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몸
신체
육체
인체염색체
염색체
몸채
사람몸
d라이브러리
"
인체
"(으)로 총 2,116건 검색되었습니다.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아나베나 속 시아노박테리아가 만드는 ‘아나톡신-a’ 등 수십 종이 있다. 이들은
인체
에서 간질환을 일으키거나 신경 신호 전달을 방해한다. 강물을 식수원으로 사용하는 시민들 입장에서는 이런 독성 화학물질을 마시게 될까 가장 불안하다(이 문제는 뒤에 다룬다).참고로 바다에서 일어나는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것입니다. 체내로 들어오는 자외선을 막을 수 있는 것이 바로 멜라닌 색소입니다.
인체
의 멜라닌 색소는 특수한 세포가 생산합니다. 멜라닌 색소가 많아지면 피부색도 검어집니다. 그러니까 인류는 털과 땀을 맞바꾼 후에는 검은 피부가 있어야 살아 남을 수 있었습니다.만약 이 논리대로라면, ... ...
과학동아로 논술과 입학사정관제 준비하기-바이러스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인체
에 비교적 안전한 바이러스(백시니아, 아데노바이러스 등)의 유전체에 삽입한 후
인체
에 접종한다. 그러면 세포 내에서 재조합 바이러스가 병원체의 단백질을 합성하고 이것이 체내 면역계에 의해 인식됨으로써 실제 병원체에 감염됐을 때 면역력을 갖는다. 유전자 치료에서는 정상 유전자를 ... ...
당 권하는 사회, 몸은 병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쏟아지고 있다. 당류는 1g당 열량은 4kcal로 적지만 과도하게 섭취할 경우 비만 뿐 아니라
인체
의 대사경로를 교란해 다양한 질병을 유발한다는 것이다.로버트 루스틱 미국 UC샌프란시스코 비만센터 교수와 로라 슈미트, 클레어 브린디스 박사는 지난 2월 과학저널 ‘네이처’에 ‘당에 대한끔직한 ... ...
Part 2. 허파꽈리가 칩속에서 헐떡헐떡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연구팀은 면역세포가 박테리아를 잡아먹는 장면을 포착했다. 허파꽈리 칩이 실제
인체
와 생리적 기능이 비슷하다는 사실을 보여주면서 칩을 이용한 임상 실험이 전개되기에 이르렀다.항암제 부작용 없애는 단백질 발견올해 3월 서울대에 부임한 허 교수는 생체모방 칩을 통해 신약을 개발하고 ... ...
의료영상공학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각도에서 보거나 투명도를 다르게 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시화해준다. 따라서
인체
구조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편해질 뿐만 아니라 분석에도 많은 도움이 된다.2 어디에 사용되나요?몸속을 보여주는 기술인만큼 질병의 진단부터 치료까지 의료와 관련된 거의 모든 분야에 쓰인다. 얻어낸 ... ...
[정보] 돌고 도는 정다면체 순환의 비밀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않고 잘 붙어 있을 수 있도록 설계 됐다. 자작나무로 만들어진 고급 나무 막대에
인체
에 무해한 왁스로 색을 낸 것도 수학동아키트만의 장점이다.특별 인터뷰“수학을 만지다!”수학디자인연구소 라길수 소장와 인연이 닿기 전, 정다면체 순환 키트는 먼저 유투브를 뜨겁게 달궜다. ... ...
통합과학 - 수소결합을 통한 결정 형성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신장결석, 요로결석은 비교적 흔하게 듣는 표현이다. 곰곰이 살펴보면 궁금한 것들이 생긴다. ‘
인체
의 여러 장기들 중 왜 신장에서 결석이 문제가 되는지’ ‘어떤 물질들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결석을 형성하는지’ 이런 궁금증을 한때 사회적으로 논란이 됐던 멜라민 파동을 통해 살펴보자. ...
내과의사 '니아니 다 보이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MRI)장치를 발명한 폴 로터버가 살고 있었다.“X선이나 CT는 방사선을 쓰니까
인체
에 해로울 수도 있겠지? 고주파를 이용해 몸에 있는 수소 원자를 공명시키는 MRI가 좋겠어~! 그런데 문제 하나 풀고 가야겠지? 얼마 전에 찍은 홈즈의 사진이라고. 뇌가 아주 복잡하더구만. 나를 잡으려면 어디로 ... ...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새 학기 로봇 친구 만들기 프로젝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5호
말하는 만화·영화 속 로봇 국내 대표 로봇연구센터인 KAIST 휴머노이드연구센터, KIST의
인체
감응솔루션연구단,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의 실용로봇연구그룹의 로봇 과학자 15명에게 ‘만화·영화 속 로봇’을 언제쯤 만날 수 있을지 물어 봤어.그랬더니 인간형 인공지능로봇을 가장 먼저 만들어질 로봇(4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