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d라이브러리
"
수상
"(으)로 총 1,834건 검색되었습니다.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략 세우기
과학동아
l
201107
학생을 선발하기 위한 전형들이 많이 존재한다. 따라서 수학, 과학에 관련된 교내외
수상
실적이나 활동실적을 갖고 있는 학생은 특별전형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계획을 세우는 편이 바람직하다. 주로 서류평가로 일정 배수 학생들을 선발한 다음 심층면접으로 최종 합격자를 선발하는 ... ...
Part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
과학동아
l
201107
쏟아지는 폭우 때문인지 이상한 우산도 걸어 놨다. 옆면에는 ‘볼텍스3’이라 적혀 있다.
수상
해 보이지만 왠지 마음이 끌려 손을 들었다.스톰 박사 네브래스카 주요? 우리도 지금 거기로 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마을에서 좀 동떨어진 평원으로 갈 예정인데요. 우리는 토네이도를 사냥하는 과학자,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
과학동아
l
201107
중학교에 입학해서 전교 상위 10%의 상위권이던 성적이 더 좋아지고 있다. “교내에서
수상
한 적은 없니?” “경시대회는 안 나갔어요. 로봇 조립을 좋아해서 과학상자 대회에서 은상을 받았어요.” 사생대회나 글짓기대회에 나가서 장려상을 탄 적도 있다는 B학생은 알고 보니 어느 한 가지 특기는 ... ...
“전문 항공기술의 꿈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107
1학년 1학기부터 3학년 1학기까지의 성적을 반영한다. 비교과성적은 출결사항, 봉사활동,
수상
실적을 반영한다. 참고로 전년도 1차 전형 합격자의 평균 내신성적은 남자 상위 15%, 여자 상위 7%였다. 1차 전형에서는 최종 합격인원의 3배수를 선발한다.2차 전형에서는 어떤 문제 유형이 출제되는가?2차 ... ...
수상
이력 보다는 자유로움 꿈꾸길
과학동아
l
201107
시리즈로 유명한 리차드 게리엇은 게임을 만드는 사람들이라면 모르는 이가 없다. 그의
수상
이력은 게임계 명예의 전당에 5번 선정된 것이 전부다. 그가 경시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냈다는 기록은 찾을 수 없다. 빌게이츠 회장은 PC용 운영체제 사업화를 위해 미국 하버드대를 중퇴했고, 마이클 델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프로야구 왜 133경기 할까?
수학동아
l
201107
야구에 대한 열망으로 최다 연승, 최다 탈삼진을 기록하며 최우수선수(MVP) 상을 3년 연속
수상
한 대한민국 천재 투수 김상남 선수가 코치로 부임한 것. 그는 언젠가부터 초심을 잃고 슬럼프에 빠진 나머지 음주와 폭행을 일삼아 경찰서를 드나드는 신세가 됐다. 결국 야구징계위원회가 열렸고 퇴출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06
알아내 뇌의 정보처리 방식을 이해하려는 것이다.수학으로 뇌 연구해 노벨상까지
수상
그런데 수학으로 뇌를 어떻게 연구하는 걸까? 연구팀은 병원이나 실험실에서 얻은 뇌 영상과 뇌 활동영상을 수학적인 방법으로 분석해 뇌 네트워크를 이해한다. 이를 통해 어떤 부분이 뇌에서 핵심역할을 하는지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06
지나가는 우주선 입자의 실체를 정확하게 규명할 수 있다. 폴 디랙은 1933년 노벨물리학상
수상
연설에서 우주 어딘가에는 반물질로 이뤄진 세상이 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그 뒤 주류 물리학은 우주가 물질로 이뤄져 있다고 가정했으므로 디랙의 코멘트는 기억의 저편으로 사라졌다. 그런데 ... ...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06
뇌과학연구소장에 이어 세 번째인데다가 물리학자로서는 처음이다. NAS에는 노벨과학상
수상
자만 200여 명이다. 말 그대로 최고의 과학자 집단이다. 임 교수는 “내년 상반기에 입회식이 있는데 무척 기대된다”고 설레어 했다.임지순 교수는 세계적인 고체이론물리학자다. 2000년 세계최소형 ... ...
노벨상
수상
자와 함께 나만의 열정 찾다
과학동아
l
201106
꿈꾸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과학나눔 강연회를 열었다. 강사는 1988년 노벨상
수상
자인 로버트 후버 막스플랑크연구소 명예소장과 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다. 두 거장의 연구 이야기를 듣고 학생들이 질문하는 자리도 마련됐다.“유전자 서열 분석? 이거 어떻게 하는 건지 책에서 봤는데….”강연 1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