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
순찰대원 고딱지] 25화. 혜성에서 만난 뜻밖의 생명체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9호
동경하던 소년은 어느덧 나이를 먹어 여전히
우주
를 동경하는 아저씨가 됐어요. 지금은
우주
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쓰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여러 매체에서 과학을 재미있게 전해주는 일도 하고 있답니다 ... ...
이재형 천문대장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재미있는 천체가 잔뜩! 살쾡이자리과거에는 나라나 지역마다 별자리를 서로 다르게 불러왔어요. 하지만 현재는 국제천문연맹(IAU)에서 정한 별자리 88개를 전 세계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중 살쾡이자리는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별자리지만, 주변에 재미있는 천체가 많아요. 방랑자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속 구조물과 캐릭터들은 정육면체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공예 유튜버 ‘
우주
공간’은 클레이를 작은 정육면체로 쪼갠 뒤, 이를 쌓아올리고 붙여서 바다 신전을 만들었습니다. 바다 신전 주변에 클레이로 만든 플레이어 캐릭터와 해초, 물고기 등 다양한 생물도 볼거리입니다.구성 요소를 다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유인 착륙에 적합한 후보를 선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한다. 한국과 미국 사이 첫
우주
협력의 상징이 될 것으로 보인다.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는 한국도 참여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한 달 환경 관측 장비 ‘루셈(LUSEM)’이 2024년 달로 떠날 예정이다. 기존에 관측하지 않았던 영역의 에너지를 ... ...
[매스미디어] 수학계에도 우영우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22년 09호
이들은 스스로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다고 밝힌 바 있어요. 또한 독일의 항공
우주
스타트업인 ‘SAP’는 아스퍼거 증후군이 있으면서 컴퓨터 분야에 재능을 보이는 엔지니어를 전체 사원의 30%씩 채용하기도 해요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소설가 ‘부캐’로 성공한 연구자 '곽재식 작가'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단위로 만들어 표현할 정도이니. 그를 유명하게 만든 건 SF소설이다. 직원 넷에
우주
선 하나짜리 작은 회사에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다룬 ‘은하수 풍경의 효과적 공유’, 기발한 발상으로 첨단 과학 기술에 상상을 더한 SF 단편모음집 ‘토끼의 아리아’ 등 숱한 소설집을 발표했다.논픽션 작품도 ... ...
네, 그래서 이과가 순간이동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순간이동 좀 하는 녀석이라고 보면 됩니다. 인류가 만든 물체 중 가장 빠른 건 미국항공
우주
국(NASA)이 2018년 발사한 태양 탐사선 파커(Parker)입니다. 태양 근처를 돌며 태양 대기의 비밀을 밝히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죠. 금성의 중력을 이용해 가속해 시속 70만 km의 최대 속도에 도달할 수 있다고 ... ...
뒷이야기가 더 흥미로운 제임스웹
과학동아
l
2022년 09호
역할을 제임스웹이 이어받을 예정이다. 지금까지 닿지 못했던 136억년 전 빛을 담아내며
우주
의 탄생까지 한 걸음 더 내딛게 됐다.손 수석연구원은 “천문학자로서 과학적인 연구 성과를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연구성과로부터) 무엇을 느끼고 공감할 수 있을지 찾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 ...
[
우주
순찰대원 고딱지] 24화. 무럭무럭 행성을 지켜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동경하던 소년은 어느덧 나이를 먹어 여전히
우주
를 동경하는 아저씨가 됐어요. 지금은
우주
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재미있는 이야기를 쓰려고 노력하고 있어요. 여러 매체에서 과학을 재미있게 전해주는 일도 하고 있답니다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수학의 여러 분야들이 복합적으로 얽혀 있기 때문이에요. 김 교수는 본인의 연구를 ‘
우주
의 신비’를 밝히는 작업이라고 말하는데요. 10여 년간 2차원 곡면을 연구했고, 최근에는 이를 발전시켜 3차원 공간을 연구합니다. 이 연구는 거울대칭이론, 물리학 등 다른 분야 연구와 밀접하게 연관돼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