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작"(으)로 총 14,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킹앤유] 대칭 다항식을 조립하자! 영 타블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보니 수학이 너무 지루했어요. 그래서 그 공식이 어떻게 나왔는지 근본적인 원리를 찾기 시작했고, 공식 뒤에 숨겨진 수학적 구조에 대해 생각하다 수학을 좋아하게 됐어요. 오늘의 문제는 브릭 블록의 역할을 하는 ‘대칭 다항식’을 조립해 모든 대칭 다항식을 표현해보는 겁니다. 암기 위주의 ... ...
- [특집] 개척자들을 위한 화성 이주 가이드북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구현한 시뮬레이션 주거지 ‘마스 듄 알파’에서 인간이 1년간 거주하는 프로젝트도 시작한다. 붉은 행성의 첫 번째 주민이 된다는 상상만으로도 가슴이 뛰는 개척자라면 주목. 과학동아가 당신을 위해 화성 이주 가이드북을 마련했다. 이사는 어떻게 가고, 집은 어디에, 어떻게 지을지 가이드북을 ... ...
- Land 화성 토지 선택 가이드라인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아주 약한 세기의 자기장만 남아있다. 태양풍을 막아줄 방패를 잃은 셈이다. 대기부터 시작해서 지표면의 물까지 모두 태양풍에 휩쓸려갔다. 부동산 업자의 말을 철썩 믿고 땅을 산 다음, 집 앞 자그마한 운석 충돌구에 물을 채워 연못을 꾸민다고 생각해 보자. 오늘날 화성은 태양풍에 대기를 ... ...
- [게임으로 과학 한 판!] NASA 대신 화성을 테라포밍함, TERRAFOMERS과학동아 l2023년 06호
- , 주민을 늘리고, 연구를 진행합니다. 생존에 필요한 자원이 쌓이면 테라포밍을 시작할 차례입니다. 이 게임에서 테라포밍은 온도, 산소량, 습도, 대기량 등 네 가지 요건을 맞춰야 진행됩니다. 이산화탄소나 메테인 등의 기체를 뿌려 온실효과를 일으키고, 대기를 두껍게 만들어 행성 지표면에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생물분류학에 본격적으로 적용시킨 연구는 서구 학계에서도 1930년대 후반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그런 면에서 그의 연구 방법은 비록 단순하기는 했지만 시대를 앞섰고, 또한 지역에 뿌리내린 연구자가 지닌 강점을 극대화하는 것이었다. 의혹 3 석주명은 나비 밖에 모르는 사람이었다?석주명은 ...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바로 인공배아 제작의 첫걸음이 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인공배아를 만드는 연구는 2018년 시작된 이래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 중국과학원 연구팀은 원숭이의 인공배아를 만들어 대리모 원숭이에게 착상시키는 것까지 성공했습니다. doi: 10.1016/j.stem.2023.03.009 영장류의 인공배아를 ... ...
- [이그노벨상] 세상에서 가장 오래 진행 중인 실험은?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측은 이런 불상사를 방지하기 위해 2020년부터 인터넷으로 실험을 24시간 중계하기 시작했다. 기회가 된다면 당신도 그 실험 영상을 찾아보라. 정지 화면처럼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고 초침만 돌아가는 영상을 보다 보면, 필자처럼 생각하게 될지도 모른다. 피치보다 더 끈끈한 것은 어쩌면 과학자들의 ... ...
- [SF 소설] 그라비토나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한참 멀었구먼.” 천선란2019년 ‘무너진 다리’를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소설집 ‘어떤 물질의 사랑’ ‘노랜드’, 장편소설 ‘무너진 다리’ ‘천 개의 파랑’ ‘밤에 찾아오는 구원자’ ‘나인’, 중편소설 ‘랑과 나의 사막’ 등이 있다. 한국과학문학상 장편 부문 대상, ... ...
- [옥톡과 달냥의 우주 탐험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태양을 총 24번 공전★하면서 관찰할 예정으로, 2022년 12월에 14번째 공전을 시작했어요.탐사선의 목표는 태양에서 5,900,000km 떨어진 거리까지 접근하는 거예요. 인류 역사상 태양에 가장 가까이 다가가는 거지요. 비행 속도도 1초에 192km를 갈 수 있는 정도로 더 빨라질 예정이에요. 이는 인간이 만든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던 덕분이었지요. 반면 T 세포 연구는 상대적으로 늦게 시작됐어요. 1973년, 호주 존커틴의학연구소에서 일하던 피터 찰스 도허티와 롤프 마르틴 칭커나겔은 림프구성맥락수막염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에게서 만들어진 킬러 T 세포를 채취했습니다. 그리고 같은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