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이식의 최대 난관은 면역거부반응이다. 면역거부반응은 수혜자의 면역시스템에 의해 기증자의 장기가 염증을 일으키며 손상되는 현상이다. 현상 자체는 일찍이 1900년대 중반부터 알려져 있었다. 1930년대 유전학 연구를 시작한 조지 데이비스 스넬은 암세포에서 이런 거부반응을 확인했다. 스넬은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간의 면역시스템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 행동발달 등 인체 내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보이틀러는 유전자 분석 기술을 활용해 톨 유사 수용체의 돌연변이 표현형을 찾고, 이 중에서 질병 완화에 효과가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만 선별해 이 ... ...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지상에서 성층권에 대한 정확한 수치를 알기엔 한계가 있었지요. 이럴 때 고층기상모사시스템(UAS)이 빛을 발하는 거예요. UAS에 라디오존데를 넣어 사전 실험을 한 뒤, 직접 성층권으로 올려보내 관측하면 보다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지요. 연구팀은 올해 초 UAS를 업그레이드한 뒤, 3월 중 UAS에서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업인 테라젠이텍스는 NGS 기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전체 분석 시스템을 개발해 2020년 4월 20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한 번에 수천 건의 검체를 분석할 수 있으며 소요 기간도 2~3일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밝혔다.이런 유전자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분류된 현재의 바이러스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치명적인 병원성을 보이면 언제든 면역시스템을 작동할 준비가 돼 있어, 특별히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파충류는 겨울잠을 자며 낮은 온도를 견딘다. 하지만 구조가 단순한 바이러스에는 이런 시스템이 없다.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온도와 습도가 낮을수록 더 빠르게 퍼진다. 미국 마운트시나이의대 연구팀은 2007년 인플루엔자바이러스가 온도는 5도, 습도는 20~35%인 환경에서 전염력이 극대화된다는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찾기 위해 탐색을 시작하고, 특히 항원과 마주치면 더욱 적극적인 신호 전령사가 돼 면역시스템에 항원의 침입을 알린다. 대식세포의 경우 림프계 세포에 신호를 보내 도움을 청하긴 하지만 적이 침입한 현장에서 싸우다 죽을지언정 그곳을 떠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명을 넘어섰다. 인간은 새롭게 출현한 코로나19를 경험해보지 못했고, 개인이 가진 면역시스템으로 이를 극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집단면역의 능력이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는 최소 수개월에서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고, 코로나19로 사망자가 수십만 명에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원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인체 면역시스템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인체의 면역시스템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질병의 종류와 관계없이 어떤 질병에든 반응하는 선천(innate) 면역반응과, 한 번 노출된 질병을 기억해 해당 질병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후천(adaptive) 면역반응이 있다. ...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수학동아 l2020년 07호
- 트랩을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바다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수신기를 부착한 마네킹을 표류시켜 실제 위치와 알고리듬으로 예측한 결과를 비교했죠. 그 결과 실제 위치와 예측이 매우 유사했습니다. 토머스 피콕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기계공학과 교수는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