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4,153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10
이야기로 시작했으니 그 이야기로 끝을 맺자. 모래 언덕 너머 무엇이 있는지 보고자
길
을 떠난 주인공이 지평선의 끝에서 만난 것은, 또다른 모래 언덕과 지평선이었다. 경계 너머는 또다른 경계였다. 태양계의 끝을 찾는 이들이 마주친 풍경이 이와 다를까 ... ...
빨간 모자는 궁금한 걸 못 참아 텔로미어를 뛰어넘는 할머니의 힘!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0
남아 있는 치아와 유골을 조사한 결과 구석기 시대 후기로 갈수록 사람들의 수명은 점점
길
어졌어. 인류의 수도 확 늘어났지. 이 연구를 한 미시건대학교의 레이첼 캐스퍼리 박사는 아이를 낳자마자 먹고 살기 위해 환경과 싸우던 ‘부모’ 대신 남아 있는 조부모들이 아이를 키우고 여러 가지 생존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 산책 공간의 대수
수학동아
l
201410
가진 거리’라면 바로 화살표로 표기하는 ‘벡터’다. 따라서 우리는 단위 없는
길
이 그 자체의 곱을 찾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벡터와 벡터의 곱을 생각하게 됐다.벡터 A와 벡터 B의 곱을 ‘A∧B’로 표기하기로 하자. 이 곱의 합당한 해석은 근본적으로 A와 B를 변으로 갖는 평행사변형의 면적이다 ... ...
[참여]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라! 제4회 청심ACG수학대회
수학동아
l
201410
보통 수학대회에서는 학년별로 다른 수학 문제를 푼다. 그런데 여기, 여러 학년이 함께 같은 문제를 푸는 특별한 수학대회가 있다. 바로 ... 청심ACG수학대회를 나간 후부터 한 가지
길
만 고집하지 않고 숨겨진 여러 가지
길
을 발견해 문제를 풀어내는 게 수학의 재미라고 생각하게 됐어요 ... ...
[career] 나라 먹여 살릴 벤처 키운다
과학동아
l
201410
포스코 같은 기업이 반드시 나오도록 할 것”이라며 “그게 앞으로 우리나라가 발전할
길
”이라고 말했다.이 같은 움직임에 지역사회도 힘을 보태고 있다. 포스텍은 지난 2000년부터 매년 40~60여 개 과제를 선정해 과제당 최대 500만원을 지원하는 학부생 연구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위해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
과학동아
l
201410
많았을 텐데가장 큰 문제는 새로운 시도에 대한 주변의 저항이다. 모두들 융합만이 살
길
인 것처럼 이야기하지만, 새로운 분야에 대한 사람들의 편견과 저항은 생각 이상으로 크고 뿌리도 깊다. 내가 맨 처음 지금의 아이디어를 제안했을 때도 그랬다. 주변 사람 모두가 반대했다. 하지만 내 생각엔 ... ...
[career] 서울공대카페 21 조선해양공학과 “커다란 고래 같은 공학”
과학동아
l
201410
속에서는 시각을 제대로 활용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어두운 동굴에서 박쥐가
길
을 찾는 것처럼, 청각과 음파에 의지해 바다 속을 탐사해야 합니다.제가 학생 때 국내에는 수중음향을 연구하는 분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래서 이걸 연구하면 교수가 될 수 있겠다는 생각에 연구를 ... ...
BRIDGE. 에볼라가 보내 온 편지
과학동아
l
201409
인간과 설치류를 제외하고는 가장 넓은 영역에 걸쳐 살고 있다. ❺ 늘 체액을 분출한다.
길
을 찾기 위해 초음파를 내는데, 이때 코에서 바이러스를 담은 분비물이 나온다.박쥐는 바이러스를 많이 가지고 있으면서도 어떻게 안전한 걸까. 오랜 세월 동안 바이러스와 같이 살면서 면역력을 높였기 ... ...
[hot science] 중심별에 바싹 붙은 뜨거운 목성
과학동아
l
201409
불과 500년 전만 해도 사람은 지구가 세상의 전부라고 믿었다.세월이 흘러 우리는 태양계의 8개 행성을 발견했고, 1995년에는 최초로 태양계 밖에 있는 외계행성을 찾아냈다. ... 목성으로 다시 태어날 수는 있다. 태양과 목성처럼 대부분의 별과 행성은 이렇게 마지막
길
도 같이 하게 된다 ... ...
“지하철 9호선 팔 때 주변 흙도 쓸려나갔다”
과학동아
l
201409
수평 그라우팅 공법을 썼지만 결과적으로 편의를 위해 잘못된 공법을 이용한 셈이다.70m
길
이의 동공이 무너져 내리기 전에 미리 발견한 것은 천운이었다. 그러나 늘 이런 천운이 오는 것은 아니다.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했다. 지금까지 있었던 수많은 사고를 보면 가장 큰 문제는 기술부족이 아니라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