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랩 홈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엘사, 자유롭게 얼음을 다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얼음이 녹는 속도를 결정해요. 금속은 플라스틱보다 열전도도가 높기 때문에 열
에너지
를 얼음에 더 빨리 전달해서 얼음을 더 빨리 녹일 수 있는 거예요 ... ...
[chapter2] 미래 모빌리티 인포그래픽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전기차│내연기관 없애고 전기 모터 달았다전기차에는 내연기관 대신 전기 모터가 들어있다. 출발 또는 가속할 때 차량 하단에 있는 대형 배터리 ... 얻은 산소와 반응시켜 선박의 동력원으로 사용할 전류 생성❸ 추진장치 : 연료전지에서 얻은
에너지
로 프로펠러를 돌려 선박의 추진력 ... ...
[인터뷰] 전기차 성능의 핵심 배터리의 미래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있다. 전기차 배터리로서의 임무가 끝나도 70~80%의 용량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에너지
저장 장치(ESS)용으로 전환해 활용할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평가 지표나 기준이 필요하다. 전기차 배터리는 어떻게 사용했는지와 교체 시기에 따라 잔존수명이 각기 다를 수 ... ...
이동의 공간에서 즐거운 놀이터로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하지만
에너지
원으로 전기를 사용하면 차량 안의
에너지
전환 과정이 생략돼 불필요한
에너지
손실이 없다. IVI를 활용할 때에도 불필요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모빌리티로 완성되는 VR/AR 모빌리티는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으로서도 장점이 많다. 스마트폰이나 휴대용 컴퓨터 등 기존의 플랫폼은 ... ...
도시 교통 문제와 해결책 │스마트시티 챌린지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015년 12월 미국 교통부는 도시의 교통,
에너지
, 환경 등의 문제 해결 방안을 찾기 위해 최종 선정된 도시에 최대 4000만 달러(약 157억 원)를 지원하는 ‘스마트시티 챌린지’를 연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미국의 78개 도시가 지원했고, 1차 선정된 7개의 후보 도시 중 오하이오주의 콜럼버스시가 ... ...
[시사 과학] 달리지 못하게 된 자동차의 사연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때 충격량도 커서 더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반대로 자동차가 느릴수록 운동
에너지
도 줄어드니 사고가 발생해도 충격량이 작아서 보행자가 크게 다치지 않을 수 있죠.2018년 한국교통안전공단 안전연구처는 자동차 속도에 따라 인체모형이 교통사고에서 얼마나 다치는지 실험했어요(사진). ... ...
[chapter2] 미래 모빌리티 대해부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백업’하는 역할을 한다. 엔진으로 자동차를 구동하되,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하는
에너지
를 배터리에 충전해 두고 필요할 경우 전기 배터리를 이용한다.흔히 수소차 또는 수소전기차라고 불리는 수소연료전지차는 대기압의 수백 배에 이르는 매우 높은 압력으로 압축한 수소 가스 저장 탱크를 ... ...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탑재된 반도체가 200~300개 정도라면, 전동화(electrification·화석연료 대신 전기
에너지
로 주행하는 패러다임의 변화)된 전기차에 사용되는 반도체는 두 배 이상 많다. 그야말로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의 전환이 일어난 것이다. 최근에는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전기차 생산에 차질이 빚어질 ... ...
전기차에 날개 달 미래 기술5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제동거리가 짧아진다. 5│촘촘히 박힌 태양광 패널로 충전 없이 달린다 태양광
에너지
를 자동차가 달리게 하는 데 활용할 수도 있다. 자동차 지붕에 설치하는 태양광 패널이다. 2019년 네덜란드 스타트업 라이트이어는 장거리 태양광 전기차 ‘라이트이어 원’의 시제품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 ...
수소차의 심장, 수소연료전지 기술의 최전선
과학동아
l
2021년 08호
잘 견디는 소재도 활발히 개발되고 있다. 상가라쥬 샨무감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
공학전공 교수팀은 80℃ 온도에서 기존 수소연료전지보다 2배 이상 오래 버티는 수소연료전지 소재를 개발해 2021년 2월 국제학술지 ‘ACS 지속가능 화학&공학’에 발표했다. 현재 PEMFC에 사용하는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