘 발달한다고해. 우리나라의 서해와 남해는 갯벌이 만들어 질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갖추었지. 그래서 우리나라의 갯벌은 동식물 약 820여 종이 살고 있는 서식지야. 다양한 생물들이 살기 때문일까? 멸종 위기 ...
이전5545555565575585595605615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