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쪽"(으)로 총 935건 검색되었습니다.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과학동아 l2001년 02호
- 것이 란다. 또한 삼수가 묘수(좀생이)를 따라잡는 일도 하늘에서 실제로 일어난다. 즉 동쪽에서 떠오를 때는 묘수가 삼수보다 약간 서쪽에 앞서가는데, 서쪽 지평선으로 질 때는 삼수와 묘수가 거의 동시에 진다. 이런 모습을‘따라잡는다’고 표현한 것이다 ...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과학동아 l2001년 02호
- 하고 얼른 되물었다. 그랬더니 필자를 한심하다는 듯 빤히 쳐다보며 “서쪽으로 지니까 동쪽에서 뜨지” 하는 것이 아닌가. ‘그러면 그렇지’하면서 결국 실소를 머금고 말았지만, 사실 지구의 자전 때문에 해가 상대적으로 겉보기운동을 하는 현상은 어른들도 이해하기 쉽지 않다. 더구나 ...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과학동아 l2001년 01호
- 신격화‘신증동국여지승람’이라는 오래된 책을 보면, 고려 고종 때 평안도 정주 동쪽 50리에 있는 위도라는 섬에 굵기가 기둥만한 구렁이가 살았다고 한다. 하루는 지나가던 관리 앞에 이 구렁이가 나타나 사람말로 “이 섬에 살고 있는 주민들은 머지 않아 반드시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고 ...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과학동아 l2001년 01호
- 47˚이다. 이때를‘최대이각’이라고 한다. 최대이각은 두번 나타나는데, 금성이 태양의 동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질 때를‘동방최대이각’, 서쪽으로 가장 멀리 떨어질 때를‘서방최대 이각’이라고 한다. 바로 17일이 금성이 동방최대이각인 시기다 ...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과학동아 l2001년 01호
- 하지 한달 전에는, 즉 5월에는 틀림없이 해가 더 남쪽에서 떴을 것이다. 우리는 해가 뜨는 동쪽을 바라보고 있으므로 그림에서 오른쪽이 남쪽이 된다. 따라서 문제(2)의 정답은 C다. 하지 한달 후, 즉 7월에도 해는 더 남쪽에서 뜰 것이므로 문제(3)의 정답도 역시 C가 되겠다.어제가 하지가 아니고 ...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면적이 20×10쿠데(1 쿠데=0.5m)이며 높이는 11.172쿠데(5.586m)이다.이를 계산해보면 서쪽과 동쪽 긴 단면의 대각선은 15쿠데(7.5m)가 된다. 이럴 경우 직각삼각형의 밑변이 10쿠데(5m)이고 높이는 √5가 된다. 이 15쿠데(7.5m)의 대각선은 긴 밑변과 긴 변 대각선이 3:4:5인 ‘직각삼각형’이 된다.현실의 위치가 . ...
- 러시아 우주정거장 미르 최후의 임무과학동아 l2000년 12호
- 러시아 정부는 이에 회의적이다.러시아의 미하일 카지야노프 수상은 “미르를 호주 동쪽 1천5백-2천km의 태평양에 폐기한다”고 발표하면, “마지막 비행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러시아의 의무”라고 밝혔다.우주 공간에 떠있는 위성체는 바깥으로 뛰쳐나가려는 원심력과 지구에서 끌어당기는 ...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과학동아 l2000년 12호
- “저게 목성과 토성이야”라고 큰소리쳐도 전혀 실수가 없다. 지난 여름부터 새벽 동쪽하늘 황소자리에 숨어있던 두 행성은 지난 11월 20일에 토성이, 28일에는 목성이 각각 지구와 ‘충’을 이루었다. ‘충’이라는 것은 지구에서 볼 때 외행성이 태양의 정반대 위치에 왔을 때를 말하는데, ...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과학동아 l2000년 11호
- 투명하게 보인다. 이 때문에 별빛의 색도 선명하게 느껴지는 시기다.11월의 저녁, 동쪽하늘 높이 붉은색으로 빛나는 별이 유난히 눈길을 끈다. 겨울을 알리는 오리온자리의 1등성 베텔게우스다. 다시 남쪽으로 눈을 돌리면 푸르게 빛나는 남쪽물고기자리 1등성인 포말하우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과학동아 l2000년 11호
- 복원하는데 더없이 귀중한 자료다. 암각화 연구는 한국 암각화가 중앙아시아에서 동쪽으로 연해주에 이르는 암각화 분포권에 속하고, 한국 암각화에서 나타나는 그림이 시베리아나 몽골 그리고 알타이산맥을 중심으로 분포돼 있는 것과 공통점이 있음을 보여준다.현재 우리나라의 암각화 연구는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