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Rome
roma
롬
d라이브러리
"
로마
"(으)로 총 645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Pluto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3월13일에 공식 발표했다. 즉 태양계의 아홉번째 행성이 발견된 것이다. 이 행성은 후에
로마
시대 지하세계의 신 이름을 따서 플루토(Pluto)라 명명됐다. 행성 X와 플루토이 행성이 비록 로웰이 예언한 위치로부터 멀지않은 위치에서 발견되기는 했지만 이것이 로웰이 예언했던 행성 X는 아닌 것으로 ... ...
1.판구조론으로 들어 본 지구의 숨소리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옛사람들은 화산과 지진이 초자연적인 힘에 의해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했다. 예를 들면
로마
신화에서 화산은 불의 신 불카누스(Vulcanus)의 대장간 굴뚝으로 묘사됐으며 동양에서는 지진이 지하에 살고 있는 괴물이 꿈틀거려 일어나는 것으로 믿었다. 화산과 지진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기 시작한 것은 ... ...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이전에는 그저 평범한 칠판 위에 쓰여져 있던 아라비아 숫자가 무슨 요술처럼
로마
숫자로 바뀌는 모습을 보는 순간 뿌듯한 심정과 무언가 힘이 솟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이들이 벌인 해킹 중에서 가장 전설적인 것이 바로 '우주전쟁'(Spacewar)이라는 최초의 본격적인 컴퓨터 게임이었다. 달팽이라는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등 세곳이 모두 온대에 속한다는 사실도 우연이 아니다. 근대 문명을 대표하는 그리스
로마
의 문명이나 중국문명 역시 온대지방이라는 공통된 배경을 갖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이 지역들이 비교적 먹이를 얻기가 쉬운 곳이라는 공통점도 있다는 사실을 눈여겨 볼 필요가 있다.만일 문명의 발상지나 ... ...
화성에 있음직한 생명체 지구에서 발견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않은 셈.고대 중국에서는 불의 행성, 바빌로니아에서는 질병과 죽음의 행성, 고대 그리스
로마
에서는 전쟁의 신으로 통했던 화성에 정말로 생명체가 존재하느냐는 오랜 세월에 걸쳐 논란의 대상이 되었으나 지금은 적어도 고등생물은 살고 있지 않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러나 미생물과 같은 ... ...
하늘을 거꾸로 걷는 사나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Ophiuchus)다. 이 별자리는 그리스 신화 속에 나오는 의학의 신 아스클레피오스(Asclepios,
로마
신화의 Aesculapius)의 별자리다. 뱀주인자리는 뱀자리(Serpens)에 의해 둘러 싸여져 있는데, 이 뱀은 아스클레피오스에게 의학의 영감을 준 상징으로 전해진다.아스클레피오스는 아폴로 신(태양신)과 코로니스라는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이끌어 들였던 파운데이션 시리즈(은하제국의 흥망)라 할 수 있다. 1941년 8월 아시모프는 '
로마
제국 흥망사'에 자극받아 은하계의 규모로 확장된 인류제국의 붕괴와 부활의 역사를 그린 새로운 작품을 구상하여 캠벨에게 검토소재로 제출했다. 이 작품은 캠벨의 지시에 의해서 하나의 미래사를 ... ...
모로코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하고 '블루비스'라고도 하는
로마
통치시대의 거점이 있다. B.C.145년~A.D.439년 동안
로마
제국이 모로코를 지배할 때 이곳을 거점으로 삼았던 것이다. 블루비스는 모로코에 현존하는 최대의 유적이며 현재도 계속 발굴 중이다. 그 규모는 실로 엄청나다. 40헥타르(ha)의 부지에 여덟개의 성문과 40개의 탑이 ... ...
4. 1백년 후엔 해안선이 20㎞ 후퇴할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라는 것이다. 이러한 자연의 항상성은 사회의 규범이며 선한 것이라는 주제는 그리스나
로마
시대로 부터 서구사회를 지배해 왔다. 우리나라도 삼국사기나 삼국유사 등의 역사기록에서도 잘 나타나 있듯이 지진이나 풍수해 한해 등 자연적인 환경변화를 재앙으로 여겨온 것은 마찬가지였다.그러나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그곳을 통치하게 됐다. 이때부터 생각을 바꾸고 사람들에게 농사짓는 법을 가르쳤다.
로마
시대에 와서 크로누스는 '농사의 신' 새터누스(Saturnus)의 이름을 따서 새턴(Saturn)으로 불리게 됐다. 그들은 겨울 씨를 뿌릴 때인 매년 12월 17일을 새터날리아(Saturnalia)라 해서 대축제를 열고 향연을 베풀었다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