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
오직
단지
단독
d라이브러리
"
유일
"(으)로 총 1,925건 검색되었습니다.
핵테러, 실험실에서 원천봉쇄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기관 28군데가 속해있다. 핵물질 원산지 추적 훈련우리나라에서는 한국원자력연구원이
유일
하게 2012년부터 핵감식 연구를 하고 있다. 한선호 원자력화학연구부 책임연구원이 2012년 독일에 있는 유럽연합 초우라늄원소연구소(ITU)에 1년간 머물며 관련기술을 경험한 것이 도움이 되고 있다. 현재 ... ...
Part3. 미래엔 소프트웨어가 사라질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양자컴퓨터의 ‘킬러 어플리케이션’은 쇼어 알고리듬이
유일
하다. 김 연구원은 “하드웨어가 완성되더라도 이를 활용할 소프트웨어가 없으면 양자컴퓨터는 시장성이 없다”고 말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디지털 시대의 종말, 5세대 컴퓨터Patr1. 폰노이만 ... ...
미래 에너지 기술 이끌 인재와 만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하는 게 우리 공모전의 목적”이라며 “본선 진출팀에 제작 비용을 지원하는 국내
유일
의 공모전”이라고 말했다. 기술적 완성도와 학생들의 열의에 놀라다본선에 진출한 20팀에 대한 평가는 지난 10월 2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 컨퍼런스룸에서 열렸다. 이영호 한국해양대 교수, 김창수 ... ...
Part2. 테러리스트 만드는 ‘뇌 속 스위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과학자의 오만”이라고 규정하고 “1996년에도 악의 본성에 대한 연구비는 없을 것이다.
유일
한 희망은 호기심 많은 과학자가 우연히 무언가를 발견하는 것이다”고 밝혔다.랜싯의 바람은 미국 UCLA 의대 이츠하크 프리드 교수가 이어받았다. 프리드 교수는 1997년 머릿속에 어떤 스위치가 켜지면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음식을 먹고 회의를 할 수 있는 공간이 있다. 모든 대원들이 둘러앉아 마주볼 수 있는
유일
한 공간이다. 화성의 영구동토층엔 뭐가 있을까캐나다 북극제도의 데본섬에도 화성학회가 세운 기지가 있다. 2000년 문을 연 ‘플래시라인 화성북극연구소(FMARS)’다.얼음이 녹아 길이 열리는 여름 한두 달만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가지 세포를 찍어낸다곤 하지만 혈관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은 현재로서는 랩 온어 칩이
유일
하다.혈관이 특별한 이유는 또 있다. 세포에 원하는 물질을 전달할 때, 그리고 장기와 장기를 서로 연결할 때 혈관이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이다. 전 교수는 랩 온어 칩을 혈관이 복도(통로)처럼 연결된 ... ...
기계의 원리가 한눈에 쏙~! 어메이징파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잣나무 숲 사이로 길고 알록달록한 분수대가 한눈에 들어왔어요. 이곳이 바로 국내
유일
의 과학공학기구관, ‘어메이징파크’예요.지난해 7월 경기 포천시에 문을 연 어메이징파크는 모든 전시물들이 기계의 원리를 배울 수 있도록 구성돼 있어요. 기계를 구성하는 기구들이 서로 맞물려 돌아가며 ... ...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 중학생 과학 올림픽! 제12회 국제중등과학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2004년 인도네시아에서 처음 개최됐으며 올해로 12회를 맞는다. 국제올림피아드 가운데
유일
하게 아시아 국가들이 중심이 되어 진행하는 대회로 본부 사무국도 대만에 있다. 각국에서 선발된 내로라하는 과학 영재들이 실력을 겨루는 대회지만, 경쟁보다는 문화교류를 통해 과학 영재들을 글로벌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김지은 이화여대 뇌·인지과학과 교수는 질투가 인간의
유일
한 본성은 아니므로 좌절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김 교수는 “사람은 악하고 선한 본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며 “만 2세 미만의 어린 아이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 음식을 줄 때 기쁨을 느낀다거나 자기보다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그가 롤모델로 삼는 김태우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사의 이야기가 주효했다. 우리나라의
유일
한 풀벌레 전문가인 김 연구사는 “남들이 가지 않는 길을 선택하는 게 좋다”고 했다. 어리여치는 풀벌레 중에서도 가장 연구가 안 돼 있는 분류군이다.“이름에 여치가 들어있지만 여치와는 습성이 완전히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