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d라이브러리
"
전력
"(으)로 총 1,402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범선, 여름 밤하늘을 항해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복사압을 주추진 동력으로 사용한다. 또 막 위에 덧붙여진 박막 필름 태양전지판을 주
전력
공급원으로 쓰고 역시 막에 내장돼 있는 LCD의 반사율을 조절해 탐사선의 자세를 조정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카로스의 임무가 성공할 경우 50m 크기의 태양돛을 단 목성 탐사선 프로젝트가 2020년까지 진행될 ... ...
PARTⅠ 수학을 알아야 축구를 잘 한다 : 축구는 수학이다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축구는 더 이상 열심히 뛰기만 하면 되는 ‘근성’의 스포츠가 아니다. 상대방과 우리의
전력
을 수치로 만들어 평균을 내고 통계로 보기 좋게 정리한 분석 결과를 놓고 맞춤 전술을 짜는 ‘수학’의 스포츠다.수학 교사 출신의 축구 명장독일의 축구 감독인 오트마 힛츠펠트는 수학교사 출신이다. ... ...
나에게 유리한 수시 전형을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탐구영역의 반영 요소가 각 대학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전력
을 다해야 할 과목을 잘 선택해 집중해야 한다. 수능 대비에는 반영 비중이 높아진 EBS 교재를 활용하길 권한다. ‘스펙’ 필요한 입학사정관 전형 올해 또 하나의 이슈는 입학사정관 전형의 확대다. 하지만 ... ...
걸어 다니는 발전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폴리머는 한 걸음에 5mJ(밀리줄, 1mJ=10-3J)의 에너지를 생성한다. 하지만 전압이 커서 적은
전력
을 사용하는 민감한 센서에는 사용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압을 낮추는 조정회로를 개발했다. 이 회로는 높은 전압을 3V로 전환해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직접 전자기기에 공급한다. ... ...
천둥 구름은 입자가속기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가장 먼 곳까지 올라간다. 이때 발생한 전자빔은 작은 규모의 원자력발전소가 생산하는
전력
만큼이나 에너지가 크다. 이에 대해 플레크러그 교수는 “우주에서 높은 에너지의 우주선 입자가 쏟아지고 동시에 강한 번개가 칠 때 입자가속기와 유사한 환경이 형성된다”며 “입자빔이 방출하는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기상학자들에게는 30년 넘게 진행한 중요한 과제다. 낙뢰는 21세기를 맞이한 지금도
전력
과 통신 서비스를 멈추게 하고 중요 시설물을 파괴하는 피해를 내고 있기 때문이다.이 재미있는 아이디어는 1974년 미국의 레오나드 볼 박사가 처음 제안한 것으로 뇌운과 피뢰침 사이를 레이저광으로 연결해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장으로 소환한다. 소환은 관문(Gateway)이라고 불리는 건물에서 이뤄지고 수정탑(Pylon)의
전력
이 미치는 건물이면 어디서나 가능하다. 워프는 공간을 축소해 짧은 시간 동안 물체를 다른 공간으로 이동시키는 일종의 순간이동이다. 시공간을 자유롭게 다룰 수 있는 프로토스는 여기에 강점을 가지고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갖고 있는 잠재적 총량과 사용가능한 능력을 분석해 순위를 매겼다. 연구결과,
전력
생산이라는 목적에 국한될 경우 가장 경쟁력 있는 신재생에너지는 풍력이었다. 풍력은 발전기 생산과 작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적었다. 물 사용량과 수질오염도 가장 적은 편이다. 특히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수 있다. 미군 해군성연구소에서는 해양 및 기상관측에 사용되는 측정 장비와 센서의
전력
공급원으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퇴적물형 미생물연료전지의 경우 음극부 전극과 양극부 전극만으로 이뤄져 있기 때문에, 별도의 통으로 된 반응기와 양이온 교환막으로 구성된 폐수처리용 ... ...
상상력이 이끌어온 반도체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압을 가해주는 기술을 만들었습니다. 그것이 모스펫입니다. 모스펫 기술로 인해
전력
소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었죠. 컴퓨터 CPU와 메모리 장치인 D램, S램, 휴대전화용 통신칩을 만드는 기초가 됐어요. 반도체를 연구하는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낄 만한 일입니다.”반도체에 푹 빠져 지내던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