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소리"(으)로 총 2,433건 검색되었습니다.
- [퍼즐탐정 썰렁홈즈] 초상화 교실 ‘ 비스무리 그리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MISSION 1. 과학자의 이름을 외쳐라!‘비스무리 그리마’의 초상화 교실 앞에 선 썰렁홈즈. 안으로 들어가기 위해 문을 열려고 했지만 굳게 닫힌 문은 좀처럼 열리지 않았다. 그런데 그때 문 위에 글자가 나타나며 번쩍이는 게 아닌가! 그리고는 안에서 ‘비스무리 그리마’의 목소리가 큰 소리로 들리 ... ...
- 미스터리 1. 모래 없는 얼음 사막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한랭사막 : 강수량이 적고 일 년 내내 얼음이 얼어있는 지역을 영구빙설사막, 마찬가지로 여름을 제외하고 모든 계절 얼어 있는 툰드라지역을 툰드라사막이라고 한다.]내비게이션 화면 보이지? 여기 보이는 아이콘들이 미스터리 사건의 정체를 밝힐 수 있는 유일한 단서야. 첫 번째 단서는 엥? 이건 ... ...
- [Knowledge] 쓴 풀이 곧 약이 되리니…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수천, 수만 년 전 약도 병원도 없던 시절에 우리 조상들은 어떻게 질병을 이겨 냈을까.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학자들은 우리와 진화적으로 가장 가까운 대형 유인원을 연구하고 있다. 침팬지와 보노보침팬지, 고릴라 등은 ‘자가치료’ 행동을 통해 몸을 스스로 고치기 때문이다. 이를 연구하면 ...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실습 1회차윤정은 기분이 나빴다. 당연히 몹시 좋지 않았다. 토요일에 학교로 향하는 지하철 안에서 기분이 좋을 대학생이 한반도에 어디 있겠는가. 이게 다 소연이 때문이라는 걸 떠올리고, 윤정은 주먹을 꽉 쥐었다. 돌아오기만 해 봐, 아주 가만두지 않을 거야.처음 이 수업을 같이 듣자고 한 건 ... ...
- [숲이야기] 광릉숲의 개구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광릉숲에서 두꺼비만큼 흔하게 만나는 참개구리. 울퉁불퉁한 몸매와 커다란 몸집이 특징인 ‘두꺼비’는 우리나라 민요나 동화에 자주 등장해요. 주로 수호신이나 사람들을 돕는 착한 동물로 묘사된답니다. 예를 들어 동화 ‘콩쥐팥쥐’에 나오는 두꺼비는 밑이 뚫린 독을 몸으로 막아 콩쥐가 물 ...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중학생 때 참가했던 교육부 주최 전국수학과학경시대회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출제됐습니다.어느 세 점도 한 직선 위에 있지 않은 5개의 점이 있다. 이 중 점 4개를 잘 고르면 볼록사각형이 됨을 증명하여라.사실 그때는 볼록사각형이라는 말뜻을 거꾸로 알고 있어서 풀지 못했습니다. ‘볼록사각형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사람은 다양한 꿈을 꾼다. 맛있는 음식을 먹는 꿈, 멋진 곳을 여행하는 꿈, 유명한 사람이 되는 꿈. 꿈을 꾼다고 다 이뤄지지는 않지만,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다 보면 뜻밖의 운명이 찾아와 길을 가르쳐주기도 한다. 여기 우주로 가는 꿈을 이루기 위해 노력한 결과 기상천외한 모험을 떠나게 된 ...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과학동아 l2016년 07호
- 귀여운 판다나 멋진 갈기를 가진 사자 같은 동물은 사람들의 관심을 듬뿍 받는다. 그러나 모든 존재가 인간의 사랑을 받는 건 아니다. 아프리카 마다가스카르에 사는 영장류 ‘아이아이’는 특이한 외모 때문에 흉조이자 죽음의 상징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알고 보면, 아이아이는 몹시 경이로운 영 ... ...
- Part 1 인체 플랫폼화 기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인공 망막미국의 ‘세컨드 사이트 메디컬 프로덕트’사는 망막의 역할을 대신하는 '아르거스Ⅱ’를 개발했다. 선글라스에 달린 소형 카메라가 풍경을 촬영하면, 이 영상이 몸 외부에 휴대한 영상처리장치에서 적절한 전기신호로 변환돼 망막에 이식한 마이크로칩으로 무선 전송된다. 이 신호가 시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언어를 번역할 때 한 단어를 다른 언어의 단어로 직역할 수 있는 경우는 굉장히 드물다. 단어가 표현하는 의미는 여럿이고 언어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언어를 통해 그 사람들의 ‘세상을 보는 눈’을 알 수 있다고 하는 이유다. 그렇다면 각 나라의 언어는 어떻게, 얼마나 다를까. 이런 차이는 어떻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