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마존강 도전장을 내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지도마다 축척●이 달라서 정확도가 매우 떨어졌고, 논쟁은 계속 이어졌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인공위성이 개발되면서 보다 쉽게 강의 길이를 잴 수 있게 되었어요. 지난 2008년 브라질 국립우주연구소 파울루 마르티니 박사팀은 위성 이미지를 분석해 아마존강이 6992km로 나일강보다 140km 더 ... ...
- [이달의 과학사] 1992년 8월 11일, 우리나라 최초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돌고 있어요. 당시 제작에 참여했던 KAIST 인공위성연구소는 우리별 1호를 발사한지 30주년이 되는 해, 우리별 1호 귀환 임무를 추진한다고 발표했어요. 2027년 우리별 1호를 우주에서 지구로 가지고 온다는 구상입니다. 만약 성공한다면 지구를 돌고 있는 수십만 개의 우주 쓰레기를 해결하는 기술까지 ... ...
- 무궁화 나라꽃이 된 사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내용이 실렸지요. 고조선 때부터 한반도에 무궁화가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300년경 삼국시대부터 무궁화는 우리나라의 상징처럼 불리기도 했습니다. 897년 신라의 학자 최치원은 당나라에 보낸 나라 문서인 에 ‘근화향’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근화향과 근화지향은 ... ...
- [현장취재①] 야생동물의 천국, 야쿠시마 탐사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바다거북 관찰회’가 기다리고 있었기 때문이죠. 야쿠시마 바다거북관에 따르면 매년 5월에서 8월 사이 일본에 상륙하는 붉은바다거북 중 절반 정도가 야쿠시마에서 산란을 해요. 관찰회에서는 빛이 새어나오는 어떤 물건도 허용되지 않았고 소리도 되도록 내지 말아야 했어요. 산란을 준비하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집구석 역사 탐험?! 디지털 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5호
- 미래의 박물관에서 현재의 디지털 기술을 유물로써 감상할 날도 오지 않을까요? 몇십 년 후에 여러분이 할아버지, 할머니가 된다면 후손들에게 이렇게 말해주세요. “나 때는 말이야. 이런 디지털 박물관도 있었어!”라고 말이죠 ... ...
- 바둑이 넌 누구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이번 연구를 함께한 경북대학교 유전공학과 하지홍 명예교수는 “일제 강점기였던 1940년대 초, 일본군은 전쟁 물자로 쓸 모피를 얻기 위해 우리나라에 사는 토종개 150만 마리를 잡아갔다”고 설명했어요. 이때 멸종된 줄 알았던 바둑이를 복원할 수 있었던 건, 함께 사라진 줄 알았던 우리나라의 ... ...
- [만화 뉴스] 지하수 사용, 해수면 상승시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지하수가 바다로 흘러가 물의 분포가 달라지면 지구의 회전축도 바뀌죠. 연구팀은 1993~2010년 지구 자전축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 사용으로 자전축이 약 64.16cm 기울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서기원 교수는 “지구 자전축 변화로 지하수 고갈이 해수면을 높였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라고 ... ...
- [현장취재②] K-시민과학 지구사랑탐사대, 국제 학술 대회 데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대한 정부 지원이 거의 없다”며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어요. 김예은 매니저는 “10년간 참여한 약 2만 4000여 명의 대원들 덕분에 논문도 4편이나 출간되고,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서식지를 복원할 수 있었다”며 “지사탐에 적극적으로 참여해 달라”고 전했습니다 ... ...
- [시사과학] 내 SNS 기록, 가족에게 상속할까? 말까? 디지털 유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못했어도 동의한 것으로 가정해 잠금 해제를 청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2021년 애플은 ‘디지털 유산’ 기능을 도입했어요. 애플 기기를 소유한 사람이 사망할 경우, 애플 계정의 데이터에 접근할 수 있는 관리자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지요. 관리자는 사진, 메시지, 메모, 다운로드한 앱 ... ...
- 바둑이를 만난건 삽살개 사랑 덕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992년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됩니다. 삽살개 복원 사업을 시작한 지 약 20년 만인 2000년대 초반, 짧은 털에 얼룩무늬를 가진 바둑이가 처음 태어났습니다. 삽살개의 유전자 속에 짧은 털과 얼룩무늬를 가진 바둑이 유전자가 섞여서 숨어 있었던 거죠. 하 교수는 “삽살개처럼 바둑이의 원래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