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뉴스
"
차이
"(으)로 총 5,028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나비도 짝을 찾을 때 상대방 '외모'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4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날개 색깔의 선호도
차이
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서식지가 겹치는 헬리코니우스 속 나비들을 비교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크리스퍼(CRISPR-Cas9) 유전자가위를 사용해 헬리코니우스 멜포메네, 헬리코니우스 티마레타 ... ...
[표지로 읽는 과학] '행성 포식자' 흔하다…지구의 운명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3.23
관측한 것이다. 그 결과 91쌍 중 약 8%인 7쌍에서 두 별의 원소 구성 비율이 눈에 띄게
차이
났다. 연구팀은 "두 별 중 하나가 행성 포식으로 성분 변화가 일어난 것"이라며 "두 별이 비슷한 행성을 동시에 먹었거나 암석 행성이 아닌 목성 또는 해왕성 같은 가스 행성을 먹은 경우를 제외했기 때문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혼자서도 행복한 '자족감'이 중요한 이유
2024.03.23
한다 (Shaver et al., 2016). ● 애착 유형에 따라 달라요 각 애착유형을 보이는 사람들의
차이
를 잘 보여주는 연구들이 있다(Feeney & Collins, 2001; Mikulincer et al., 2005). 연인들을 대상으로 각각 어려운 과제를 시킨 후 지금 연인이 많이 긴장하고 힘들어하고 있다는 정보를 준다. 그러고 나서 각각의 ... ...
조용히 차 따르려면…커피와 차의 과학
과학동아
l
2024.03.23
물소리는 물줄기가 가늘수록 더 컸다. 연구팀은 물을 따를 때 발생하는 소리 크기
차이
가 물줄기가 만드는 공기방울의 크기에 따라 달라진다고 설명했다. 물 속에서 공기방울이 더 많이 발생할수록 소리가 더 크다는 뜻이다. 김 교수는 미국의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물줄기를 얇게 ... ...
영유아는 꽃향기, 청소년은 쾨쾨한 냄새 나는 이유
2024.03.22
오시엔코 스웨덴 RISE연구소 연구원은 "영유아와 청소년의 체취에 있는 화합물의
차이
가 청소년의 체취를 기분 나쁘게 인식하도록 만드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이론으로만 알던 '소금이 물에 녹는 순간' 관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음이온을 분리하는 과정. UNIST 제공 연구팀이 소금 막의 두께가 원자 한 층 두께만큼
차이
나는 계단층을 따라 물 분자를 이동시키자 이동 경로에서 염소 음이온이 한 개 사라졌다. 물 분자의 극성 때문에 소금의 이온 결합이 끊어져 염소 음이온이 나트륨 양이온보다 먼저 떨어져 나온 것이다. ... ...
A형 간염 바이러스가 어른에게 더 치명적인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바이러스면역연구센터장은 A형 간염 바이러스의 연령별 증상
차이
는 항바이러스 작용을 하는 T세포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신 센터장은 21일 서울 종로구 모처에서 열린 과학기자협회-IBS 과학미디어아카데미인 ‘면역 기억 백과사전 만들기’에서 대표적인 연구성과인 ... ...
나무도 3D 프린터로 '인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천연 목재를 매우 유사하게 구현해냈다. 질감뿐만 아니라 향과 강도에서도 목재와 큰
차이
가 없었다. 압력에 버티는 힘은 오히려 강했다. 압축과 굽힘에 버티는 정도를 확인한 실험에서 목재보다 높은 강도를 보였다. 연구팀은 "수천 년 동안 건물과 가구에서 기초적인 재료가 된 목재는 제조 ... ...
한국인, 질병으로 잃은 수명 12년간 13.8%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9
의료진이 당뇨병 환자에게 혈당측정기를 사용하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한국인이 질병으로 잃은 수명이 지난 12년간 1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 ... 관리와 예방 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성별과 지역, 소득 수준에 따른 질병부담
차이
도 공중보건 정책에 고려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 ...
개미로 단백질 보충해볼까…종류마다 '맛' 달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있었다. 다만 번데기 시절에는 포름산을 갖지 않아 성체와 번데기 각 시기의 맛에
차이
가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팀은 식용 곤충이 동물성 단백질의 대안이 될 수 있지만 특정한 알레르기를 보유한 사람은 주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근섬유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트로포미오신은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