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타리
장애물
벽
방해물
담장
담
장애
뉴스
"
장벽
"(으)로 총 5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 위한 출연연에서 국민 위한 출연연 만들 것”
과학동아
l
2014.07.16
출범식을 가졌다. 연구회는 기초 분야와 산업기술 연구 사이의
장벽
이 높다는 비판에 따라 통합 출범했으며, 출연연이 독창적인 연구 뿐 아니라 협력을 통해 융합 연구를 많이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이상천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 전승민 기자 이날 출범식에서 ... ...
이런 게 ‘일석이조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4.07.16
해서 저항이 계속 커지진 않았다. 전압이 4V를 넘어서면 에너지가 큰 전자들이 RGO의 산소
장벽
을 그대로 뚫고 나가 RGO 표면에 있는 물을 수소로 전기분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는 “다이오드 하나로 원하는 대로 저항을 조절해 전류를 제어하는 ‘스위치’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 ...
[표지로 읽는 과학] 개구리 피부 단백질로 백신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07.13
받아 콘돔 캠페인을 벌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 캠페인은 인도네시아의 종교와 문화적인
장벽
에 막히고 말았다. 이와 달리 호주에서는 에이즈 예방 캠페인이 성공을 거뒀다. 호주 정부가 마약 환자에게 마약을 주사할 때 쓰는 주사기와 주삿바늘을 돌려쓰지 말 것을 권고한 것이다. 이번 주 ... ...
"이젠 공학자가 나설 때"
과학동아
l
2014.06.27
“재난 대응 시스템을 개선하고, 재난 안전 점검 체계를 확립해야 하며, 재난 전문가를 적극 채용해야 새로운 국가 재난 관리 시스템을 구 ... 전문가’를 공학자들 스스로 키워내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국가 위험 시 부처 간
장벽
에 구애받지 말고 적극 협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 ...
암 유전자 없이 iPS세포 제조 성공
과학동아
l
2014.06.24
iPS세포)가 치료분야에서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넘어야 할 몇 가지
장벽
이 있다. 그 중 하나가 iPS세포를 만들 때 필요한 외부 유전자다. 특히 세포를 iPS세포로 만들기 위해 들어가는 특정 유전자는 암을 유발하는 유전자로 유명해 우려의 목소리가 컸다. 유승권 고려대 생명공학과 ... ...
D램, F램은 알겠는데, Re램?
과학동아
l
2014.05.25
산화알루미늄을 통과해 그래핀과 결합했다. 이때 전자는 하부 전극에서 에너지
장벽
에 막혀 터널링 되지 않았고, 전류 흐름도 약해졌다. 전 교수는 “메모리 반도체 산업뿐 아니라 신경회로망 소자 연구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탄소 및 나노재료분야 ... ...
여성 건축가, 금녀의 벽을 넘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5.12
각종 건축 공모전을 준비하며 오롯이 쏟아냈다고 한다. 여자라는 이유로 높았던 취업
장벽
신 대표는 학부 3학년 때부터 건축설계사무소에서 실습을 했다. 당시 건축학과 학생들은 대부분 실습이 끝난 뒤 실습했던 곳으로 취직을 했다. 하지만 그녀는 실습했던 사무소로부터 특별한 이유도 없이 ... ...
반도체 공정 ‘10나노’
장벽
무너지나
과학동아
l
2014.04.30
늘려주는 신기술을 개발했다. 반도체 공정의 한계로 거론돼 온 10나노미터(nm) 공정의
장벽
을 깰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김상욱 KAIST 교수팀과 권세훈 부산대 교수팀은 5nm급 초미세회로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재료분야 권위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터리얼스’ 4월 6일자 ... ...
설익은 바이오 미세유체기술
과학동아
l
2014.03.16
최신 기법을 쓰려면 전문 기술이 필요하고 초기 인프라를 도입해야 한다는 사실이 진입
장벽
으로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비베 교수는 “최신 미세유체기술의 장점을 다방면에서 증명해 보이고 학계가 이를 수용하는 생태계가 조성될 때 상업화가 힘을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이언스 ... ...
식물 바이러스가 꿀벌수 감소의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4.01.22
쉽게 넘나들지 못하는 까닭은 바이러스가 다른 종을 잘 감염시키지 못하는 ‘종간
장벽
’ 때문인데, 연구팀은 TSRV 유전자 돌연변이 때문에 꿀벌을 감염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 TSRV는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특히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진 ‘RNA 바이러스’다. 연구팀은 미국 내 꿀벌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