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면
쌍방
겸용
둘다
옆
옆면
측면
d라이브러리
"
양쪽
"(으)로 총 1,350건 검색되었습니다.
긴급출동! 어린이 안전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때는 눈썹 위에 손가락 두 개가 들어갈 공간만 남기고 이마가 덮이도록 쓴다. 또 안전모
양쪽
에 달린 끈이 V모양으로 귀 옆을 감싸도록 한다. 에스컬레이터에 손가락이?!어린이들이 에스컬레이터를 거꾸로 올라가거나 뛰어가다 넘어지면서 손이 끼이는 사고도 종종 일어난다. 디딤판 사이의 높이는 ... ...
슝~! 사랑은 비행기를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뭐야?!“놓지 마세요, 놓지…, 꺄아아악~!”이렇게 해 보세요섭섭 로봇의 아래턱
양쪽
에 클립을 꽂아 보세요. 위그선의 균형을 잡아주어 뒤집히지 않고 나아간답니다. 클립의 간격을 좁혔다 넓혔다 하며가장 좋은 간격으로 맞춰 주세요.세 번째 선물 ♥ 나를 떠올려 주오, ‘콧수염 비행기’헉헉~! ... ...
인간 심판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에어리어와 골문 뒤의 땅 속에 전선을 매설해야 한다.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골라인
양쪽
에 각각 자기장이 생긴다. 두 자기장이 맞닿는 선은 바로 골라인 위에 있다.선수들은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가 들어 있는 ‘인텔리전트 볼’(Intelligent Ball)을사용한다. 공 안에 있는 센서는 공이 움직이는 동안 ... ...
좀비 만드는 '5가지 레시피'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수 있다”며 “예를 들어 전두엽이 손상되면 충동적으로 변하거나 자발성이 없어지고,
양쪽
측두엽이 손상되면 식욕과 성적충동을 자제하지 못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이를 역이용해 뇌에서 손상된 부분을 절제해 질환을 치료하기도 한다. 정천기 교수는“뇌종양이나 뇌혈관 기형처럼 뇌의 ... ...
PART 4 아름다운 수학의 결정체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했어.2차 공사는 1272년 다시 시작됐어. 기우는 방향의 반대쪽으로 탑의 중심축을 옮기고
양쪽
의 무게도 달리하며 6년 동안 탑을 쌓았지. 하지만 이번에는 남서쪽으로 기울고 말았어. 끊임없는 전쟁을 지나 1360년에야 3차 공사를 시작했어. 맨 꼭대기의 종루를 탑의 중심축과 상관없이 지면과 수직으로 ... ...
도시의 아름다움을 설계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파리 중심가에 위치한 샹젤리제 거리. 1880m나 되는 직선도로
양쪽
으로 플라타너스 가로수가 울창한 이 거리는 ‘오 샹젤리제’라는 노래를 탄생시킬 정도로 아름답기로 유명하다. 거대한 규모 외에는 특별할 게 없어 보이는데, 사람들은 왜 샹젤리제를 특히 더 아름답게 느끼는 걸까. 서울대 ... ...
전자를 이용한 로렌츠 힘의 응용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연결하지 않을 경우 평균적으로 제자리에 위치한다. 전류가 발생하기 위해서는 도선
양쪽
의 전기적 위치에너지를 다르게 해 전자가 한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해야 한다. 이때 전자의 속도를 표류속도라고 한다. 단위시간당 도선을 통과하는 전자의 개수를 구하면 총 전하량을 알 수 있으므로 전류를 ... ...
작은바다 코르디움으로 풍덩~!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봤어. 조력발전은 밀물과 썰물이 만드는 바닷물의 높이 차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어.
양쪽
물 높이가 서로 다르면 자동으로 댐 아래에 있는 터널의 문이 열리고, 이 터널을 통과하는 물이 터빈을 돌려 전기를 만드는 거지. 높이 차가 클수록 전기도 더 많이 만들 수 있단다.바다의 소리 ▲ “ 딱딱딱 ... ...
PART 1 모양의 비밀을 밝혀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사람은
양쪽
손이 조금 달라도 큰 지장이 없지만 나비는
양쪽
날개가 다르면 움직임에 영향을 받아 생존에 위협이 될 수도 있다. 나비 날개의 이런 대칭성과 아름다움은 수학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나비 곡선이 좋은 예다. 나비 곡선은 방정식을 이용해 나비의 대칭성을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시선으로 사회적 이슈에 질문을 던지는 글입니다. 사회적 이슈가 있을 때 찬성과 반대
양쪽
에서 객관적으로 과학적 사실을 전달할 수 있는 건 오직 이공계인들뿐입니다.”김 교수는 과학글쓰기가 자칫 과학의 신기한 내용을 홍보하는 글로 흘러갈 수 있다고 염려하며 이 같이 말했다.여기에 대해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