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학기술"(으)로 총 8,404건 검색되었습니다.
- [4컷 만화] 몸속에 숨은 미세플라스틱, 빛으로 찾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3월 3일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등이 참여한 공동연구팀●은 몸속 미세플라스틱을 찾아내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미세플라스틱은 플라스틱이 쪼개지면서 생기는 지름 5mm 이하의 조각들이에요. 크기가 매우 작아서 하수처리가 되지 않은 채 강이나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물고기가 이 ... ...
- [시사과학] 역대 최대, 최장 기록 남긴 동해안 산불 213시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침엽수가 그야말로 불쏘시개 역할을 했다”라고 전했다. 기후위기로 커지는 위험광주과학기술원 윤진호 교수는 “지구 평균 기온이 0.5℃ 오르면 대형 산불 위험이 두 배 이상 잦아질 수 있다”고 전했다. 또한 유엔환경계획(UNEP)은 2월 23일 기후위기로 전 세계에 강한 산불이 더욱 빈번하게 발생할 ... ...
- [특집] 포인트만 딱딱! ICM 관전 포인트수학동아 l2022년 07호
- “으악, 말도 안 돼!”올해 2월 24일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전 세계는 큰 충격에 빠졌어요. 수학계도 영향을 받아 국제수학연맹은 러시아의 군사 행동을 규탄하기 위해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기로 했던 2022 ICM을 취소했어요. 결국 수학자들은 2022 ICM을 온라인으로 열기로 했지 ... ...
- [에디터 노트] 독자들과 코인을 캐는 상상과학동아 l2022년 07호
- 6월호에 첫 스타트를 끊은 ‘취미코딩’에 159명이 신청했습니다.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숫자였습니다. 그만큼 데이터분석을 배우고 싶은 사람이 많다는 의미겠죠. 모집기간이 끝난 뒤로도 관심을 보이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7월 10일까지 추가로 문을 열어두려 합니다. 관심있는 분은 참여 ... ...
- 어르신, 키오스크 왜 못 쓰세요?과학동아 l2022년 07호
- 환경에 익숙한 젊은층에게는 괜찮지만 고령층에서는 이해가 쉽지 않다.권오상 울산과학기술원(UNIST)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는 “사람은 나이가 들면서 시각, 인지 기능이 자연스럽게 줄어든다”며 “그중 하나는 시각정보가 좁은 공간에 여러 개 있을 때 이를 명확하게 인지하지 못하는 ‘비주얼 ... ...
- 우주 공장에서 만드는 물방울 렌즈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지난해 지구를 떠난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시운전에 들어갔다. 과학자들은 이후에도 루브아(LUVOIR), 로만(ROMAN) 등 최첨단 우주망원경 등을 제작해 우주의 신비를 풀어낼 계획이다. 한편 물처럼 흐르는 물질로 우주에서 초대형 렌즈를 만들겠다는 연구도 진행 중이다. 바로 유체망원경 실험(FLUTE)이 ... ...
- [이달의 책] “세상에 의미 있는 것을 만들어라”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전길남, 연결의 탄생구본권 지음│김영사│392쪽│1만 8800원 1982년 9월, KAIST에는 전길남 교수가 부임하며 시스템구조연구실이 새로 생겼다. 전 교수는 학생들에게 세상에 없는 새로운 것을 만들라고 가르쳤다. 스타트업은 커녕 벤처 기업이란 말도 생소했던 시기였다. 그러니 학생들은 이따금씩 지 ... ...
- 과학자도 노트필기를 잘해야 한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시점에서, 어디까지 진행됐는지 증명하는 자료가 된다. 2011년 10월부터 시행된 ‘국가과학기술위원회훈령 연구노트지침’에 따르면, 연구노트가 객관적인 증거로써 효력을 발휘하려면 주기적으로 제3자에게 내용을 확인받았다는 서명이 있어야 한다.최근에는 기록한 내용을 좀 더 정확히 보장할 수 ... ...
- [특집] 블록체인, 불평등을 불러온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최근 몇 년간 전 세계는 암호화폐 채굴 및 투자로 인한 열병을 겪고 있다. 암호화폐에 이어 대체불가능토큰(NFT), 메타버스, P2E(Play to Earn)게임 등 블록체인은 삶과 경제를 완전히 혁신할 수 있는 기술 화두로 떠올랐다. 그런데 블록체인이 과연 긍정적인 미래로 우리를 이끌어나갈 것인가? 현재로서는 ... ...
- [논문탐독] 세상을 들어 올리는 지렛대 과학자들의 실험실과학동아 l2022년 07호
- 것이어야만 한다는 믿음이 있었으나 이제는 이 둘의 분리를 말하는 과학자는, 적어도 과학기술학 분야에서는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여러분은 어떤가요. 아직도 실험실에 있는 과학자들이 사회와 유리되어 자신만의 호기심을 좇고 있는 것처럼 보이나요, 아니면 세상을 바꿀 힘을 만들어내는 이들로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