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름"(으)로 총 788건 검색되었습니다.
- 1. 러시아 현지취재 우주왕국은 무너진 것인가과학동아 l1997년 10호
- 프로그레스 1호는 살류트 6호와 도킹해 우주비행사들에게 추진제, 압축공기, 먹을 것, 물, 필름 등의 보급품을 제공, 비소련인 비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체코 우주비행사인 블라디미르 레메크가 소유즈 28호를 타고 살류트 6호를 방문(3월2일).■미국, 금성탐사선인 파이어니어 비너스 1호(5월20일)와 ...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과학동아 l1997년 06호
- 점차 ‘제대로 움직이는’ 그림으로 바뀌어 갔다. 그러나 진정한 영화가 되기 위해서는 필름, 즉 셀룰로이드가 필요했다. 때맞춰 1869년 미국의 화이어트 형제가 셀룰로이드를 발명했다. 망막잔상의 원리와 환등 기술, 사진과 셀룰로이드의 결합이 드디어 새로운 예술, 영화를 탄생시킨 것이다.영사기 ... ...
- 애니메이션 제작과정과학동아 l1997년 06호
- 네거티브 필름을 편집한다. 드라마의 흐름과 템포를 정확하게 파악하면서 그동안 촬영된 필름을 연결하여 맞춰가는 작업이다. 간단한 것 같지만 대단한 기술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다.11.녹음화면을 보면서 성우들의 대사를 삽입한 다음 효과음과 음악을 넣는 단계이다.12.시사회, ... ...
- 3만분의 1확률과학동아 l1997년 04호
- 엔진 등의 개략적 위치가 나타나 있는 기본 도면을 밑에 놓고, 그 위에 플라스틱 필름을 붙인 뒤 라인 테이프를 이용해 형태를 여러가지로 변형하면서 가장 이상적인 형태가 나오도록 조정한다. 여기까지가 다자이너의 작업이다.테이프 드로잉에서 최종안이 확정되면 이를 토대로 진흙으로 클레이 ... ...
- 금세기 최고의 우주쇼과학동아 l1997년 03호
- 그을린 유리조각이나 검게 노광된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많은 쓰는 방법이다. 검은 필름조각을 잘라 눈앞에 대고 쳐다보면 태양의 모습을 또렷하게 볼 수 있다. 구할 수 있다면 일식관측을 위한 안경(눈 부위에 필터가 붙여져 있다)을 쓰는 것이 편리하다. 또 짙은 색상의 아크릴판이나 ... ...
- Ⅲ. 전자발견드라마과학동아 l1997년 02호
- 오이겐 골드슈타인과 구스타프 헤르츠 등은 파동설을 주창했다. 음극선이 얇은 금속필름을 통과하는 현상이 그 증거였다. 결국 음극선(전자)이 “입자인가 파동인가”라는 논쟁은 결론을 내리지 못한 채 계속됐다. 음극선이 입자임을 증명입자설을 주창하는 사람들은 운동하는 전하입자가 ... ...
- 공룡알 판매과학동아 l1997년 01호
- 보인다면 CCD소자를 이용하거나 레이더 기술을 이용한 장비이고 수㎝ 정도로 작다면 필름을 이용한 장비인 것이 보통이다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열대성 전염병 갑자기 열이 많이 오르고 황달과 토혈 따위가 일어나며 사망률이 높다도선에 전기를 흘려 보내면 도선에서 전기저항을 받게 된다 ... ...
- 적외선으로 보는 세상과학동아 l1997년 01호
- 뼈의 형태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그러나 영화 ‘이레이저’에 등장하는 투시경처럼 감광필름을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는 투과율도 매우 높으면서 반사율도 높아야 하기 때문에 현재까지 알려진 과학적 사실로는 이것은 불가능하다(에너지 보존 법칙에 따르면 반사율과 투과율과 흡수율의 합은 항상 ... ...
- 백상어 보호 작전 개시과학동아 l1997년 01호
- 식물의 분포를 관측하거나 군사적인 목적으로 항공촬영을 할 때 사용됐다 보통의 컬러 필름처럼 3개의 유제층이 있는데, 두 층은 가시광선의 녹색과 빨간색을 흡수하는 반면 다른 한층은 적외선을 흡수한다기둥의 중간을 끝보다 굵게 만들어 전체적으로 항아리 모양을 이룬다 배흘림기둥은 ... ...
- 마르스96 지구로 돌아오다과학동아 l1996년 12호
- 있다 사진촬영에서 노광량(露光量)을 결정하기 위한 조건은 피사체의 밝기와 사용하는 필름의 강도 ASA 감도는 ASA100 또는 200 등으로 표시되는데, 숫자가 2배가 되면 감도도 2배가 된다물체가 유체(流体) 내에서 운동할 때 받는 저항력과, 두 물체가 접촉하면서 움직일 때 물체의 접촉면에 작용하는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