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속
지속
퍼짐
속편
결과
뒤
후편
뉴스
"
계속
"(으)로 총 6,468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진 발생해도 원자로 제어봉 1000분의 1초 수준 정확하게 측정
2016.01.13
원전의 안전을 좌우하는 원자로 제어봉의 작동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처음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 ... 작동 성능을 국내 최초로 측정한 것”이라며 “차세대 원자로에 적용할 수 있도록
계속
해서 성능을 측정하고 설계에 반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
아파야 엄마일까
2016.01.12
좀 이상하다. 아픈 엄마를 안 아프게 해 주는 게 아니라 '아프니까 엄마다' 그러니까
계속
아프세요 라고 하는 것 같다. 하지만 행복하고 즐겁게 엄마하면 안 되는 걸까? ‘자발적인’ 희생은 아름답지만, ‘타의’에 의한 희생은 착취다. 어떤 희생을 ‘당연’하게 여기며 희생하지 않았다고 ... ...
美 실리콘밸리 삼성전자 신사옥 가보니…
동아일보
l
2016.01.12
신사옥에서 만난 손 사장은 “메모리반도체처럼 삼성이 이미 증명한 비즈니스 모델은
계속
1등을 해야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미래의 성공을 보장받을 수 없다”며 “‘뉴 비즈니스’에 대한 준비도 함께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실리콘밸리를 하나의 ‘장터’로 표현했다. 물건을 사고파는 ... ...
독감 유행하고 있다는데 지금 예방주사 맞아도 되나요?
동아일보
l
2016.01.11
9세, 11세 두 자녀의 독감 예방주사를 맞히지 못했다. 중요한 프로젝트가 걸려서 주말에도
계속
회사를 나가야 했던 탓에 ‘독감 예방접종 적기’라는 10월을 놓쳤다. 이후 주사를 맞히려고 했을 때에는 아이들이 잇따라 감기로 열이 나서 접종이 불가능했다. 이 씨는 요즘 독감이 유행하고 있다는 ... ...
“2년 더 고통의 시간 보내야 하나” 말기환자들 긴 한숨
동아일보
l
2016.01.11
내몬 판결 탓에 억울하고 분노도 들었다”고 말했다. 반면 권 전 판사는 “당시 환자는
계속
치료를 받으면 회복될 가능성이 많은 상태였기 때문에 의료진이 퇴원시키지 말았어야 했다는 판단은 지금도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조건희 becom@donga.com·임현석 기자 유근형 noel@donga.com [화제의 뉴스] - ... ...
“지질학의 최대 매력은 삶에 직접 연결된 것”
2016.01.11
때 지하수 수위로 산업체 가스저장고의 안전성 모니터링을 진행했고, 지하수 연구를
계속
할 수 있는 곳을 찾아 2001년 연구원의 문을 두드렸다. 그는 연구원에 입사한 직후부터 국내 지표수의 성분을 조사했다. 수년 간 쌓인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표수의 성분은 물이 흐르는 땅의 특성과 ... ...
나노 크기로 ‘상상의 꽃’ 우담바라 만들었다
2016.01.11
복잡한 과정 등을 갖춰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 3차원 구조를 만들려면 2차원 구조를
계속
쌓아야 하기 때문에 효율이 떨어진다. 연구진은 액정에 열을 가해 분자들을 기체로 승화시키는 방법을 이용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공기 중으로 날아간 액정분자 일부가 무게, 분자 수준의 친화도 등에 따라 ... ...
‘수소의 V라인’ 80년 만에 첫 확인
2016.01.10
특성이 바뀌어 새로운 상태로 변한 사실이 확인됐다. 압력을 유지하는 동안 수소는
계속
새로운 물질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수소의 새로운 구조에 ‘V상(phase)’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표지 그림에는 이 같은 연구 내용이 잘 표현돼 있다. 다이아몬드 ... ...
암스트롱이 입었던 우주복은 어떻게 생겼을까
2016.01.10
‘NASA 휴먼어드벤처 展’ 전경. - NASA 제공 달을 넘어 금성, 화성까지, 최근 세계 각국의 우주탐사 경쟁이 가속되고 있는 가운데 우주기술의 선두주자인 미국의 우주개발 역사를 엿 ... 생활과 모습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걸로 보인다. 전시회는 다음달 11일까지
계속
된다. ... ...
서해에 나타난 멸치, 독도까지 올라간 옥돔
동아일보
l
2016.01.09
만여 t에서 2000년 이후 3000여 t으로 줄었다. 부경대 생물자원학과 김진구 교수는 “수온이
계속
올라가면 물고기가 더 북상해 어장 지도가 완전히 바뀔 수 있다”며 “현재는 한류성 어종인 연어가 동해안에서 잡히지만 이런 추세대로 간다면 명태처럼 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김성모 기자 mo@donga ... ...
이전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