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리
골
대뇌
두개골
뇌수
뉴스
"
뇌
"(으)로 총 4,267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내 미생물 종류, 자폐스펙트럼장애 중증도 가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증상이 나타나는 등 다양한 양상을 동반하는 복합 질환이다. 흔히 임신 중기 태아의
뇌
발달과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일부 아동에서는 환경적 요소가 중증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확인되고 있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이 자폐스펙트럼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중 하나일 ... ...
"고지방 단 음식, 청소년
뇌
기억기능 손상시킬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17
필수적인 기능이 저하된 사람들은 아세틸콜린 수치가 낮은 경향이 있다. 연구팀은
뇌
기능이 저하된 쥐들은 아세틸콜린 수치에 문제가 생겼을 것이란 가설을 세웠다. 또 식단이 이 수치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했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쥐를 활용한 실험이 실시됐다. 실험용 쥐를 두 ... ...
"봄 불청객 춘곤증 줄이려면 취침 전 스마트폰 자제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불어넣을 수 있다. 자기 전 스마트폰 사용은 자제해야 한다. 박 교수는 “멜라토닌은
뇌
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신체의 일주기 리듬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며 “낮에 햇빛을 피해 실내에 있거나 늦은 밤 스마트폰을 보면 멜라토닌 분비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일주기 리듬 조절에 ... ...
"엄마 면역 이상이 태아
뇌
신경발달 장애 유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15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출산 전후 면역계와 신경계 상호작용이 신경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했다. 생애 초기 발달 단계에서 모체의 감염이나 ... 보건의료 기술진흥 분야 신진연구 부문 유공자로 선정된 바 있다. 김은하 고려대 의대
뇌
신경과학교실 교수. 고려대 의대 ... ...
가상현실서 이동해도
뇌
속 GPS세포 활성화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4.04.14
문혁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바이오닉스연구센터 선임연구원. KIST 제공 가상현실(VR) 기술을 이용해 유체 이탈 같은 위치에 대한 환각 증상 ... 밝혔다. VR 기술을 이용해 유체 이탈 같은 위치에 대한 환각 증상이 나타날 때
뇌
속 세포가 활성화 되는 현상 실험을 설명하는 그림이다. KIST ... ...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04.13
도파민 분비도 촉진한다. 미국 임상영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당을 먹으면
뇌
의 보상 시스템이 활성화돼 도파민이 분비된다. 이는 즐거움과 만족감을 느끼도록 만든다. (doi: 10.1093/ajcn/62.1.242S) 하지만 이를 위해 지속적으로 과한 당을 섭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김유미 교수는 ... ...
뇌
없이 운동 학습하고 기억하는 메커니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12
학습한 내용을 기억하는 속도가 향상됐다. 연구팀은 “운동 학습과 기억은
뇌
회로에 국한돼 일어나는 게 아니다”며 “척수 손상을 입은 환자의 운동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찾는 데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獨 막스플랑크 회장 "한국에도 막스플랑크 센터 세울 것"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분야의 양국 협력에 대한 발언을 이어갔다. 크리스티안 도엘러 MPG 부회장이자 MPI 인지 및
뇌
과학연구소 연구단장은 "신경과학은 다학제적으로 확장할 수 있기 때문에 글로벌 협력을 할 수 있는 환상적인 분야"라고 말했다. 악셀 팀머만 IBS 기후물리 연구단장은 "기초과학은 기후변화의 메커니즘을 ... ...
알츠하이머 위험 절반 이상 낮추는 유전자 변이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이런 피브로넥틴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추정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뇌
혈관이 알츠하이머병에서 큰 역할을 한다는 새 증거를 뒷받침한다"며 "이 유전자 변이의 효과를 모방하는 새로운 유형의 알츠하이머병 치료·예방법 개발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지적으로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이러한 작용은 쓴맛 수용체의 활성화를 유도해
뇌
의 미각 피질로 신호를 보냈다.
뇌
가 이 신호를 처리하면서 쓴맛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이같은 복잡한 신호 체계는 일순간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TAS2R14의 또다른 특징도 발견했다. 세포막에 존재하는 지방인 콜레스테롤이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