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6,1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5 마이크로마우스와 미로게임
과학동아
l
199004
평가되고 있다. 힘이나 속도에 비해 무게가 많이 나가고 전력의 소모도 DC모터에 비해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속의 마우스를 만들려면 (적어도 1초당 1.5m 이상의 속도) DC모터를 부착해야 한다. 실제로 일본이나 미국의 세계 정상급 마우스에 DC모터가 내장돼 있다.아직 국내에서 DC모터를 장착한 채로 ... ...
미지의 물질 구조를 알아낸다
과학동아
l
199004
③ 깨진 면쪽에 있던 구조가 그렇지 않은 쪽보다 구조상의 차이가 작다.④ 깨진 조각의
크기
가 크고 작은 것은 부수는 힘의 차이일 뿐 구조와 상관이 없다.4 진흙은 왜 미끄러울까?강이나 바다의 바닥에 만들어진 진흙은 매우 미끄럽다. 그 이유는 진흙에 포함된 운모성분 때문이라고 한다. 운모의 ... ...
「한국의 스티브 좁스」 꿈꾸는 젊은 프로그래머들
과학동아
l
199004
채 못걸렸다.컴퓨터가 젊어지고 있다는 의미는 그것이 인간과 달리 시간이 흐를수록 그
크기
가 작아지면서 성능은 오히려 무한대로 커지고 있음을 뜻한다. 또 웬만한 사무실 하나를 온통 채워야 했던 최초의 컴퓨터를 마침내 조그마한 책상위로까지 올려 놓기까지 발명광들의 세대도 처음 50대에서 ... ...
PARTⅡ 방송그래픽,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9004
각 요소의 역할이나 활용 빈도는 2차원 장비와는 판이하게 다르다. 물체의 위치 색 빛의
크기
빛의 각도등 여러 가지 애니메이션 요소의 값을 주기 위한 키보드작업이 대부분인데 3차원 애니메이션작업 과정은 크게 다섯가지로 나눌수 있다.①대본 작성(cue sheet)②모델링(modeling)③렌더링(rendering ... ...
PART 4 몸 안으로 들어가는 마이크로 로봇
과학동아
l
199004
위해서다. 순간포착이 중요해드렉슬러는 과학이 이러한 꿈을 실현하려면 원자
크기
상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생생하게 볼 수 있는 기구들이 우선 마련돼야 한다고 생각했다.그의 고민은 스위스의 쮜리히에 자리하고 있는 IBM 연구소가 일단 풀어주었다. 그곳에서 순간 포착이 놀라운 주사 터널링 ... ...
PARTⅠ 과학과 예술의 멋진 랑데부
과학동아
l
199004
100'이라는 게 그들의 공통된 의견이다.의도하는 그래픽을 그리기 위해 필요로 하는
크기
의 붓을 컴퓨터에서 골라 1천6백만가지라는 무한대 색으로 화면에 직접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이 기계는 '더욱 정교한 색상'으로 '더욱 빨리' 그리고 '더욱 정확하게 그려내기 위한 '스리 모어'(Three More ... ...
PARTⅠ 16, 64메가 D램
과학동아
l
199004
부를수 있는 64메가D램을 개발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했는데···.손톱만한
크기
이면서 한글 1백만자를 기억할 수 있는 것이 16메가D램. 아직 실용화돼있지 않지만 세계각국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래의 전략상품이다.이어 등장할 것이 이보다 기억용량이 4배인 64메가D램. 우리나라를 ... ...
남미 최남단, 「비글해협」을 지나며
과학동아
l
199004
氷堆石)을 이룬다. 이 빙퇴석을 이루는 입자의
크기
는 큰 바위에서 자갈 모래 점토까지
크기
가 다른 입자와 뒤섞여 결과적으로는 분급(分級)이 대단히 불량하다. 함수율이 높고 따라서 나무나 풀 등의 식물생장에 좋은 조건을 갖추었다고 생각된다. 실제 관찰된 빙하들의 말단에는 해면과 평행하게 ... ...
세계 최초로 광프로세서 개발
과학동아
l
199004
출현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벨연구소측은 밝힌다.이 연구소는 광프로세서의
크기
를 더욱 줄이고 보다 빠른 속도를 내도록 성능을 향상시켜갈 계획이다. 이와함께 이를 이용해 시각로봇, 항공기 설계컴퓨터, 문자를 음성으로 전환하는 장치 등을 제작하는 연구를 계속할 예정이다.지금까지 7명의 ... ...
PART3 우리나라의 위성개발 우리도 1993년엔 관측위성 띄운다
과학동아
l
199003
과학기술원을 중심으로 연구개발 되고 있다.KORSAT-E1이라 이름 붙여진 이 인공위성은
크기
가 25cm×30cm, 무게가 10~20kg인 초미니형. 과기처특정연구과제로 3년동안 6억원의 예산을 들여 개발하고 있는 중이다. 대기가 없는 층인 8백km 상공에서 1년 정도 활약할 이 인공위성은 지구와 태양관측센서, ... ...
이전
555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