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늘
침
잔뼈
강모
침상 결정
구더기
구데기
d라이브러리
"
가시
"(으)로 총 87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래 쓰고 전기료 싼 3파장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05
이 자외선을
가시
광선으로 바꿔 밖으로 방출한다. 따라서 열로 인한 손실이 적어
가시
광선으로 나오는 에너지의 양이 25% 이상으로 효율이 높고 최대 1만6천시간 이상으로 수명도 길다.일반 형광등과 원리가 같기 때문에 오래 쓰고 전기가 적게 드는 것이다. 그렇다면 왜 굳이 전구형 형광등을 만든 ... ...
자연과학계의 이단자 바이로메드
과학동아
l
200005
회사 사업이 성공했을 경우에 한한다).따라서 무엇보다 바이오벤처의 연구 성과가 언제
가시
화될 수 있는지를 파악해야 한다.하지만 최근 일반인들은 마치 정보통신 벤처사의 경우처럼 1-2년 내에 커다란 경제적 이득을 취할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더욱이 회사에 대한 면밀한 검토 없이 단지 ... ...
2. 모두가 제각각 은하의 모습
과학동아
l
200005
것처럼 한 은하가 다른 파장에서는 다른 형태로 보이는 경우가 많이 있다. 어떤 은하는
가시
광선 영역에서 관측했을 때는 막대 성분이 보였는데, 적외선 관측에서는 막대 성분이 보이지 않는 것으로 관측되기도 했다. 그래서 은하분류의 기준을 어느 파장에 두어야 할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 ...
동물병원 24시
과학동아
l
200005
때문이다. 그래서 마음씨 고운 주인이 감기에 걸린 개의 입을 벌리고 점심때 준 고등어
가시
를 열심히 찾지만 개에게는 또 다른 고통일 뿐이다. 이때는 몸을 따뜻하게 해주고 물을 충분히 마시게 해야 한다.세 번째는 피부에 이상이 있을 때이다. 피부병에 걸리면 동물은 흔히 심하게 긁고 비벼댄다. ... ...
멸종위기 식물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04
식물은 돌매화 등 멸종위기식물 6종, 한계령풀 등 보호종 52종이 있으며, 산림청에서는
가시
연꽃을 비롯한 희귀식물 2백17종을 선정해 지속적인 보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섬시호는 자생지에서 이미 사라졌다고 판단되는데, 어느 곳에서도 살아 있는 개체를 확보할 수 없어 이미 복원이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02
선택하고 적외영상이나
가시
영상을 선택한다. 적외영상의 경우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가시
영상의 경우에는 12시 경에 찍은 영상을 선택해야 둥근 지구의 전체 모습을 볼 수 있다. 오전이나 오후 시간을 선택하면 지구에 햇볕이 드는 곳과 그렇지 않은 곳을 구분해 볼 수 있어 흥미롭다. GMS 위성은 ... ...
물질의 비밀을 찾아가는 길
과학동아
l
200001
오비탈에 대한 정보는 분자의 색깔을 이해하는 데에 매우 중요하게 이용된다. 분자가
가시
광선 영역의 빛을 흡수하면 낮은 에너지를 가진 오비탈의 전자는 더 높은 에너지를 가진 오비탈로 올라가서 분포의 모양이 바뀌게 된다. 분자가 빛을 흡수하기 위해서는 광자의 에너지가 두 오비탈 사이의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12
파장이 긴 붉은 빛이 눈에 다다르면서 붉은 노을이 만들어진다.지상의 광학망원경은
가시
광선대의 빛을 주로 관찰하고, 전파망원경은 보다 파장이 긴 영역을 연구한다. 별에서 오는 감마선이나 X선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우주선을 대기권 밖으로 쏘아 올려야 한다.자전과 공전이 만드는 현상들먼 ... ...
3. 기상 버라이어티쇼
과학동아
l
199911
들어가면 색깔별로 꺾이는 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물방울로 들어간 빛은 여러 색깔의
가시
광선으로 나뉜다. 이때 물방울로 들어간 햇빛과 물방울에서 나오는 빨간색 빛 사이의 각도는 42도, 보라색 빛은 40도로 빨간색이 보라색 빛보다 2도 정도 아래에 있다. 우리가 보는 무지개의 빨간색이 위로 ... ...
열 번째 행성 또다시 논란
과학동아
l
199911
만일 이 행성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면 결론은 간단하다. 그러나 이는 극히 어두워
가시
광선 영역으로는 볼 수 없거나, 혹은 은하수 부근 밝은 배경 속에 놓여있어 발견되지 않는 것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버로우 박사는 차세대 적외선 망원경이 완성되면 이 논란에 종지부를 찍을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