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환
유통
구르기
윤전
선회
대출
대전
뉴스
"
회전
"(으)로 총 1,08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킬로그램, 130년 만의 전진
2019.06.27
때 자전축 자체가 약간씩
회전
하기 때문이다. 마치 팽이가 돌 때 팽이 머리가 조금씩
회전
하는 현상과 똑같다. 이를 세차운동이라 한다. 이 때문에 태양을 바라보는 지구 자전축의 방향이 조금씩 바뀐다. 그 결과 지구에서 춘분이 되는 시점이 아주 조금씩 빨라진다. 그러니까 회귀년이 항성년보다 ... ...
영장류 중 사람만 비만이 많은 이유는…두뇌 활동 탓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최근 미국 듀크대 연구팀이 사람은 침팬지나 원숭이 등 다른 영장류와 달리 지방조직을 태워 에너지를 내는 유전자의 발현이 저하돼 비만하기 쉽다는 연구결과를 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람은 침팬지 등 다른 영장류와 유전정보가 99%나 동일하다. 하지만 침팬지와 원숭이와 달리 사람은 뚱뚱 ... ...
디스플레이 발광효율 높이는 ‘원편광’ 구현 신개념 설계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25
구성돼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었다.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 중 한쪽으로
회전
하는 원편광을 발산하려면 ‘입체발생 중심’을 구현해야 했기 때문이다. 입체발생 중심은 어떤 원자의 원자단 2개를 상호 교환했을 때 다른 분자가 되는 점을 의미하는데 보통 광학이성질체에 이런 특성을 도입하는 ... ...
지구 것 아닌 금(金) 출처는 대형 별 초신성 폭발
연합뉴스
l
2019.06.16
대니얼 시겔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태양 질량의 30배가 넘는 대형 별이 빠르게
회전
하며 자체 중력으로 폭발해 블랙홀을 형성하는 '컬랩사(collapsar) 슈퍼노바'의 역학을 분석한 결과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 실었다. 연구팀은 당초 중성자별 충돌을 연구하다가 컬랩사 슈퍼노바가 무거운 ... ...
우주여행 시대 코앞··· 우주멀미, 방사선 영향 등 집중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쥐(A)와 달리 천식을 유발한 쥐(B)는 폐포와 기관지에 염증이 발생했다. 중력 변화 없이
회전
시킨 쥐(C)는 염증 반응이 그대로인 반면, 지구 중력보다 5배 큰 고중력 환경에서 4주간 머물렀던 쥐(D)는 염증 반응이 감소했다. 5G 고중력 환경이 천식 증상을 호전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뜻이다. 사이언티픽 ... ...
꿈의 에너지 소재 개발에 쓰일 35번째 빛 발사장치 준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2시 포항방사광가속기 저장링에서 열릴 예정이다. 빔라인이란 전자가 저장링에서
회전
하면서 방사광을 뿜어낼 때 원하는 에너지의 방사광만을 선별하는 장치다. 이번에 설치한 AP-XPS 빔라인은 해외에서도 널리 활용되기 시작한 최신기술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엑스선으로 물질의 화학적, ... ...
[글로벌프런티어]가상의 세상과 소통하는 공존현실이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3
1m 공간에서 오차가 픽셀 5개(2~3cm에 해당) 이내일 정도로 정교하다. 이를 위해 연구팀은
회전
하는 라이다를 공간 천장에 설치해 360도 공간 정보를 읽고, 이를 라이다와 HMD 사이의 좌표계를 이용해 가상공간으로 정교하게 통합시켰다. 그 결과 실시간으로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실감나는 ... ...
태양질량보다 1만 배 무거운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블랙홀의 질량도 구할 수 있다. 서울대 제공 메아리 효과로 측정된 거리와 가스구름의
회전
속도를 통해 연구팀은 NGC 4395 중심 블랙홀의 질량을 태양질량의 약 1만 배로 추정했다. 우 교수는 “지금까지 수소 가스구름을 이용해 측정한 빛의 메아리 효과 중 가장 짧은 80분의 시간차를 얻었다”고 ... ...
자성 메모리에 숨겨진 자기장 상호작용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자성 메모리(M램)는 최근 주목받으며 상용화되고 있다. 자성 메모리는 전자의 스핀(
회전
)에 따른 자성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전류를 이용하는 기존 메모리와 다르다. 2개의 자성물질에서 자기장이 생기는 현상(자화)의 방향이 같거나 반대일 때 0 또는 1의 정보를 기록하는 방식으로 정보를 ... ...
체내 원하는 곳 콕 집어 줄기세포 운반하는 마이크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6.10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자기장이 스스로
회전
하도록 만들어져 기존에 비해
회전
과 이송 효율을 100~150배 높였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렇게 만든 마이크로로봇에 쥐의 해마에서 배양한 줄기세포를 얹어 뇌의 원하는 신경세포로 선택적으로 분화하는 데 성공했다. 실제 쥐 실험 결과 뇌 혈관과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