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전
골프
d라이브러리
"
충전
"(으)로 총 641건 검색되었습니다.
Ⅲ. 에너지와 정보 저장의 보고 박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모두 1차전지(한번 사용하고 버리는 전지)라는 단점이 있지만 앞으로 2차전지(계속
충전
해서 사용할 수 있는 전지)가 개발되면 환상적인 마이크로 머신의 세계가 열릴 것이다.눈에 보이지 않는 신세계현재 사용하고 있는 각종 카드들은 정보를 자기 테이프에 저장한다. 여기에는 2.5cm에 6천2백50 ... ...
Ⅱ. 분자세계의 좁은문 분리막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네덜란드의 튤립을 감상할 수 있는 이유다. 또 가을에 수확한 맛있는 사과를 질소가
충전
된 저장고에 몇 달 동안 보관시켰다가 봄에 신선하게 비싼 값에 내다 팔 수 있게 된 것도 다 이러한 막 덕분이다. 뿐만 아니라 공장의 굴뚝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을 정화하거나, 보일러 ... ...
전기가 통하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만일 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다면 더욱 가벼운 전지를 만들 수 있고 아예 케이스 자체를
충전
용 전지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전도성 고분자는 그 꿈을 실현하기엔 여러 문제를 안고 있다. 메커니즘을 정확히 밝혀내지 못했기 때문에 수율이 좋지 않고, 시간이 지날수록 전도성이 떨어진다는 점. ... ...
책상 - 보면 볼수록 새로운 과학백화점
과학동아
l
1999년 02호
지낸 사람이라면 누구나 그 공간의 소중함을 잊을 수 없을 것이다. 침실과 욕실이 삶의 재
충전
을 위한 휴식 공간이라면 책상은 많은 것들이 만들어지는 창조적 공간이다. 이를 위해 책상 위에는 다양한 소품들이 널려있다. 묵묵히 제 역할을 해내며 주인을 격려하는 책상 위의 소품들이 풀어내는 ... ...
인류의 새 터전 우주식민지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탐험하려는 목적지가 멀수록 연료와 식량을 재
충전
할 수 있는 공간이 더욱 필요해진다. 잠시 스쳐 지나가는 우주정거장이 개발되는 것은 물론 도시 자체를 움직여 우주를 방랑하는 시대가 펼쳐질지 모른다. 인류가 우주로 눈을 돌리면서 필연적으로 등장한 개념이 우주식민지이다. 지구라는 ... ...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반응속도가 빠른 탄소층 속으로 리튬이온을 삽입시켜 급속
충전
을 가능케한 전지다. 리튬이 탄소층 사이에 존재하므로 안정성도 기대된다. 평균 방전전압이 약 3.6V로 기존의 니켈-카드뮴전지와 니켈-금속수화물전지의 3배이고 에너지밀도는 이들 전지의 1.5배 이상 높아 ... ...
1. 21세기 황금알을 낳는 거위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박동소리가 들린다. 21세기 배터리 전쟁은 시작됐다.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는 1차전지에서
충전
해 쓸 수 있는 2차전지로, 단순한 건전지에서 수명을 크게 증가시킨 알칼리 건전지로, 1.2V의 전압에서 고용량의 3.6V의 리튬이온전지로, 그리고 이제 다시 안정성과 가공성, 그리고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불꽃이 튀었다. 그는 열쇠를
충전
지(라이든병)에 연결시켰다. 그러자 이
충전
지는 보통의
충전
지와 똑같은 효과를 나타냈다. 전기와 번기가 같은 성질이라는 점이 확인된 순간이었다.프랭클린은 이 실험 내용을 실용화시키려고 마음먹었다. 가는 쇠막대의 한끝을 축축한 땅에 묻고, 다른 끝을 건물 ... ...
Ⅳ 인류와 함께한 팔방미인 탄소재료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아주 오래 전부터 사용돼 왔다. 건전지에서의 탄소재료는 양극으로 사용됐다. 최근에는
충전
해 재사용할 수 있는 리튬이온전지에도 이용된다. 이는 탄소의 독특한 층상구조에서 리튬이온이 안정화되기 때문이다. 오래 전부터 탄소는 에너지와 관련된 곳에 사용돼 왔지만 새로운 형태의 탄소재료가 ... ...
침실
과학동아
l
1998년 06호
공간을 경제적으로 충실히 활용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우리나라도 휴식과 재
충전
을 위해 침실을 따로 마련하는 추세다. 그만큼 우리의 삶이 고단해졌다는 증거일까. 침대 접촉면적 50배로 넓어져등받이가 없는 동그란 의자에 앉으면 불편하지만 등받이가 있는 의자는 훨씬 편안하다.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