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지막
종결
결말
최후
대단원
끝판
첨단
스페셜
"
끝
"(으)로 총 918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성수 과기혁신본부장 "2023년 R&D 예산, 30조 규모 계획"
연합뉴스
l
2020.01.06
지원 사업 등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 2020.1.6 seephoto@yna.co.kr sun@yna.co.kr (
끝
)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면역계 친구는 누가 있을까
2020.01.04
얼추 맞는다. 보통 맹장이라고 부르지만, 진짜 이름은 충수돌기인 기관이 있다. 맹장
끝
에 붙은 작은 기관인데 종종 염증을 일으켜 잘라내는 부분이다. 마치 남성의 유두처럼 불필요한 흔적 기관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러나 최근 충수돌기의 기능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퇴화가 아니라 오히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도’ 번아웃 온다
2020.01.04
애정과 열정이 ‘지나쳐서’ 번아웃에 빠지는 경우도 많다. 관련해서 어떤 분야에서
끝
까지 버티는 사람들은 그 분야에 대한 무한한 애정과 엄청난 열정 또는 집착이 있는 사람이기보다 ‘해보고 안 되면 말지 뭐’ 정도의 가벼움을 한 켠에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라는 생각을 한 적이 있다. 대학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
2019.12.31
nerve) 등 다른 화학감각 신경이 후각망울을 대신해 냄새 정보를 전달하는 가능성이다.
끝
으로 사람에서는 후각망울 없이도 냄새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별도의 시스템이 존재한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현재로서는 다섯 가지 가능성 가운데 어느 하나도 설득력 있는 증거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기생충은 기생충대로, 인간은 인간대로
끝
없는 군비경쟁을 벌였다. 독성 물질에 대항하는 방어 전략 진화의학자 마지 프로펫은 인간이 독성 물질을 배출하는 방어 기전을 진화시켰고, 알레르기도 그러한 기전중 하나라고 주장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빙판길은 왜 그렇게 미끄러울까
2019.12.25
위에서 움직이게 했다. 이때 구슬과 얼음 표면의 상호작용으로 구슬이 달린 튜닝포크
끝
부분의 움직임이 영향을 받고 이를 분석하면 구슬이 얼음에 미치는 마찰력이나 얼음 표면 물층의 점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한 마찰력은 기존에 알려진 값과 비슷했다. 이 실험의 설계가 제대로 ... ...
월성1호기 ‘영구정지’ 의결…감사원 감사·수명연장 취소 소송 변수(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갈등이 그대로 녹아들었다. 24일 원안위에서
끝
까지 영구정지에 반대하는 의견을 펼친 이병령 위원이 제기한 문제도 지난 국정감사 때 한수원이 월성 1호기 영구정지를 신청할 때 수행했던 경제성 분석이 과소평가된 게 아니냐는 국회의 지적에 따른 감사원이 ... ...
'포니 프로젝트'는 진행형...국산 車 신화 새롭게 쓸 것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카로체리아)인 이탈디자인에 의뢰해 디자인을 확정했다”고 말했다. 그런 우여곡절
끝
에 1975년 포니 1호차가 출고됐다. 이듬해엔 1976년 에콰도르를 시작으로 수출에도 나섰다. 한국은 그렇게 세계 9번째 고유 모델 보유국이 됐다. 이 전 사장은 까다로운 미국 시장을 목표로 여러 번 ‘승부수’를 ... ...
노웅래 과방위 위원장 “R&D혁신특별법 20대 국회서 반드시 처리”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 노웅래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과방위) 위원장(더불어민주당)이 “국가R&D혁신을 위한 특별법과 데이터3법이 20대 국회서 ... 미래를 발목잡지 않도록 하기 위해, 과학기술계가 하는 일에 국회가 손발이 될 수 있도록
끝
까지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 ...
월성1호기, 표결로 늘어난 수명 표결로
끝
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한 명의 이탈표도 없어야 표결에 들어갈 수 있는 셈이다. 표결에 들어갔다는 건 논의를
끝
내겠다는 의미기 때문에 표결 찬성은 원안 가결로 이어지리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원안위 주요 안건이 상정 3번째 만에 통과되는 ‘3의 법칙’을 따를지도 관심사다. 원안위는 원전 건설이나 수명연장 등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