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로"(으)로 총 1,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년 06호
- 그리고 첨단기술이 만나는 현장이었다. 8시 35분, 격납고 문이 열리고 소형차 만한(가로 세로 각 2.4m, 높이 1.3m) 크랩스터가 모습을 드러냈다. 빨간색 천장에 각종 센서와 조명, 그리고 전력을 공급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 검은 케이블 등이 달려 있었다. 몸체는 밀봉돼 있지 않았다. 10m 들어갈 ... ...
- [지식] 여섯 번째 요리 문제는 선택이야! 이항정리와 커리수학동아 l2015년 06호
- 피보나치의 수열까지 다양한 수열이 파스칼의 삼각형 속에 숨어 있습니다. 삼각형의 가로 방향의 합은 항상 2의 거듭제곱입니다. 서로 다른 n개를 조합하는 모든 경우를 더하면 2ⁿ개라는 뜻입니다. 삼각형의 대각선 방향의 합은 마지막 수의 반대 방향 아래에 있는 수와 같습니다. 짝수와 홀수 ... ...
- [생활] 메럴 카르호프 솔솔 부는 바람으로, 술술 작품 만들다 !수학동아 l2015년 06호
- 대한 확신이 있었다.처음에는 목도리와 같은 간단한 제품을 주로 만들었다. 목도리는 가로 길이가 일정해서, 실 색깔과 디자인만 결정하면 여러 개를 만드는 게 쉬웠다. 이런 독특한 제작 방법이 세상에 알려지고, 주목을 받자 카르호프는 더 과감해졌다. 만들 수 있는 범위를 넓히기로 했다. 가구를 ... ...
- Part 3. 강함을 배운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장씩 찍는 초고속카메라로 촬영해 분석했다. 그 결과 새가 날개를 아래로 내릴 땐 깃털을 가로로 눕혀 양력을 최대한 많이 발생시키고, 올릴 땐 깃털을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 공기저항을 최소화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같은 원리로 왼쪽으로 비행할 땐 오른쪽 날개의 깃털을 눕히고 왼쪽 날개 깃털을 ... ...
- [Knowledge] 뜨거운 건 무거워야 안다과학동아 l2015년 05호
- 의미가 있다.지구를 둘러싼 공기층은 우리에게 생각보다 큰 압력을 가한다. 손바닥 위에 가로 세로가 각각 1cm가 되는 작은 정사각형을 그려보자. 대기권이 우리 몸을 누르는 힘은 이 작은 면적(1cm2)에 무려 질량 1kg인 물체가 하나 올라 있는 것과 같다. 성인 몸의 전체 표면적은 보통 1.5m2 이상이다. ... ...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발간했다. 1:315,000 축척으로 매우 세밀하게 인쇄한 뒤 손으로 채색한 지도였다. 크기가 가로 세로 각각 1.8m, 2.6m로 매우 컸으며, 열악한 인쇄 기술 탓에 16장으로 나뉘어 발간됐다. 아마추어 측량사라며 스미스를 견제하고 차별했던 당시 귀족 중심의 영국 학계는 충격에 휩싸였다. 이후 전 세계의 ... ...
- [지식] 수학으로 내다보는 황사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빠진다. 예보관의 지식과 경험, 노하우가 뒷받침돼야 하는 이유다.μg/m³★ 농도의 단위로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m인 공간에 1만 분의 1g의 먼지가 있다는 뜻. 올해 황사는 보통 수준올봄의 황사는 어떨까. 국립기상과학원 황사연구과의 김정은 연구사는 “지난 겨울에 강한 황사가 관측됐다는 것은 ... ...
- PART3. 4D 프린팅의 마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교수가 모인 연구팀이 종이접기 형태의 로봇을 제안하면서 상황이 반전됐다. 연구팀은 가로 세로 길이 약 5cm 가량의 종이접기 로봇을 종이비행기와 종이배로 스스로 변신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 때는 3D 프린터를 이용하지 않았지만 3년 뒤에는 몸체에 형상기억합금과 전기회로를 내장한 종이접기 ... ...
- [Knowledge] 지상에서 운용되는 우주기술과학동아 l2015년 03호
- “큐브샛”이라고 말해줬다.큐브샛은 20세기 말 미국에서 개발된 초소형 위성이다. 가로, 세로, 높이 각각 10cm의 정육면체형 기기를 기본 단위(1U라고 한다)로 하고, 이 기본 단위를 두세 개 연결해서 길게 만들기도 한다. 큐브샛은 개방형 위성이라 안에 통신, 생명과학, 재료 등의 실험 장비를 ... ...
- [생활] 허리케인이 만든 음악을 들어보세요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않는 답니다.” 미에바크의 작품을 자세히 들여다 보면, 이처럼 바구니를 구성하고 있는 가로축과 세로축이 어떤 정보를 담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둔 쪽지나 메모를 확인할 수 있다. 미에바크는 과학자도 통계학자도 아니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분야를 자신만의 방법으로 표현하고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