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체학
항해천문학
항해
익살 점성학
천체지학
뉴스
"
천문학
"(으)로 총 89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은하’ 가장자리 별 태어나는 영역 첫 관측
동아사이언스
l
2019.05.13
CTB 102의 고해상도 영상. 한국천문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우리은하 내 무거운 별 생성 영역인 ‘CTB 102’의 고해상도 영상 관측에 처 ... 관측하고 별 생성률의 특성을 알아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은
천문학
분야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 5월 1일자에 게재됐다 ... ...
‘빛의 풍차’가 우주먼지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8
지름 수십nm의 고운 우주먼지의 존재는
천문학
의 미스터리 중 하나였다. 국내 연구팀이 강한 빛이 우주먼지를 회전시켜 더 고운 먼지로 만드는 과정을 밝혔다. 사진 ... 최초의 은하를 연구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천문학
’ 6일자에 소개됐다다. ... ...
개기월식 때 번쩍인 섬광 정체는 마하50 속도로 내리꽂힌 운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시속 6만1000㎞ 속도로 달 표면에 충돌하면서 발생한 결과라고 국제학술지 ‘왕립
천문학
회지’에 30일 실었다. 개기월식은 달이 지구와 태양과 일직선에 놓일 때 지구 그림자 속으로 완전히 들어가면 발생한다. 태양을 모두 가리는 개기일식처럼 달이 다 사라지지는 않는다. 지구의 대기를 통해 ... ...
우주 최초의 분자 수소이온화헬륨 확인
과학동아
l
2019.04.30
존재하는 수소이온화헬륨의 존재를 확인했다. 데이비드 뉴펠드 존스홉킨스대 물리
천문학
과 교수는 “반응성이 거의 없는 헬륨과 수소이온이 결합하는 독특한 현상을 직접 관찰한 만큼 우주의 진화 과정을 더욱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86-019-1090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래핀 탄소와 수소 공유결합 '소리'가 붙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28
위해 원자 단위에서 오랫동안 연구해왔다. 리브 호르네커 덴마크 오후스대 물리학,
천문학
및 학제간 나노과학센터 교수팀은 육각형 탄소 덩어리가 얇은 판을 이루는 그래핀에서 탄소와 수소 간 공유결합이 생길 때 음파가 접착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수소원자(그림에서 하얀색)가 ... ...
두 개의 태양 뜨고 지는 케플러-47에서 세 번째 행성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4.17
행성계에서 세 번째 행성을 발견해 '케플러-47d'라 이름 붙이고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천문학
저널' 16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2년에도 이 행성계에서 두 행성(케플러-47b와 케플러-47c)을 찾아내 학계에 보고한 바 있다. 연구팀은 앞서 두 행성 떄와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천체면 통과 ... ...
[부고] 과학 스테디셀러 '코스모스' 번역자 홍승수 서울대 명예교수 별세
동아사이언스
l
2019.04.16
고인은 대표적인 과학 스테디셀러인 ‘코스모스’의 번역자로 이름을 알렸다. 미국
천문학
자이자 유명 과학커뮤니케이터였던 칼 세이건이 1980년대 낸 코스모스는 국내에서 30만부 이상 판매되며 과학 대중화를 이끈 책으로 평가받는다. 고인은 코스모스를 번역하며 “‘코스모스는 결국 ... ...
블랙홀 사진 탄생 주역 20代 여성과학자, 업적 놓고 설왕설래
동아사이언스
l
2019.04.15
언급도 나왔다. EHT 프로젝트에 참여한 여성 과학자인 페르얄 외젤 미국 애리조나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과 교수는 뉴욕타임즈와 인터뷰에서 “사람들이 과학에서 여성의 역할에 관심을 갖는 것에 흥미를 느끼겠지만 다른 여성과 남성 과학자들의 공헌도 중요하다”며 “젊든 나이 ... ...
"너무 흐릿해" 블랙홀 관측 이미지는 왜 뿌옇게 보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19.04.12
관측한 데이터들은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헤이스택 관측소와 독일 막스플랑크 전파
천문학
연구소(MPIfR)에 보내졌다. 이들 기관 연구진은 데이터의 잡음을 제거하고 신호를 분석하는 것 이외에도 전파망원경의 위치 차이에 따른 블랙홀 위치 차이를 보정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수정과 모델링을 ... ...
'길일 잡고 택배로 자료 보내 첫 영상 만들었다' 블랙홀 첫 관측 뒷이야기
동아사이언스
l
2019.04.11
싸 항공택배를 통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헤이스택 관측소와 독일 막스플랑크 전파
천문학
연구소(MPIfR)에 보냈다. 엄청난 양의 데이터이기에 통신을 통해 전송하는 것보다 항공편으로 보내는 것이 훨씬 빨랐다. 두 연구소로 보내진 블랙홀의 데이터는 ‘상관기’라 불리는 천문 관측에 특화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