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퀴즈
퍼즐
질문
문제
알아맞히기
난문제
조각맞추기
d라이브러리
"
수수께끼
"(으)로 총 668건 검색되었습니다.
1. 아무도 접근을 막을 수 없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해야 했다. 로베르타는 이야기를 쓰면서 지도를 그려갔다. 게다가 중간중간에
수수께끼
와 놀이사건 지도 등을 삽입했다. 그녀는 2주일 동안 만든 지도와 어려운 문제, 비비꼬인 음모 등을 종이에 적어서 윌리엄스에게 던져 주며 "내가 만든 것 좀 봐요!" 하고 소리쳤다.윌리엄스는 종이 다발을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화산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 극한의 땅에 어떻게 화산이 존재할 수 있는가는
수수께끼
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은 가능하다. 즉 이 온도에서 질소는 가스 상태가 아니라 암석과 같이 굳어진 상태로 존재한다. 표면으로부터 20~30m 내부에서 조석(潮汐)의 압력이 이 질소의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연구원들은 현재의 기후와 대기모델을 사용해서 지구상에서 완전히 멸종해버린 공룡의
수수께끼
를 알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까지 하고 있다. 다소 뉴턴적 기계론에 의존하고 있긴 하지만 재미있는 추리라고 할 수 있다. 대기의 운동은 워낙 복잡해서 서너개의 식으로 표시되는 전자기학과는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통해 방출되고 있다.3차에 걸쳐 형성되고이 호수의 기원과 형성과정에 대한 모든
수수께끼
가 아직 완전히 풀린 것은 아니지만, 흔히 중생대 쥐라기 이후 계속된 단층운동으로 3차에 걸쳐 형성됐다고 알려져 있다. 이 일대는 오늘날에도 지질운동이 활발하다고 히는데, 최근의 연구성과에 따르면 약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수 있는 크기다. 이 대적점은 과연 무엇일까. 이 문제는 아직도 완전히 해결되지 않은
수수께끼
로 남아있다. 파이어니어 관측에 따르면 대적점은 주변보다 온도가 몇도 낮고 또 주변보다 8㎞정도 위로 솟아 올라 있다. 이로부터 우리는 대적점이 높은 압력이 상승하는 영역임을 알 수 있다. 대적점은 ... ...
빛의 굴절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사실은 소위 '사라진 질량'에 관한 궁금증을 낳는다. 이는 천문학자들을 괴롭히는 두가지
수수께끼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다른 하나는 은하들이 태초에 어떠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나이다.)우주의 모든 질량이 우리가 볼 수 있는 물체의 형태로 존재하지만은 않는다고 생각하는데는 이유가 있다. ... ...
수수께끼
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김정호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이 너무도 많은 사람이다. 그의 옥사설과 백두산 7회등정설은 과연 타당한가?올4월은 문화부가 정한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의 달이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리학자였던 김정호. 국민학교 학생들도 다 아는 이름이다. 우리나라 과학자들 중에서 그처럼 널 ... ...
풀어쓰는 컴퓨터 역사③ 최초의 컴퓨터 에니악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보다 안전한 암호문 작성을 위해 자동암호문 작성기를 만들었다. 그 기계의 이름은
수수께끼
라는 뜻을 가진 '에니그마(Enigma)'였다. 이렇게 작성된 암호문을 해독할 수 있는 방법은 에니그마와 같은 기계를 훔쳐오든지, 아니면 그 제작자를 붙들어와서 비밀을 캐어내든지, 이것도 저것도 아니면 ... ...
왕관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여러분은 불규칙한 물체의 부피를 계산해 낼 수 있는가? 이미 B.C.300년경에 이를 정확히 계산해 낸 과학자가 있었다. ...
중성미자의 비밀은?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태양에 관한
수수께끼
중의 하나는 중성미자(neutrino)의 존재다. 핵융합과정에서 생성되는 아(亞)원자 입자로 알려진 중성미자는 질량이 없거나 거의 ... 달리 말하면 우리가 가상했던 태양의 구조는 그다지 틀린 것이 아니다. 중성미자의
수수께끼
는 그 자체의 성질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