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그래프"(으)로 총 1,088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수학동아 l2015년 11호
- 줄기의 지름 같은 정보를 넣어 수학모형을 만든 것이다. 이 모형의 결과는 다각형 모양의 그래프로 나타난다. 만약 정체를 알고 싶은 동물의 정보를 수학모형에 넣었을 때, 결과가 다각형 안에 있다면 새라고 볼 수 있다. 연구팀은 시조새 화석에서 얻은 정보를 이수학모형에 넣은 결과, 시조새는 ... ...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파장에 따른 빛의 흡수율 그래프가 두 개의 날카로운 봉우리 모양으로 바뀌면, 흡수율 그래프의 선폭이 좁아지고 군속도가 매우 느려진다. 그결과 집단굴절률이 매우 커진다. 이 현상을 ‘전자기유도투과(EIT, Electromagnetically Induced Transparency)’라고 부른다. 루비듐 이후에는 고체, 반도체, ... ...
-
- [Knowledge] 꿈틀대는 강속구의 비밀과학동아 l2015년 11호
- 투수들이 던지는 직구의 분당 평균 회전수는 2200회다. 메이저리그의 통계(오른쪽 그래프)를 보면, 회전수가 높을수록 타자가 헛스윙을 할 확률도 높았다.마무리는 불 같은 강속구?데이는 회전수의 위력을 가장 잘 살리는 투수로 보스턴 레드삭스의 마무리 투수, 우에하라 코지를 예로 들었다. 마무리 ... ...
-
- [knowledge] 산신령이라 불렸던 사나이과학동아 l2015년 10호
- 토드 헬튼은 2002년부터 은퇴시즌인 2013년까지 홈의 OPS가 원정보다 0.1 이상 높았다(오른쪽 그래프 참조). 그가 한창 전성기를 누리던 2000년대 초반에는 홈과 원정 OPS가 0.25 이상 차이가 나기도 했다. 때문에 그의 훌륭한 성적에도 불구하고 항상 비아냥 이 따라다녔다. 그를 옹호하는 이들은 다른 ...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반면 긍정적인 게시물에 노출된 빈도가 줄어든 사람들은 정반대의 패턴을 보였다(왼쪽 그래프 참고). 길로리 교수는 논문에서 “이번 연구 결과는 직접적인 접촉이 없더라도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를 통해서도 감정이 전이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말했다.또 다른 의견도 있다. 김상희 ...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박사는 수학을 적극 활용해 오리가미 활동을 하는 전문 작가다. 그는 수학의 한 분야인 그래프 이론을 적극 활용해 ‘크리스 패턴’이라는 전개도를 만든다. 칼이나 풀 없이 종이 한 장으로 작품을 만드는 데 꼭 필요한 전개도다.수학자들은 여기에 ‘한 번만 자르기’와 같은 조건을 붙여 유희 수학 ... ...
-
- [생활] 페이 경쟁 생체인증이 대세수학동아 l2015년 09호
- 가까우면 본인으로 인증하고, ③에 가까우면 인증을 거부한다. 한편 일단 만든 목소리 그래프는 완전히 수학적인 표현으로, 다시 원본 목소리로 복원할 수 없다. 생체인증, 이중 보안이 필요하다생체정보는 평생 동안 거의 변하지 않는 각 사람의 고유한 특징이다. 개인을 정확히 인증할 수 있도록 ...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상상 이상으로 어렵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문제가 ‘특이점’이다. 특이점이란 함수 그래프로 말하자면 뾰족한 지점이다. 접선을 그릴 수 없고 따라서 기울기도 구할 수 없다. 즉, 미분이 불가능하다. 미분방정식은 미지의 함수를 여러 번 미분한 도함수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방정식이기 때문에, ... ...
-
-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호지킨-헉슬리 방정식’을 만들었다. 그 결과 신경세포가 자극을 받으면 흥분하면서 그래프가 뿔 모양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알아 냈다. 전압이 원래보다 급격히 높아졌다가 뚝 떨어진 뒤, 다시 원래 값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전압뿔은 신경돌기를 따라 연쇄적으로 나타나며, 1초당 18.8m로 이동했다 ... ...
-
- Part 3. 적분은 미분의 반대가 아니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측도로 정의할 수 있다. 르베그는 측도로부터 적분을 새롭게 정의했다. 리만이 함수 그래프를 세로로 쪼갠 것과 달리 가로 방향으로 쪼갰다. 그리고 특정 함수 값에 해당하는 정의역 구간의 길이, 즉 측도를 구해 함수값을 곱한 뒤 모두 더했다. 이 값이 바로 르베그 적분이다. 르베그는 대중을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