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대
정반대
식역
관직
일자리
등장인물
분장
d라이브러리
"
역
"(으)로 총 774건 검색되었습니다.
'뚱뚱한 미국' 불가피한 선택 비만 치료제 정식 인정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않더라도 포만중추가 작용하면 ‘거짓’ 으로 포만감을 느낄 수 있다.이 사실에 착안해,
역
으로 세로토닌 농도를 높이면 포만감이 생겨 식사량을 줄일 수 있으리라는 가정하에 인위적으로 세로토닌 농도를 높이는 약물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미국의 MIT연구소에서 리처드 워트만의 주도로 ... ...
3. 불임과 인공수정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생각하나요.A: 저같은 불임여성에게 희망을 안겨준다는 점에서 좋다고 생각합니다.
역
할극 대본의 일부(불임전문의 의견)불임이란 부부가 피임을 하지 않고 1년간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했는데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입니다. …우리나라에는 15-20%의 아이를 갖고 싶어하는 불임 부부가 있습니다. ... ...
Ⅰ. 지상은 초만원 땅속으로 간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측면에서의 장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지하는 활용 여부에 따라 얼마든지 그 영
역
을 확대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이다. 외부의 온도변화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단열성과 항온성을 이용해 지하 생물공장이나 암반 냉동창고 등을 건설하면 에너지 절약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 지하공간이 ... ...
Ⅱ. 묻혀있는 가능성 지오피아를 건설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을 복합 일체화해 지하 심층부에 설치한다. 앨리스 인프라 공간에는 폐열을 이용한 지
역
온냉방시설, 폐기물 및 하수처리 재자원화시설, 발전시설 등을 설치해 환경 우선형 도시를 건설한다는 것이다.지상의 여유공간에는 환경섬을 만들어 물이 자연정화를 통해 혹서와 혹한에 대한 체감온도를 ... ...
3. 입체 TV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많은 어려움을 가지고 있다. 반면 렌티큘라는 화면의 불연속성, 시야각이나 시
역
그리고 시차의 제한과 깊이감의 부족이라는 면에서 홀로그래피보다는 못하지만 현재의 방송방식을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입체 화상을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현재 일본과 유럽을 중심으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 ... ...
21세기 연금술, 인공원소 합성 112번까지 성공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더 많은 원소가 발견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의견은 분분하다. 원소가 붕괴되는 과정을
역
으로 계산한 학자들은 114-116번까지 원소가 발견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한다. 또 어떤 학자들은 불안정한 원소주기를 넘어서면 안정한 새원소가 있을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그러나 마지막 ... ...
고기능 사운드카드 옥소리 VS 사운드블라스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우수하다는 평이다.사운드카드의 효용은 단지 음악을 듣는 것에만 있지 않다. 필자
역
시 무조건 컴퓨터를 켜서 음악만 듣는것은 아니고 여러 프로그램을 사용한다. 메프는 이러한 범용적 이용에도 탁월한 성능 발휘하고 있다.윈도95에서 제공되는 각종 윈도 사운드시스템(Windows Sound System)을 활용하면 ... ...
미적분 누가 발견했나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1820년에 이르러 두 사람의 독립적인 발견이 공인돼 두사람은 미적분학의 동시 발견자로
역
사에 기록됐다.이 논쟁은 자기 국민의 우월성을 내세우려는 협소한 애국심 때문에 발생했다. 그러나 보다 중요한 점은 논쟁의 배경에 "하나의 학설은 한사람만이 발견할 수 있다" 는 논리가 깔려 있었다는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의한 효과라고 보여진다. 또한 수많은 활 모양을 한 은하의 모습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
역
시 중력렌즈에 의해 나타난다.이런 중력렌즈 현상 중에서도 유명한 것은 '아인슈타인의 십자가' 라 불리는 것이다. 이 아인슈타인의 십자가는 다섯개의 천체가 십자가처럼 배열돼 있다. 가운데의 G2237+0305라는 ... ...
2. 환경지배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무엇인가. 설령 지능의 상당부분이 유전적으로 결정된다고 하더라도 이제까지의 인류
역
사는 사회·문화적 환경이 인간의 지능 발달에 점점 더 중요하게 작용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이런 관점에서 적어도 인간은 단순히 유전자에 의해 모든것이 결정되는 기성품이 아니라 스스로를 개선해 가는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