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건
사물
미확인비행물체
유에프오
미확인
비행
물질
d라이브러리
"
물체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2040년 로봇을 예측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이유는 무엇인가요?로봇이 물류 창고에서 일하려면 자세 측정(Pose Estimation) 기능과
물체
인식 기능이 있어야 합니다. 이런 기술들이 아직 완전하지 않습니다. 창고 내 물건이 늘 같은 상태로 놓여 있는 게 아닌 만큼 로봇 입장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죠. 오차를 수mm 수준으로 줄여야 상용화할 수 ... ...
적군 감시하는 렌즈 공학자 "물리의 매력에 빠진 중학생이었죠"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군사용 전자광학장비로는 열상감시장비(TOD)가 있다. 열상감시장비는 눈에 보이지 않는
물체
의 열(적외선)을 감지해서 영상으로 보여주는 장비다. 공항에서 출입국할 때 승객들의 체온을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를 떠올리면 이해하기 쉽다. 군사용 열상감시장비는 어두운 밤에 빛을 증폭해서 보는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잡아당기다’는 뜻의 라틴어 ‘stringere’에서 유래했어요. 원래는 물리학에서 줄과 같은
물체
에 긴장을 만드는 힘을 의미했는데, 1930년대에 생리의학 분야에서 사용되면서 해로운 요소나 자극을 받았을 때 몸에 일어나는 긴장 상태란 뜻도 생겼어요.캐나다 내분비학자 한스 셀리에는 스트레스 ... ...
자율주행차 안전성 높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따라 빛의 세기, 즉 그림자의 변화를 추적하지요. 그럼 라이다 센서로 확인하기 어려운
물체
의 위치와 속도를 보다 빠르게 알아낼 수 있어요. 연구팀은 주차장 모퉁이에서 차량이 다가올 때 라이더를 단 차량과 섀도캠을 단 차량이 이 차량을 탐지하는 속도를 비교했어요. 그 결과, 섀도캠을 단 ... ...
[통합과학교과서] 해님 달님, 늑대의 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입을 열었지요.“내가 고백할 것이 있네.” 용어정리* 운동에너지 : 운동하는
물체
가 지니는 에너지.* 나노 : 10억분의 1을 나타내는 말. 나노 입자는 표면적이 1~100m의 10억분의 1인 입자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내 마음대로 둥둥 뜨는 잠수부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르네 데카르트가 발명했다고 전해져 ‘데카르트의 잠수부’라고 불리지요.
물체
가 물에 뜨기 위해선 물보다 밀도가 작아야 해요. 잠수부 인형을 가까이에서 보면 빨대 속에 공기가 들어 있는 게 보일 거예요. 물보다 밀도가 작은 공기가 튜브처럼 작용해서 잠수부를 물에 띄우는 거죠. 그런데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길러 만든 ‘인공 뇌’예요.랭커스터 박사는 실험 중 우연히 배양접시에 하얀 좁쌀만 한
물체
가 떠있는 것을 발견했어요. 확인 결과, 이것이 뇌 조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지요. 실제 뇌는 손 한 뼘 크기지만, 뇌 오가노이드는 약 2mm로 임신 9주 차 태아의 뇌만큼 작았어요.뇌 오가노이드는 뇌 발생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라보 밴드'로 운동하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1호
운송수단이 넘어지지 않는 것도 다 자이로 센서 덕분이랍니다.자이로 센서는 어떻게
물체
의 회전을 감지하는 것일까요? 팽이를 돌리는 모습을 상상해봐요. 팽이의 회전축은 항상 팽이가 도는 지면과 수직을 유지해요. 이와 비슷하게 자이로 센서 안에도 항상 일정한 각도로 유지되는 축이 ... ...
[과학뉴스] 부드럽게 움켜쥐는 로봇 손가락!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9호
미국 하버드대학교와 바루크 뉴욕시립대학교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로봇 손가락은
물체
를 부드럽게 잡을 수 있어요. 얇고 평평한 실리콘 조각으로 만든 로봇 손가락은 속이 비어있어 안에 물을 채우면 구부릴 수 있지요.로봇 손가락의 압력은 0.0455kPa로, 사람이 눈을 감는 압력의 10분의 1 ... ...
[식물 속 동물] 고슴도치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8호
‘고슴도치풀’이란 이름을 얻었지요. 고슴도치풀의 열매는 가시 덕에 다른 동물과
물체
에 잘 달라붙어요. 이를 통해 씨앗을 널리 퍼뜨린답니다.지금과 같은 8~9월에는 고슴도치풀이 노란 꽃을 피우고 있을 거예요. 꽃잎이 5개로 이뤄진 꽃은 잎 겨드랑이에 빽빽하게 피어나지요. 올가을 남부지방에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