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10번째 행성에 위성 있다
과학동아
l
200511
금성은 위성이 없지만 일부 소행성들은 그 주위를 도는 작은 암석을 갖고 있다. 브라운
교수
도 “제나의 위성 발견을 예상한 것은 카이퍼 벨트 내의 많은 물체가 위성을 갖고 있음이 알려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공식적으로 ‘2003UB313’이라는 이름의 제나는 지름 2800km의 천체로 명왕성(지름 2390km ... ...
5. 별의 유언을 들어라
과학동아
l
200511
사이언티스트가 강의 경력 하나 없이 갑자기 종신
교수
로 임명된 것은 이례적인 일.서
교수
는 고려대 물리학과에서 학사와 석사 과정을 마치고 미국 유학길에 올랐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를 뒤지는 한국인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2. 은하의 ... ...
1. 레이저로 측정 한계 극복하다
과학동아
l
200511
향상되면 물리학자들은 이 문제에 대해 좀더 확신 있게 대답할 수 있을 것이다.글라우버
교수
가 개척한 빛의 양자이론은 1963년 이래로 양자광학이라는 새로운 학문을 탄생시켰다. 국내에서도 최근 양자광학 전문가가 증가하고 있고, 아토초 레이저와 빛-물질 상호작용을 비롯한 레이저 분광학 ... ...
포성 없는 사이버 전장의 전략가들
과학동아
l
200511
설명했다.김
교수
가 미국 애리조나대 자이글러
교수
, 오스트리아 케플러대 프레이호퍼
교수
와 공동으로 쓴‘모델링과 시뮬레이션 이론’(Theory of Modeling and Simulation)은 지난 2001년 미국 온라인 쇼핑몰 ‘아마존’에서 모델링과 시뮬레이션 분야 베스트셀러에 오르기도 했다. 그는 “시뮬레이션을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11
뇌 안에 운동보조 칩을 삽입하시겠습니까?” 담당의사가 그에게 물었다. 그는 지난 2025년 암벽을 등반하다가 추락해 목 아래가 마비됐다. 이런 경우 운동중추에 미세전극이 집적된 칩을 이식하는 수술이 이미 일반화돼 있다는 것을 그도 알고 있었다.“어떤 옵션을 택하시겠습니까?” 의사가 다시 ... ...
레고 블록같은 분자를 디자인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
같은 학문이랍니다.”과학자가 되기 위해서는 먼저 스스로에게 정직해야 한다고 말하는
교수
님. 그래서 지금도 어린 왕자처럼 순수한 마음을 사랑하신다고 합니다.어린이 여러분도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생기면 일단 몸으로 부딪혀 보고 될 때까지 도전하는 정신을 가져 보는 것이 어떨까요? ... ...
세균 정수기 나왔다
과학동아
l
200510
합성수지를 이용한 이온 교환 방식도 있지만 자주 합성수지를 씻어내야 한다.리트먼
교수
는 자신의 방법을 사용하면 “폐기물 걱정 없이 비용을 반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외계행성의 숨바꼭질
과학동아
l
200510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에는 지름 350m 규모의 세계 최대 전파망원경이 있다. 볼즈칸
교수
는 이 망원경을 이용해 처녀자리에 있는 펄서 ‘PSR B1257+12’를 관측하던 중 전파신호 도착시간이 미미하게 변화하는 것을 감지했다. 그는 변화의 이유를 펄서 주변을 도는 행성에 의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후속 ... ...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과학동아
l
200510
될 수 있다는 것. 진짜현실 같은 가상현실진짜 같은 가상현실도 가능해진다. 장재호
교수
는 “실시간 기술이 발전하면 가상현실에서 소리를 실시간으로 구현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가상현실에서 숲 속을 걸어가고 있다고 하자. 지금까지는 숲에서 들리는 벌레 소리, 바람 소리가 미리 녹음된 ... ...
침팬지에게서 사람의 향기를 느끼다
과학동아
l
200510
크게 증가한 것을 발견했다.그러나 미국 하버드대의 로버트 힐
교수
와 크리스토퍼 월쉬
교수
는 이번에 ‘네이처’에 발표한 논문에서 “인간의 두뇌가 침팬지보다 크고 복잡한 것은 인간만의 새로운 유전자가 진화했기 때문이 아니라 기존의 유전자가 각각의 특정 단백질을 생산하는 방식의 차이 ... ...
이전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