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semiconductor
반도채
반도
d라이브러리
"
반도체
"(으)로 총 1,628건 검색되었습니다.
시료 표면 분석해 업그레이드된 신소재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원 박사는 그 사례로 LED의 표면분석을 소개했다. 푸른색을 띠는 LED는 갈륨 질화물(GaN)
반도체
안에 마그네슘 불순물을 주입해 빛을 내게 만든다. 그런데 갑자기 다량의 불량품이 생산돼 그 원인을 SIMS로 분석해보니 마그네슘 불순물을 넣을 때 불필요한 수소 불순물까지 들어가 제품의 질이 떨어진 ... ...
북한 장거리 로켓 발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직접 설계 개발해 공급하고 있다. 미사일의 전기전자부품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반도체
, IC 등의 전자소자는 해외에서 조달한다. 일반적으로 미사일에 사용되는 소자는 최소 군용급 이상이 요구된다. 발사 시에 요구되는 강력한 진동, 고도 상승에 따른 급격한 온도 변화에 적응해야 하기 ... ...
광자(光子)로 기술문명 새 장 연다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전자를 이용해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에 소자의 집적도가 계속 높아지면 언젠가는
반도체
가 녹아내릴 정도로 뜨거운 열이 발생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인텔 등 많은 기업과 연구기관에서 전자와 광자의 장점을 조합한 기술을 내놓으려고 노력 중입니다. 2005년까지만 해도 개인적으로 나노 ... ...
물질계 만능엔터테이너 초임계유체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뒤 폐수가 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초순수는 표면장력이 커서 40nm보다 작은
반도체
의 회로 선폭 틈 사이로 침투할 수가 없었다.아세아초임계연구학회장과 한국초임계연구학회장을 역임하고 있는 서강대 화공생명공학과 유기풍 교수는 “점도와 표면장력이 기체처럼 낮은 초임계유체를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효과). 이들은 199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이처럼 양자 홀 효과는 좀 더 빠른
반도체
를 개발하기 위한 과학자들의 도전의식을 자극하고 있는 셈이다.유효질량전자가 도체 안에서 움직일 때 느끼는 질량증착금속이나 비금속의 작은 조각을 진공 속에서 가열해 증기로 만들어 물체에 부착시키는 ... ...
생활 속 압력과 전기의 소통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않고 nm(나노미터, 1nm=10-9 m) 규모로 정밀하게 움직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전자 현미경이나
반도체
정밀가공장비처럼 아주 세밀한 움직임이 필요한 곳에 쓰이고 있다. 압전체는 나노기기를 만들고 나노기술을 완성하는 데 필수인 셈이다. 마법사의 돌 같은 압전체가 창조해낼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 ...
‘빛 패러다임’으로
반도체
한계 돌파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발전과 PC 보급에 발맞춰 급격히 발전해왔다. 한국 역시 D램
반도체
를 중심으로 한 메모리
반도체
분야가 경제 발전을 이끌어 왔으며, 수많은 자본과 인력이 지금보다 더 나은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투입되고 있다.그러나 전기 신호를 이용한 전자소자는 신호 처리 속도의 한계, 발열과 소모 전력의 ... ...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응용될 것으로 보인다. 그중에서도 특히 우리나라가 우수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반도체
및 통신, 전기, 전자 분야에서 실용화가 이뤄지면 중요하게 사용될 전망된다.3 어디에 있어요?기존에 광통신이나 광소자를 연구하던 국내외 연구실들이 최근의 기술추세에 맞춰 나노광학으로 연구 방향을 ... ...
세상을 바꾸는 여성 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팹’을 이때 경험했어요. 제 길이다 싶더군요. 그 오묘한 모습에 반했거든요.”
반도체
공정은 연구원들의 체력을 빨리 고갈시킨다. 때로는 하루 16시간 근무도 견뎌야 한다. 그런데도 이 연구원은 생활이 즐겁다.“엔지니어는 사무직과는 달리 관습에 얽매이는 근무 분위기가 아니에요. 자유로움이 ... ...
광합성 고효율 비결은 양자 결맞음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때문이다.실제로 캐나다 토론토대 화학과 그레고리 숄레스 교수팀은 사슬 같은 유기
반도체
고분자가 상온에서 양자 결맞음으로 에너지를 전달하게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1월 16일자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이런 양자 결맞음은 사슬 같은 분자에서 15~20개에 이르는 화학결합에 걸쳐 250fs 이상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