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구분"(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빈치 얼라이브 이벤트를 다녀와서기사 l20171231
- 있는 거로 보아 배로 하는 무역을 중요시했다는 것, 가장 높은 탑에 올라가는 계단이 여러 개인 걸 보아 올라가고 내려가는 계단을 구분해 편하게 다닐 수 있도록 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흔들리거나 총을 맞아도 전복되지 않는 배입니다. 이중 구조라 총알을 맞아도 안전하고, 구멍이 뚫려있어 기존의 배보다 안정적입니다. 리넨으로 만든 잠수복입 ...
- 하늘다람쥐와 만나다기사 l20171025
- 잘 띄지 않는다. 하늘다람쥐가 먹는 것은 나무껍질, 잎, 새싹, 과일, 버섯 등이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하늘다람쥐와 날다람쥐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하늘다람쥐라고 알고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정보이다. 왜냐하면 하늘다람쥐와 날다람쥐는 비막의 구조부터 다르다. 그리고 날다람쥐 얼굴에는 흰 줄무늬가 있지만, 하늘다람쥐는 얼굴에는 흰 줄무늬가 없다 ...
- 정원의 섬, 카우아이!기사 l20171024
- 카우아이는 날씨가 굉장히 변덕스러운데 저는 흐릴 때 가서 사진이 이렇게 나왔네요... 밝은 날에는 바다와 하늘의 색깔이 같아서 구분이 안 된다고 해요. 와이메아 캐니언의 포인트는 당연히 바다와 캐니언이 만나는 '칼랄라우 밸리'(위 사진)인데 여기서 아바타와 캐리비안의 해적을 찍었다고 하네요. 특히 '캐리비안의 해적-블랙펄의 저주'가 시작될 때 ...
- 장수풍뎅이 애벌레기사 l20171022
- 있습니다. 다리는 6개이고, 가슴에 있습니다. 맨 끝에는 항문이 있습니다. 그리고 암수 구별하는 방법은 장수풍뎅이 3령 애벌레로 구분됩니다. 배에 V자 모양이 보이는 것이 수컷이고, 아무것도 안 보이는 것이 암컷입니다. 그리고 번데기가 되서 허물을 벗고 어른 벌레가 됩니다. 이상으로 장수풍뎅이 애벌레의 설명을 마치겠습니다 ... ...
- 여자라는 이유로, 남자라는 이유로, 꼭 이래야만 하나요?기사 l20170913
- 저는 그래서 오늘 성차별에 대한 글을 써 봅니다. (출처: Pixabay) 성차별이란? 사회적 인식 때문에 남자와 여자 사이를 다르게 구분하고 차별하는 걸 말해요. 옛날부터 여자와 남자의 성차별은 심했습니다. 여자들은 교육을 받지 못하고 남자들만 교육을 받았습니다. 또, 집안일은 (빨래 등) 여자들이 하였습니다. 현재에는 성차별이 ...
- 맛있는 초콜릿의 진실기사 l20170819
- 남녀노소 즐길 수 있는 달달한 간식인데요. 모양도 맛도 식감도 여러가지라서 골라먹는 재미도 있죠. 초콜릿은 보통 세 가지 맛으로 구분할 수 있어요. 밀크, 다크, 화이트로요. 밀크초콜릿은 우유성분이 들어간 초콜릿인데요, 부드럽고 달달하죠. 다크 초콜릿은 카카오 성분이 많이들어간 초콜릿이에요. 설탕이 적게 들어있어서 부담스럽지 않아요. 화이트 초 ...
- 발가락이 4개밖에 없는 고슴도치가 있다고?!기사 l20170816
- 모양으로 만듭니다. 눈: 야행성이라 어두운 곳에서는 잘 보지만 밝은 곳에서는 잘 못 봅니다. 코: 후각이 뛰어나 같은 무리와 적을 구분하고 먹이 냄새 등을 감지합니다. 입: 가늘고 날카로운 이빨이 가지런히 나 있어서 잡은 곤충을 놓치지 않습니다. 또한 껍질이 단단한 곤충도 잘게 씹을 수 있습니다. 앞발: 발가락이 5개이고, 발가락 끝에 작은 ...
- [서울 동작,준형제] 170730-9 서울 올림픽공원 매미 탈피각 암수구분탐사기록 l20170730
- 서울 동작 준형제팀 매미 2017.07.30 오후 5시 49분매미 탈피각으로 암수구분오른쪽 산란관 흔적 있는 것이 암컷 ...
- 지구를 위한 과학 - 정기강좌 1강 '장이권 교수님의 강연'놀이터 l20170707
- 지사탐 대원들과 함께 생물 서식처 문제를 고민했답니다. 장이권 교수님은 '서식처를 잃은 동물들'이라는 주제로 서식처의 다양한 구분법과 서식처를 잃은 동물들이 어떤 위기에 처했는지 알려 주셨어요. 하나씩 알아갈 때마다 더욱 깊어지는 생물 서식처 문제를 강연이 통째로! 담긴 영상을 통해 알아 보세요. 지구를 위한 과학은 어린이과 ...
- 선운산 바이오블리츠로기사 l20170607
- 마리 잡았다. 어쩌다보니 새끼 메뚜기를 잡게 되었고 새끼 여치도 잡게 되었다. 이 시간을 통해 전부터 헷갈려 했던 메뚜기와 여치를 구분하는 방법을 확실히 알게 되었다. 더듬이가 짧으면 메뚜기, 길면 여치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 다음 시간에는 지의류에 대해 배웠는데 나는 지의류라는 것을 이번 시간에 처음 알게 되었다. 지의류는 우리가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