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윗대
선조
소상
조각
선대
웃대
노인
d라이브러리
"
조상
"(으)로 총 1,120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 멸망 시나리오 3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살아있을 지도 모른다.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확인해 이들이 지구생명체의 유전적
조상
이며 인간이 우주에 남겨진 외로운 지적 존재가 아니라 우주 어느 곳에 우리의 혈연이 살고 있다는 상상이 전혀 불가능하진 않다는 뜻이다. 좌우대칭이 생존에 유리해만약 외계생명체를 발견한다면 이들은 어떤 ... ...
이제는 보살핌의 본능 일깨울 때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지식도 결국은 ‘화석사냥꾼들’이 일생을 바친 노력 덕분이다. 오늘의 내가 있게 한
조상
이 궁금해질 때 차 한 잔과 함께 이 책을 펴들면 어떨까.한 치의 의심도 없는 진화 이야기션 B. 캐럴 지음 | 김명주 옮김 | 지호 | 360쪽 | 1만 7000원매년 서너 명씩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하는 미국이지만 주에 ... ...
자연 속 하이테크놀러지 새 둥지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황토집을 지을 때 황토에 볏짚을 섞어서 재료로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어쩌면 우리
조상
들이 제비의 건축기술을 모방해서 황토집을 지었을 지도 모를 일이다.제비보다 조금 크고 턱 아래에 호랑무늬가 있는 귀제비의 둥지는 더 특이하다. 제비보다 지푸라기를 덜 사용하는 대신 둥지 입구에 ... ...
[진화심리학]장인과 사위,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진화심리학자 리사 드브루인은 “다양한 원인(原人)이 함께 살았던 과거, 인류의
조상
은 다른 종과 잘못 짝짓기를 하지 않기 위해 부모를 닮은 배우자를 찾았을 가능성이 높다”며 “그 뒤 이런 경향은 근친결혼을 금하는 관습과 균형을 이뤄 부모가 가진 좋은 유전자를 보전하는 방법으로 자리매김 ... ...
금고의 돈이 깜쪽같이 사라졌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친척이라는 놀라운 사실을 공개했다. 흰개미와 바퀴벌레는 약 2억 년 전에 같은
조상
에서 갈라져 나왔다는 것!“흰개미는 햇빛이 들지 않고 습기 찬 목재에 집을 짓고 다른 개미처럼 살아요. 주로 따뜻한 지역에 많이 사는데 그 종류가 2000종이 넘지요. 여왕흰개미가 하루에 수백~수천 개의 알을 ... ...
노래 가사 태반이 사랑 타령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말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음악과 열정적인 연설에 얽힌 수수께끼는 우리
조상
들이 멜로디와 리듬을 이용해 구애를 했다고 생각하면 어느 정도 풀린다”고 덧붙였다.밀러 교수는 다윈의 아이디어가 100년이 넘도록 주목받지 못한데 의아해하면서 성선택을 통한 음악의 진화에 대해 연구를 ... ...
과학으로 지키는 독도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주변을 살피다 보면 북쪽 바다에서 널찍한 바위를 여럿 만날 수 있다. 가제바위. 우리
조상
들이 가제나 가지라고 불렀던 해양포유동물인 바다사자(강치)가 떼 지어 서식했던 곳이지만 현재는 괭이갈매기의 쉼터다. 20세기 초만 해도 독도에 수만 마리의 바다사자가 살았지만 지금은 단 한 마리도 ... ...
한우 꽃순이의 독백
과학동아
l
2008년 09호
수천 년 동안 먹을거리 걱정이 떠날 날 없고 만성적인 단백질 결핍에 시달리던 여러분
조상
들이 한세대 전부터 이런 궁핍에서 해방됐다면서요? 어쨌든 지금은 대부분 사람들이 영양섭취가 지나쳐서 고민이라니 별일이네요.농협중앙회에서 낸 자료를 보니 한국인의 연간 고기소비량은 1986년 14. ... ...
sos! 고래는 지금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다른 동물과 비교해 진화계통을 연구하면
조상
을 찾을 수도 있지. 이 연구로 고래의
조상
이 소, 하마와 같은 육상 동물이란 걸 밝혔단다.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체연구단에서는 고래의 청각, 후각이 육상 동물과 다른 기능을 하게 만드는 유전자가 무엇인지 연구하고 있어.고래수염과 이빨을 ... ...
밤하늘에 흐르는 '용이 노니는 냇물' 은하수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부른다. 용(龍)의 순우리말인 ‘미르’와 물길을 뜻하는 ‘내’의 합성어다. 우리
조상
들은 은하수를 ‘용이 노니는 냇물’이라고 생각했지만 은하수는 태양 같은 별 수천억 개로 이뤄진 우리은하의 단면이다.우리은하는 비행접시처럼 넓적한 원반모양인데, 태양계는 지름이 10만 광년인 우리은하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