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초"(으)로 총 4,5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름밤을 흐르는 우윳빛 강물 은하수어린이과학동아 l201413
- 조리개를 최대한 열기 위해 조리개 값(F값)은 가장 낮게 설정하고, 셔터 속도는 15~30초 정도로 길게 주면 돼요.스마트폰으로도 은하수를 찍을 수 있을까요? 노출을 길게 해 촬영하는 앱을 사용하면 밝게 빛나는 별들을 찍을 수 있어요. 하지만 카메라로 찍을 때처럼 밝고 선명하게 촬영하기는 ... ...
- 2014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서울 숲의 진짜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13
- 명예기자와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지구사랑탐사대 친구들이 서울숲으로 출동했어. 왜냐고?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때문이지. 이건 또 뭐냐고? 명예기자이자 지구사랑탐사대원이고 기자단인 우리가 함께 했으니, 우릴 따라와 보면 알 수 있을 거야~.생물번개, 바이오블리츠!바이 ... ...
- 무한도전 멤버도 몰랐던 카레이싱 사이언스어린이과학동아 l201413
- 소재를 여러 장 겹쳐서 만들어요. 국제자동차연맹에서는 레이싱슈트에 800℃의 불꽃을 12초 동안 쏘았을 때 입은 사람이 약간의 뜨거움만 느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지요. 또 레이싱슈트 어깨 부분에는 손잡이가 붙어 있어요. 만약 사고로 운전자가 의식을 잃으면 밖에 있는 사람들이 운전자를 빠르게 ... ...
- [생활] 영화 한 편 내려받는 데 1초 LTE-A보다 1000배 빠른 5G수학동아 l201412
- 볼 수 있다. 이런 5G 기술이 당장 상용화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 세계 최초로 5G 시대를 열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이 기술의 중심에 수학이 있다. 5G 가능하게 하는 수학이동통신 시스템은 디지털부와 아날로그부로 나뉜다. 디지털부는 컴퓨터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다양한 신호를 ... ...
- [참여] 수학을 배우고, 나누고, 즐기는 제4회 창의적수학토론대회!수학동아 l201412
- 토론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보여준 6학년 정승우(양재초), 이민지(서일초), 민준규(잠원초) 학생으로 구성된 ‘지니어스’ 팀이 차지했다. 정승우 학생은 팀을 대표해 “수학 토론에서 세 차례의 발언 기회를 팀원 모두가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이 대상을 받게 된 이유인 것 같다”며, “수학을 ... ...
- PART5. 핵융합의 난관과학동아 l201412
- 플라스마를 가동하는 시간이다. 이 수치는 꽤 커서, 현재 케이스타등 토카막에서는 수십 초 수준, 스텔러레이터에서는 수십분 수준을 달성하고 있다.야생마 같은 난류 길들이기현재 연구 중인 핵융합 장치들의 에너지 가둠시간은 약 0.2~0.3초 정도다. 다시 말해 우리는 핵융합 장치의 보온성을 ...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과학동아 l201412
- 이들은 분담금을 나눠 낼 뿐만 아니라, 각각 특정 부품의 개발을 담당한다. 한국은 초전도체 제작 기술, 블랑켓(핵융합발전소에서 중성자를 흡수해 열 에너지로 바꾸고 삼중수소를 만드는 부품) 제작 기술, 열 차폐 제작기술, 진공용기 제작, 진단 등의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세계에서 유일하게 ... ...
- [과학뉴스] 키스 10초에 미생물 8000만 개!과학동아 l201412
- 나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자유대 렘코 코르드 교수팀은 10초 동안 키스를 하면 약 8000만 개의 구강 미생물이 상대방의 입으로 옮겨진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미생물군집’ 11월 17일자에 발표했다. 인체에 사는 미생물은 100조 개 이상으로, 음식 소화를 돕고 면역력을 ... ...
- [과학뉴스] “나 박쥔데, 시끄러워서 살 수가 있어야지.”과학동아 l201412
- 놀랍게도 브라질 큰귀박쥐는 압축기가 있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소리를 더 오래(0.9밀리초) 냈고, 발사하는 주파수 폭은 약 0.6kHz 정도 줄어들었다. 번클리 박사는 “박쥐가 내는 주파수가 변하면 먹이를 찾는 능력에도 변화가 있었다는 뜻”이라며 “사람이 만든 소음이 박쥐의 삶에 영향을 ... ...
- [life & tech] 운석 연구하면 ‘□’를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1412
- 태양계 나이와 유사한 45억9700만 년에서 44억8500만 년 사이로 나타났어요(11월 18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발표). 사실 진주운석은 그렇게 희귀한 운석은 아닙니다. 하지만 세계 역사상 유례가 없을 정도로 떨어질 때의 기록이 많죠. 제가 확보한 블랙박스 영상만 70~80개인걸요. 좀 더 분석하면 새로운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